Hyundai Mighty 2016 사용자 매뉴얼

Add to My manuals
293 Pages

advertisement

Hyundai Mighty 2016 사용자 매뉴얼 | Manualzz

안전 및 차량 손상 경고

※ 본 취급설명서는 고객 및 차량의 안전과 관련한 심각한 위험과 제품 사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사전에 알리는 안전경고 표시입니다. 지시사항

은 반드시 숙지하여 지켜주십시오.

경고

,

주의표시

경고

,

주의가 있는 문장 및 진하게 표시되어 있는 부분은 특히 유

념하십시오

.

경 고

사람이 다치거나 사망의

우려가 있는 경우의 경고

표시입니다

.

주 의

차량이 고장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경우의 주의

표시입니다

.

안전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금지 표시입니다

.

알아두기

차량 용어 또는 추가 설명

이 필요한 정보 표시입니

다.

선택 또는 미장착 사양표시

□□□□ □□

본 취급설명서에는 모든 트림모델 및 선택사양을 포함하여 설명

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고객님 차량에 장착되지 않은 사양이 설명 될 수 있습니다

.

내용 찾기 방법 설명

내용으로 찾을 때

목차를 활용하세요.

점검방법이

어느 장에 있지

명칭을 모를 때

그림 목차 (내관도 I ) 를 활용하세요.

명칭으로 찾을 때

색인(명칭) 목차 활용하세요.

이 스위치가

뭐지?

클러스터

이온발생기가

어디지...

제작결함 안내

자동차제작자등

(

부품제작자등

) :

현대자동차

(

)

주 소

:

서울 서초구 양재동 231번지

연락처

:

080

-

600

-

6000

제작결함 안내

(

제50조 관련

)

귀하의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에 잦은 고장 등의 문제로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결함이 있다고 판단되면

,

자기 및 다른 사람의 안전

을 위하여 즉시 현대자동차

(

)

와 제작결함조사를 시행하는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소비자 불만사항 등을 접수하여 분석한 후 해당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에 제작결함의 가능성이 있

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작결함조사를 실시하여 해당 제작사에게 제작결함시정

(recall)

등의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자동차 또는 자동차부품 결함 등 소비자 불만 접수창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전화

:

080

-

357

-

2500

인터넷 홈페이지

:

제작결함정보전산망

(www.car.go.kr)

목 차

안 내

┃ 실내

/

엔진룸 각종 장치 및 경고

/

표시등 안내

1

안전 주의 사항

┃ 안전 운행을 위한 운행방법 및 주의사항

안 전 장 치

┃ 안전 장치의 사용방법 및 주의 사항

편 의 장 치

┃ 실내

,

외부 각종 장치의 사용 방법 및 주의 사항

시 동 및 주 행

┃ 차량 운행과 관련된 시동 및 정지 방법

,

변속기

,

브레이크 등의 사용 요령

비상시 응급조치

┃ 차량 고장시 응급조치 방법

6

정 기 점 검

┃ 일상 점검

/

정기 점검 등의 항목과 각종 오일류의 점검 방법 등 차량 관리 요령

7

4

5

2

3

덤프 취급 방법

┃ 덤프 취급 방법

차 량 정 보

┃ 차량 제원

,

차량에 부착된 각종 라벨 및 고유번호

색 인

┃ 찾아보기

I

8

9

안내

외관도

I ...............................................................................

1

-

2

내관도

I ...............................................................................

1

-

3

내관도

II ..............................................................................

1

-

4

엔진룸

.................................................................................

1

-

5

1

안내

외관도

그림목차 ( 외관도 I)

그림목차

(

외관도

II)

1-2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1

.

와이퍼

………………………………………………

7

-

30

2

.

안테나

………………………………………………

4

-

79

3

.

미러

…………………………………………………

4

-

23

4

.

도어

……………………………………………………

4

-

9

5

.

헤드 램프

……………………………………………

7

-

48

6

.

타이어

………………………………………………

7

-

38

7

.

갭 틸팅 레버

…………………………………………

4

-

20

8

.

요소수 탱크

…………………………………………

4

-

17

9

.

연료탱크

……………………………………………

4

-

16

10

.

에어 클리너

………………………………………

7

-

21

11

.

배터리

………………………………………………

7

-

36

12

.

공구함

………………………………………………

6

-

11

13

.

적재함

……………………………………………

4

-

12

내관도 I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1

.

도어 열림 레버

(

실내

)

…………………………………

4

-

9

2

.

실외 미러 조절 스위치

……………………………

4

-

25

3

.

도어 잠금

/

해제 스위치

……………………………

4

-

10

4

.

운전석

,

동승석 유리창 개폐 스위치

……………

4

-

11

5

.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탱크

………………………

7

-

34

6

.

안개등 스위치

………………………………………

4

-

25

7

.

작업등 스위치

………………………………………

4

-

51

8

.

조향 핸들 높이 조절 레버

…………………………

4

-

22

9

.

조향 핸들

……………………………………………

4

-

22

10

.

클러치 페달

………………………………………

5

-

10

11

.

브레이크 페달

……………………………………

5

-

11

12

.

가속 페달

…………………………………………

5

-

10

13

.

좌석

……………………………………………………

3

-

2

1

1-3

안내

내관도 II

1-4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1

.

계기판

……………………………………………

4

-

26

2

.

경음기

……………………………………………

4

-

23

3

.

오디오 리모컨

……………………………………

4

-

79

4

.

블루투스 핸즈프리

………………………………

4

-

81

5

.

크루즈 컨트롤 버튼

……………………………

5

-

20

6

.

멀티 디스플레이 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

4

-

30

7

.

전조등

/

방향 지시등

/

디머등 스위치

…………

4

-

50

8

.

와이퍼 및 와셔

/

배기 브레이크 스위치

4

-

53

/

5

-

16

9

.

오디오

……………………………………………

4

-

80

10

.

듀얼 파워 스위치

…………………………………

5

-

27

11

.

언덕길 발진보조장치 스위치

…………………

5

-

25

12

.

실외 미러 열선 스위치

…………………………

4

-

25

13

.

비상 경고등 스위치

………………………………

6

-

2

14

.

매연필터장치

(DPF)

수동 재생 스위치

………

5

-

28

15

. PTO

스위치

………………………………………

5

-

26

16

.

시동 스위치

…………………………………………

5

-

2

17

. LDWS(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

스위치

/

VDC

작동정지 스위치

……………………

5

-

22

/

5

-

17

18

.

에어컨 및 히터

……………………………………

4

-

57

19

.

시가 라이터 소켓

…………………………………

4

-

77

20

. USB

단자

…………………………………………

4

-

81

21

.

12

V

36

W

다용도 소켓

…………………………

4

-

76

22

.

컵 홀더

……………………………………………

4

-

78

23

.

24

V

120

W

다용도 소켓

…………………………

4

-

76

24

.

글로브 박스

………………………………………

4

-

74

25

.

동승석 유리창 개폐 스위치

……………………

4

-

11

26

.

프리히터 작동 스위치 및 표시창

………………

4

-

68

27

.

운전석 열선 스위치

………………………………

3

-

4

엔진룸

표준캡 , 슈퍼캡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엔진별 상세내용은 7장

정기점검

을 참고하십시오.)

1

.

엔진 오일 수준 게이지

……………………………

7

-

11

2

.

엔진 오일 필러 캡

…………………………………

7

-

11

3

.

파워 스티어링 오일 탱크

…………………………

7

-

29

4

.

엔진 오일 필터

………………………………………

7

-

13

5

.

라디에이터 캡

………………………………………

7

-

15

6

.

냉각수 보조 탱크

…………………………………

7

-

17

1

1-5

안내

더블캡

1-6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엔진별 상세내용은 7장

정기점검

을 참고하십시오.)

1

.

엔진 오일 수준 게이지

…………………………

7

-

11

2

.

엔진 오일 필러캡

…………………………………

7

-

11

3

.

파워스티어링 오일 탱크

………………………

7

-

29

4

.

엔진 오일 필터

……………………………………

7

-

13

5

.

라디에이터 캡

……………………………………

7

-

15

안전 및 주의 사항

점검

·

정비

.............................................................................

2

-

2

점검 및 조정

.....................................................................

2

-

2

운행전 점검 ......................................................................

2 2

정기 점검

..........................................................................

2

-

3

정기 교환 부품

..................................................................

2

-

3

올바른 운전자세

..................................................................

2

-

4

좌석

,

조향 핸들

,

미러 조정은 출발 전에

................................

2

-

4

운전석은 운전에 방해되는 물건이 없도록

.............................

2

-

5

안전벨트 착용

......................................................................

2

-

5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

2

-

5

기타 주의사항

...................................................................

2

-

5

규격타이어 장착 및 타이어공기압 수시점검

..........................

2

-

6

·

정차중 차내 주의사항

......................................................

2

-

6

음주

,

과로운전금지

..............................................................

2

-

7

창문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것

............................

2

-

7

주행중 엔진정지 금지

...........................................................

2

-

8

정차 또는 주차 중 휴대전화기 사용요령

...............................

2

-

8

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두면 위험

...........................................

2

-

9

주위안전 확인

......................................................................

2

-

9

후진시

..............................................................................

2

-

9

도어를 열때

......................................................................

2

-

9

·

정차시 배기관주변 주의사항

............................................

2

-

9

적재함 사용시 주의사항

.....................................................

2

-

10

개방상태로 주행금지

......................................................

2

-

10

화물의 확실한 고정

.........................................................

2

-

10

적재함에 승차금지 ..........................................................

2 11

리어게이트 사용시 주의사항

...........................................

2

-

11

밀폐된 공간에서의 워밍업

,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또는 차량 점검 금지

............................................

2

-

11

주차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

2

-

11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때

..........................................

2

-

12

액세서리의 장착

................................................................

2

-

12

차량 용접시 주의 사항

........................................................

2

-

12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 안내

.............................

2

-

13

순정부품

(

규격품

)

이용

.......................................................

2

-

14

기타 주의사항

....................................................................

2

-

14

터보차저 장착차의 취급

.....................................................

2

-

15

터보차저 장착자 점검 요령

..............................................

2

-

15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 요령

...........................................

2

-

16

EGR

시스템 장착차 취급요령

.........................................

2

-

17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요령

.........................................

2

-

17

배출가스 저감장치

(DPF+

요소수시스템

)

장착차 취급

.........

2

-

18

배출가스 저감장치

(DPF+

요소수시스템

)

? ....................

2

-

18

취급시 주의 사항

............................................................

2

-

19

신차 취급요령

....................................................................

2

-

21

1

2

안전 및 주의 사항

점검 · 정비

정기적인 점검은 언제나 쾌적한 운전을 약속합니다

.

다음 점검 및 정비를 꼭 실시해 주십시오

.

점검 및 조정

취급 설명서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

기재된 사항

이외의 작업에 대해서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의뢰해 주십시오

.

주 의

본 차량은 배출가스 규제

,

소음 규제에 적합

하도록 조정되어 있습니다

.

자신이 조정하

거나 엔진 관련의 부품을 탈거하거나 개조

하는 것은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

운전석에서 점검

조향 핸들 작동 상태

연료 게이지량

브레이크 페달 작동상태 및 유격

주차 브레이크 작동상태

미러 및 계기 점등상태

경음기

(

)

및 와이퍼 작동상태

브레이크 및 클러치액량

운행전 점검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이 1일 1회 운행전에 실시

하는 점검입니다

.

이 점검은 운전석에 앉거나 엔

진룸을 살피거나

,

또 차주위를 돌면서 차의 상태

를 확인하는 것이므로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점검은 기재된 순서로 실시하면 능률적으로

점검할 수 있습니다

.

차 주위에서 점검

등화장치

,

방향 지시등의 점등

,

점멸상태

,

오염

,

손상

반사기 및 번호판 오염

,

손상

타이어의 공기압 및 마모상태

휠너트 조임상태

배터리액 및 청결상태

스페어 타이어 공기압 및 장착 상태

와셔액량

2-2

엔진룸의 점검

(

엔진 정지 상태

)

냉각수량 및 냉각장치의 누수확인

엔진오일량 및 각종오일의 누유확인

팬 벨트의 장력상태

,

손상

파워스티어링오일 수준상태

경 고

엔진부를 점검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정

지시키고 엔진이 식은 후에 실시하여 주

십시오

.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만약

,

엔진 시동을 걸고 밀폐된 장소에

서 점검

·

정비할 때는 배기가스에 중독될

수 있으니 반드시 환기시켜 주십시오

.

엔진 시동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에는 옷자락

,

시계

,

반지

,

넥타이 등은

제거하여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십시오

.

구동벨트에 공구 등이 닿지 않도록 하십

시오

.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정기

점검을 꼭 실시해 주십시오

.

상세한 내용은 7장

정기 점검

편을 참조하십시오

.

정기 점검

정기 점검은 정기점검 일람표에 명기된 주행거

리마다 점검을 받아 주십시오

.

정기 교환 부품

자동차 부품중 안전상 중요한 고무부품 등은 통

상적인 외관검사로서는 주행거리에 의한 노후의

판단이 어렵습니다

.

정기 교환 부품은 안전 운전을 위해 정기적으로

부품을 교환해 주십시오

.

상세한 내용은 9장

정기 교환 부품표

를 참조하

십시오

.

2

2-3

안전 및 주의 사항

올바른 운전자세

올바른 운전자세가 되도록 운전석과 핸들을

조정하여 주십시오

.

바람직한 운전자세는 좌석에 깊숙이 앉아 브

레이크 페달

,

클러치 페달을 끝까지 밟았을

때 무릎이 약간 굽혀지고

,

손목이 핸들의 가

장 먼 곳에 닿아야 합니다

.

모든 게이지 및 경고등을 확인하십시오

.

주차브레이크를 풀고 경고등이 소등되는지

점검하십시오

.

차의 주위에 사람이나 물체 등이 접촉하여 사

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 등이 없도록 확인

하십시오

.

경 고

운전이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 운행 전

에 운전석을 조정하십시오

.

운전 중 좌석 조정은 전방 시야 방해가 발생

하여 차량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좌석 전

·

후 조작 레버를 놓은 후 달칵 소

리가 나고

,

좌석이 움직임이 없는지 확

인하십시오

.

운행중 좌석 유동은 각종 조작을 어렵

게 하며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

외측 후면 미러

(

거울

)

를 운행 전에 알

맞게 조정하십시오

.

주행 중 시계 확보가 어려워 사고의 원

인이 됩니다

.

좌석 , 조향 핸들 , 미러 조정은 출발 전에

좌석, 조향 핸들, 미러는 출발 전에 조절하시

고 주행 시는 절대로 조작하지 마십시오.

내·외측의 미러를 조정하여, 충분한 시야를 확

보하십시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향 핸들은 반드시

주행 전에 신체에 알맞게 조절하십시오

.

모든 게이지 및 경고등을 확인하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경고등

이 꺼지는지 확인하십시오

.

차 주위에 사람이나 물체 등이 없는지 확인하

십시오

.

경 고

운전할 때 하이힐

,

슬리퍼 등 운전하기

불편한 신발을 신지 마십시오

.

가속 페

,

브레이크 페달 등의 조작능력이 저

하되어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주차 브레이크를 풀 때에는 차량이 움직

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

을 확실히 밟으십시오

.

2-4

운전석은 운전에 방해되는 물건이 없도록 안전벨트 착용

운전석 부근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십시오

.

빈 깡통 등이 페달 밑으로 굴러 들어가면 조

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

운전석 바닥 매트는 바닥에 고정되고 두껍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십시오

.

페달 조작을 방해

하여 사고의 위험이 있을수 있습니다

.

실내에 화물을 적재하지 마십시오

.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모든 좌석의 탑승자들은 가까운 거리라도 주

행 전에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

1

.

탑승자가 기대거나 구부리지 않고 좌석에

깊게 걸쳐 앉아

,

등을 등받이에 기대어 똑

바로 앉은 상태여야 합니다

.

2

.

안전벨트의 어깨띠

(

1

)

부분은 가슴 부위를

지나도록 해야 합니다

.

3

.

안전벨트

(

2

)

가 꼬이거나 짓눌린 상태에서

주행하지 마십시오

.

4

.

안전벨트의 골반띠

(

3

)

부분이 부드럽게 골

반 부분을 지나도록 해야 합니다

.

5

.

안전벨트를 버클

(

4

)

찰칵

소리가 날 때

까지 확실하게 밀어 넣으십시오

.

기타 주의사항

1

.

벨트의 어깨띠를 팔 밑으로 하거나 등뒤로 하

지 마십시오

.

2

.

안전벨트의 어깨띠가 목이나 얼굴을 지나지

않도록 하십시오

.

3

.

벨트 하나로 한번에 두 사람 이상이 함께 착

용하지 마십시오

.

4

.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좌석 등받이를 뒤

로 눕히면 만일의 경우

,

안전벨트 아래로 신

체가 빠져나와 안전벨트에 목이 걸리거나 심

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2-5

2

안전 및 주의 사항

규격타이어 장착 및 타이어공기압 수시점검 주 · 정차중 차내 주의사항

타이어는 본 차량에 적합한 규격의 타이어를

사용하시고

,

바닥면과의 접지상태 확인 및 적

정공기압을 유지시켜 주십시오

.

스페어타이

어의 공기압도 수시로 점검해 주십시오

.

항상 지정된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

경 고

장시간 주차 및 정차 중에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시동이 걸린 채로 차안에 있거

나 수면을 취하지 마십시오

.

실내 산소 부족으로 인해 질식사의 우려

가 있으며 특히 에어컨이나 히터를 켠

상태로 밀폐된 차 안에 오래 있으면 질

식사의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

경 고

수면시 반드시 외기의 신선한 공기가 차

실내에 들어올 수 있도록 창문을 약간

열어주십시오

.

가속페달을 계속 밟고 있을 경우

,

오버

히트

,

엔진 및 배기관의 이상과열로 화

재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6

음주 , 과로운전금지

휴식을 취하지 않고 계속 운전하면 졸음이 오게

되어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최소한 2시간마다 휴식을 취하십시오

.

창문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것

경 고

음주운전은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

음주는 운전자의 판단

,

시력과 근육 조절

을 저하시키고

,

소량일지라도 운전자의

반사신경

,

인식

,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다

.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 뿐만 아니라 가

,

상대차량 운전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약물을 복용하고 운전하는 것은 복용한

약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음주운전 보다

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 후에

는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시오

.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않도록 하

십시오

.

대단히 위험합니다

.

특히 어린이와 함께 탈 경우는 항상 주의하여 주

십시오

.

2

2-7

안전 및 주의 사항

주행중 엔진정지 금지 정차 또는 주차 중 휴대전화기 사용요령

주행 중에는 시동 스위치를 끄지 마십시오

.

브레

이크의 성능저하 및 핸들조작이 불가능하게 되

어 매우 위험합니다

.

경 고

주행 중 휴대전화기의 사용은 법으로 금

지되어 있습니다

.

주행 중 운전자가 휴대전화기를 사용하

는 것은 집중력이 떨어져 매우 위험합니

.

휴대전화기는 반드시 차량을 안전한

곳에 주

·

정차 시킨 후 사용하십시오

.

차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오디오로부터 잡

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오디오의 고장이

아닙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전화를 오디오에서 될수

있는 한 멀리 떨어져서 사용하여 주십시오

.

차내에서 휴대전화나 무전기 등을 사용할 경우

는 별도의 외부안테나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

전기 자체의 내부 안테나를 사용하시면 차량의

전기 장치에 영향을 주어 안전운행에 나쁜 영향

을 줄 수가 있습니다

.

2-8

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두면 위험 주위안전 확인 주 · 정차시 배기관주변 주의사항

2

차에서 떠날 때는 어린이와 함께 가십시오

.

어린이만 차 안에 남겨둘 경우 차 내의 안전

과 관련된 장비를 만져 의외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여름철에는 차안의 온도가

올라가고 겨울철에는 추워지므로 대단히 위

험합니다

.

시동 키는 어린이 손에 닿지 않도록 항상 잘 관

리하시기 바랍니다

.

운전장치를 만지는 등 의

외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

후진시

차를 후진할 때 실내외 후면경에만 의존하지 말

고 직접 후방을 확인해 주십시오

.

도어를 열때

차에서 내릴때는 차 밖의 주위상황에 주의하여

도어를 여십시오

.

갑자기 도어를 열면 차량주위

의 행인

,

오토바이 등에 부딪혀 사고 발생의 위험

이 있습니다

.

동승자에게도 주의를 환기시켜 도

어를 열때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

여 주십시오

.

.

정차할 때 또는 워밍업할 때 또는 매연필

터장치

(DPF)

수동 재생시에는 배기관 주변

에 연소되기 쉬운 것이 가까이 있으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니 마른 낙엽이나 지푸라기

,

,

오일

,

타이어 등 연소되기 쉬운 물질이 있

는 곳에는 주

·

정차 시키지 마십시오

.

특히 배기 토출구 근처와 배기가스가 배출되

는 방향에 다른 물건

(

차량

)

이 없도록 주의 하

십시오

.

배기가스 열로 인한 물건

(

차량

)

화재

,

부품의 변형 또는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습

니다

.

출발 전에 수시로 배기관 주위 또는 배기관에

연소되기 쉬운 이물질이 오염되어 있거나 붙

어 있으면 제거하여 주십시오

.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2-9

안전 및 주의 사항

차량 뒷부분이 벽 등에 닿은 상태에서 장시간

워밍업이나 고속 공회전을 하면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벽 등이 변색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배기관 끝단 거리를 충분히 유지하

십시오

.

주행 후 배기관에 신체의 부위가 접촉하지 않

도록 주의하십시오

.

배기관에 접촉 시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적재함 사용시 주의사항

개방상태로 주행금지

적재함을 열어놓은 상태로 주행하지 마십시오

.

경 고

과적은 법으로 금지 되어

과적을 하지 마십시오

.

있습니다

.

과적은 차량의 수명을 단축 시킵니다

.

특히 조향장치와 브레이크 성능 저하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

화물의 확실한 고정

적재함의 화물이 추락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하십시오

.

특히 날카로운 화물

(

철판 등

)

의 적재시 급제

동하게 될 경우 화물이 운전석으로 침범하여

탑승자의 생명을 위협 할 수 있으며 주위차량

에도 위험요소가 됩니다

.

주 의

총 중량에 맞추어 화물을 적재하고 전

·

후륜

타이어에 하중이 고루 미치도록 하십시오

.

2-10

밀폐된 공간에서의 워밍업

,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또는 차량 점검 금지

주차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적재함에 승차금지

적재함에 사람을 태우고 운행하지 마십시오

.

차량 주행중 급정거 또는 사고 발생시 상해를 당

할 수 있습니다

.

리어게이트 사용시 주의사항

적재함의 리어게이트를 수평으로 연 상태에서

작업할 경우 게이트 체인을 확실하게 고정하

고 게이트 위에 올라서서 작업하지 마십시오

.

체인이나 게이트가 파손되는 경우 또는 미끄

러지는 경우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밀폐된 공간에서 시동을 걸어 놓으면 배기가

스가 차안으로 유입되어 위험합니다

.

엔진 워밍업시 또는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

재생시에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하십시오

.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는 장소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어 두면 배기가스에 중

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긴

,

기어변속기를 오르막길에서는

1단

,

내리막

길에서는

R

(

후진

)

로 놓고 바퀴에 고임목을 설

치 하십시오

.

급경사 길에는 주차시키지 마십시

.

그렇지 않으면 예상치 않은 차량의 이동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11

2

안전 및 주의 사항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때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는 우선 멈추어

안전을 확인한 후

,

가능한 저단기어를 사용하여

변속하지 말고 신속히 빠져 나오십시오

.

액세서리의 장착

액세서리를 장착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

1

.

규격품 이외의 타이어를 장착할 경우 차체떨

,

연료소비 과다

,

주행성능 불량 등의 원인

이 되며 동력전달계통의 조기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2

.

각종 전기장치를 추가 장착하는 경우 배선손

,

전파장애 등으로 오디오 등의 각종 전기

장치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

3

.

프레임에 용접을 하지 마십시오

.

열에 의한

강도 저하 및 변형

,

국부부식 등으로 조기 파

손 될 수 있습니다

.

4

.

프레임에 타부품을 장착 또는 체결을 해야할

경우 표준 등간격 홀을 이용 하십시오

.

임의

로 홀을 가공하여 사용할 경우 프레임이 약화

되어 과적 또는 요철 도로 운전 등과 같은 조

건하에서 파손될 수 있습니다

.

5

.

과도한 전기장치 추가 시

,

발전기 충전 용량

부족에 의한 배터리 방전의 원인이 될 수 있

습니다

.

차량 용접시 주의사항

주 의

차량의 용접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여 주십시

.

용접 시 부주의에 의해 전기장치 및

ECU

등이 오작동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차량에 용접작업을 할 때는 다음 사항을

반드시 준수하여 주십시오

.

-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OFF

하여

주십시오

.

-

용접작업을 할 때는 배터리

-

단자

(

극선

)

을 반드시 분리하여 테이프 또는

고무 캡 등으로 씌워 주십시오

.

음극선

을 분리하지 않을 때에는 차량의 전기

장치에 손상이 갈 수 있습니다

.

2-12

주 의

-

차량의 각

ECU

및 커넥터는 반드시

분리하십시오

.

분리하지 않는 경우에

는 용접 시 고전압으로 인해 각

ECU

가 손상되어

,

오작동으로 인해 사고

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

요소수 시스템 장착 차량 용접을 할 때

DCU(Dosing Control Unit), Nox

,

요소수 펌프 커넥터

,

요소수 인젝

터 커넥터를 반드시 분리하고 용접을

하십시오

.

분리하지 않고 용접시

DCU

및 각 센서가 고전압으로 손상 될 수

있습니다

.

-

용접기의 접지선은 연료탱크에 연결

하지 마십시오

.

또한 용접 불꽃이 연료

탱크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꽃에 의해 화재가 일어날 위험이 있습

니다

.

-

용접작업 완료 후 배터리

-

단자

및 커넥터는 확실히 조립하고

,

용접

부 및 페인트 제거 부위는 방청도장

을 실시하십시오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 안내

주 의

ECU

및 전기장치 장착차량 정비시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

전기장치의 심각한 고장

을 일으킬수 있으며

,

오작동으로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특히 용접 관련작업시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 이외에서는 정비를

하지마십시오

.

취급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는 간단한 점검 및 정

비 이외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아 주십시오

.

2

2-13

안전 및 주의 사항

순정부품

스티커

(

홀로그램

규격품 ) 이용

포장

HMC

순정부품은 자사의 신차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부품으로 엄격한 검사에 합격되어 그

품질이 보증되고 있습니다

.

순정부품은 다음 마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

상세한 사항은 본 책자의

보증수리 안내

편을

참조하십시오

.

기타 주의사항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시동을 걸 때나

,

여름

철에 에어컨 등을 가동시킬 때는 평상시보다

엔진회전수

(rpm)

가 높아서 차량을 움직일 경

우에는 평상시보다 차량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

임의로 원격시동장치 등 전기

,

전자장치를 설

치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

개조할 경우

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사고

방지를 위해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고 키를

빼 주십시오

.

정차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

크를 작동시키십시오

.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경우에는 차량간의

페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 하십시오

.

구입후 1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실내에는 인

체에 해로운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

존재할 수 있으므로 탑승시 항상 모든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십시오

.

특히 날씨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 장시간

주차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아질 경우 두통이

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운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모드로 선택하여 차량 안

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약자입니다

.

2-14

터보차저 장착차의 취급

인터쿨러

에어클리너

충분한 공회전 실시

← 압축공기

터보차저

압축냉각

공기

→ →

컴프

레서 → →

터빈

배출

가스

약 5만

~

20만

rpm

실린더

TCI(Turbo Charger Intercooler,

터보차저 인터

쿨러

)

엔진은 엔진의 흡입공기를 컴프레서로 압

축시켜 강제로 높은 밀도의 흡기를 공급하는

Turbo Charger(

터보차저

)

와 흡입된 고온의 공

기를 냉각시켜 충진효율

(

실린더에 공급되는 흡기

의 밀도

)

을 향상시키는 흡기 냉각기인

Intercooler

(

인터쿨러

)

를 함께 가진 엔진을 의미하며

,

일반

엔진보다 고출력

,

고성능을 발휘함은 물론

,

일반

터보차저 엔진보다도 높은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장치입니다

.

터보차저 장착자 점검 요령

터보차저의 고장은 대부분 윤활유 공급부족

,

엔진오일 오염

,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압축기

날개 손상 등에 의해 발생됩니다

.

점검을 위하여 에어클리너 엘리먼트를 장착

하지 않고 고속 회전시키는 것을 삼가하십시

.

컴프레서

(

압축기

)

날개 손상의 원인이 됩

니다

.

터보차저 엔진은 일반 엔진에 비해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므로 갑작스럽게 엔진시동을 끄

면 엔진이 과열될 우려가 있습니다

.

약1분간 공회전후 엔진을 정지시키십시오

.

인터쿨러 내의 오일 배출은 매 50

,

000

km

다 드레인 플러그를 탈거하고 배출하십시오

.

그리고 동절기가 시작되기 전인 11월경에도

배출하여 주십시오

.

2

2-15

안전 및 주의 사항

운전시 주의사항

(1) 오일량, 오일압력 확인

시동전 오일량을 확인하고 시동후 오일압

력이 정상적으로 상승되는지 확인합니다

.

(4) 주,정차시 급속한 엔진 정지 금지

터보 차져는 운행 중 고온 상태이므로 급

속한 엔진 정지로 인한 열방출이 안되기

때문에 터보차저 베어링부의 소착등이 발

생될 수도 있으므로 충분한 공회전을 실

시하여 터보 차져의 온도를 식힌 후 시동

을 끄도록 합니다

.

(2) 웜업(WARM UP)실시

초기 시동시 냉각된 엔진이 따뜻해 질때까

지 3∼10분정도 공회전을 시켜 주어 엔진

이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운행전

예비회전을 시켜주어야 합니다

.

(5) 무부하 급가속 금지

공회전 또는 웜업시의 무부하 상태에서 급

가속을 하는 것도 터보 차져 각부의 손상

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를 삼가합니다

.

(3) 급가속, 급출발 금지

시동후 급가속

,

급출발은 엔진 자체뿐만

아니라 터보 차져 각 부위의 손상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

6

)

주차 브레이크 해제시 주차 브레이크 작

동 표시등

( )

이 사라지지 않으면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긴 후 해제를 재시도하

고 그래도 작독등이 사라지지 않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원인

을 꼭 확인하고 조치 후 주행해야합니다

.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 요령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은 엔

진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수냉식

EGR

쿨러를 거쳐 냉각 시킨 후 흡입공기와 혼합

하여 연소실로 재순환시키는 장치로서 일반 엔

진에 비하여 질소 산화물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치 입니다

.

2-16

EGR

시스템 장착차 취급요령

EGR

시스템의 고장은 대부분 냉각수 공급

부족

,

외부의 무리한 충격

,

부품 교환시 정비

요령 미 준수에 의해 발생됩니다

.

냉각수 부족 상태 혹은 엔진 과열 경고등 점

등 상태에서 운전을 지속했을 경우

EGR

러 내부 파손 및 엔진 전체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냉각수 부족이나 엔진 과열 시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요령

점검 등을 위하여

EGR

밸브 및

EGR

쿨러를 밟고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주 의

EGR

관련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어 질

소산화물 배출량이 허용기준을 초과하

는 경우 요소수 시스템 경고등

, OBD

고등이 점등되며 출력저하 및 차속제한

현상이 나타나면

,

즉시 가까운 자사 직

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아주십시오

.

주행 중에 아래와 같은 원인으로 엔진

경고등

( )

또는 엔진 과열 경고등

( )

과 함께 출력저하 현상이 나타나면

,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받아 주십시

.

-

엔진 과열에 의한 냉각수 온도상승

- EGR

관련 장치의 고장

-

연료 공급 압력 이상

2

2-17

안전 및 주의 사항

배출가스 저감장치 (DPF+ 요소수시스템 ) 장착차 취급

배출가스 저감장치 (DPF+ 요소수시스템 ) 란 ?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유

해한 배기가스 성분

(HC, CO, NOx & PM)

DPF

SCR

촉매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성분

,

즉 물

(H

2

O),

이산화탄소

(CO

2

)

및 질소

(N

2

)

성분으로 분해합니다

.

이를 위하

여 배출가스저감장치는 내부에 촉매장치 부

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디젤산화

촉매

) : HC

CO

를 저감하고 또한 매연의

일부를 저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DPF

에 축적된 매연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2

CO+O

2

2

CO,

4

CmHn+(

4

m+n)O

2

4

mCO

2

+

2

nH

2

O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필터장치

)

시스템

:

디젤산화촉매와 매연필터장치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

엔진에서 배출된 매연은 매연

필터장치 내부에 물리적으로 축적되고

,

엔진

후분사 및 배기관 내부에 분사된 연료에 의하

여 고열이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제거됩니다

.

C+O

2

CO

2

2-18

요소수

(

우레아

)

시스템

:

환원제

(

요소수

)

를 이

용하여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

(NOx)

을 물과

질소로 환원시키는 촉매정화장치입니다

.

2

NH

3

+ NO + NO

2

2

N

2

+

3

H

2

O

HCI(Hydro Carbon Injection)

시스템

: DPF

재생을 위해 배기관에 연료를 분사하는 시스

템입니다

.

취급시 주의 사항

배출가스저감장치에는 촉매가 내장되어 있으

므로 발로 차는 등 외부 충격을 주지 마십시오

.

촉매가 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

배출가스 저감장치 및 배기관의 길이나 방향

을 임의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

배기가스 정화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

.

배기관에서 나오는 물에 피부가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촉매 작용에 의해 약산성으로 피부

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피부에 닿으면 물로

충분히 씻어 내십시오

.

매연필터장치

(DPF)

는 일정 거리 주행 후

,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

비를 받아 주십시오

.(

점검 주기 8만 km

또는

1년

)

매연필터장치

(DPF)

2회 점검 시

, DPF

의 잔

류재

(ASH CLEANING)

청소를 실시해 주십

시오

.(

2년 또는 16만 km.

사용 조건

,

사용 엔

진오일에 따라 잔류재 청소 주기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잔류재 청소

를 실시해 주십시오

.)

매연필터장치

(DPF)

장착 차량은 규정된 연료

와 지정된 엔진오일만을 사용하십시오

.

우레아 시스템 장착 차량은 규정된 요소수

(

레아

)

만을 주입하여 사용하십시오

.

불량 연료 및 요소수을 사용할 경우

,

촉매의 손

상을 일으켜 엔진 고장 및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어 고가의 교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지정되지 않은 일반 엔진오일을 사용할 경우

,

DPF

의 잔류재 청소 주기가 짧아지게 되고 연

비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

배기정화장치는 매우 복잡한 제어 장치 통제

를 받음으로 임의 구조 변경은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

매연필터장치

(DPF)

경고등이 점등 또는 점

멸되는 상태에서 차량 운행을 계속되면

,

배기

정화장치가 손상될 수 있어 신속하게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점검 및 정비를 받으

십시오

.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고열이 발생하는 장치

이오니 정비는 충분한 시간 경과 후

,

배출가

스 저감장치의 표면이 충분히 식은 후 작업을

실시하여 주십시오

.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2

2-19

안전 및 주의 사항

엔진 이상으로 수리 시

,

매연필터장치

(DPF)

이상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고

,

정비 후 수동

재생을 실시하십시오

.

요소수 시스템

(

요소수 인젝터

,

요소수 펌프

,

DCU)

는 엔진 시동을 꺼도 시스템 내부의 요소

(

우레아

)

를 비우기 위한 기능이 약 2분간 계속

됩니다

.

시스템 점검시에는 이 기능이 완료된 후

에 실시하십시오

.

주 의

매연필터장치

(DPF) &

요소수 시스템

관련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어 매연 및 질

소산화물 배출량이 허용 기준을 초과하

는 경우

, OBD

경고등 점멸 및 엔진 출력

저하 현상이 나타나면

,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

검 및 정비를 받아 주십시오

.

부적합한 요소수

(

우레아

)

및 유사 경유

를 사용할 경우

,

촉매의 기능 저하로 촉

매 손상 및 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

니다

.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내부에 촉매가 내

장되어 있으므로 절대 세척하지 마십시

.

세척 시 촉매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임의의 장치 부착 또는 관련 부품 조작

으로 요소수가 소모되지 않을 시에는 질

소산화물 배출량이 허용 기준 이상 초과

되어

OBD

경고등 및 요소수 시스템 경

고등이 점멸되면서 엔진 출력과 차량의

속도를 제한 합니다

.

주 의

매연필터장치

(DPF)

2회 점검 시

, DPF

의 잔류재 청소를 실시해 주십시오

. (

2년

또는 16만

km

마다 청소하십시오

.

그러

나 사용 조건

,

사용 엔진오일에 따라 잔

류재 청소 주기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잔류재 청소를 실

시해 주십시오

.)

지정되지 않은 일반 엔진오일을 사용할

경우

, DPF

의 잔류재 청소 주기가 짧아

지게 되고 연비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요소수 시스템은 요소수 분사로 인하여

배기관 내 흰색 요소수 고형물이 관찰될

수 있으나

,

재생 후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

2-20

신차 취급요령

주 의

수동 재생 시

,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매

연의 재생을 위하여 고열

(

600

이상

)

발생되오니 반드시 실외에서 주변 인화

물 여부

(

특히

,

건초

)

를 확인 후

,

실시 하

십시오

.

위험물 운송 차량의 경우 수동 재생시

,

배기계 주변에 오일 및 연료 잔여물이

없는지 꼭 확인하십시오

.

또 위험물 상

하차 작업시나 작업공간 내에서 수동 재

생을 실시하지 마십시오

.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1

,

000 km

주행까지는 길들이기 운전입니다

.

길들이기 운전중의 취급 방법에 의해서 이후의

수명이나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

.

다음 사항을 꼭 지켜주십시오

.

엔진 회전수를 2

,

000 rpm

이하로 낮춰 주십시오

.

웜업 운전은 수온계의 바늘이 움직이기 시작

할 때까지 충분히 실시해 주십시오

.

급출발

,

급가속

,

급브레이크는 불가피한 경우

이외는 피해 주십시오

.

초기 길들이기에 따라 오일의 열화가 빠르게

됩니다

.

2

2-21

안전 장치

좌석

.....................................................................................

3

-

2

운전석

..............................................................................

3

-

2

동승석

..............................................................................

3

-

5

더블캡 엔진룸 점검

...........................................................

3

-

6

안전벨트

..............................................................................

3

-

7

3점식 안전벨트

.................................................................

3

-

9

2점식 안전벨트

...............................................................

3

-

10

안전벨트의 적절한 사용 및 관리

......................................

3

-

12

리어가드

............................................................................

3

-

12

1

3

안전 장치

좌석

운전석

페달이나 조향 핸들 등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정하십시오

.

주 의

좌석 자리면에 방석이나 대자리

,

별도 커버

링 추가시 앉는 자세가 변하여 사용중 불편

함을 유발하게 됩니다

.

경 고

좌석 조정을 한 후에는 반드시 좌석이

확실히 고정되었는지 확인 하십시오

.

앞좌석 밑에는 어떤 물건도 놓아두지 마

십시오

.

운전자의 발 근처에 움직이는 물

건이 있으면

,

브레이크나 클러치 또는 가

속 페달 작동시 간섭이 되어 심각한 사고

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경 고

주행 중에는 절대로 좌석을 조절하지 마

십시오

.

주행 중 좌석을 조절하면 운전

능력을 잃게 되어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

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안전벨트는 곧은 자세로 앉아 편안하게 착

용하고 골반 부분을 지나도록 하십시오

.

좌석 각도를 조절할 때는 등받이가 정상

적인 위치에 있도록 간섭 되는 물건을

제거 하십시오

.

간섭이 되면

,

등받이가

고정되지 않아

,

급정차나 충돌 사고시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

니다

.

항상 등받이를 세워

에서 주행하십시오

.

정상적인 착석 위치

·

후 위치의 조절

좌석 아래 앞쪽에 위치한 잠금해제 레버를 위로

당긴 상태에서 좌석의 전

·

후 위치를 조절한 후

레버에서 손을 떼면 고정됩니다

.

조절 후에는 좌석을 가볍게 흔들어 확실하게 고

정되어 있는가 확인한 후에 사용하십시오

.

3-2

좌석 각도의 조절

좌석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등을 약간 숙인

후 레버를 들어 올리십시오

.

레버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기댄

후 레버를 놓으십시오

.

조절이 끝나면 레버의 위치가 처음의 상태로 되

돌아와 좌석이 확실히 고정되었는지 확인한 후

에 사용하십시오

.

경 고

충돌 또는 급정차시 부상의 최소화를 위해

운전자 및 동승자는 주행중 좌석 등받이를

곧게 세운 편안한 위치에 놓아 주십시오

.

좌석의 각도를 과도하게 기울이면 충돌 또

는 급정차시 탑승자가 안전벨트 아래로 미

끄러져 안전벨트의 보호를 제대로 받을 수

없습니다

.

좌석쿠션 조절

운전자의 몸무게에 따라 좌석쿠션 조절노브를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 좌석의 상하운동량을 조

절할 수 있습니다

.

3

3-3

안전 장치

A 타입

B

타입

암레스트

암레스트를 조정하여 편안한 위치를 유지하십시오

.

주 의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할 때는 운전석 우측

암레스트를 후방으로 접고 사용하십시오

.

운전석 히터 스위치

시동 키

ON

상태에서

,

스위치를 누르면 운전석

이 따뜻하게 됩니다

.

다시 한번 스위치를 누르면 작동이 해제 됩니다

.

경 고

과열 방지를 위해 좌석에 모포나 방석 등을

올려놓은 상태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

3-4

주 의

요철 형태의 중량 물을 좌석 위에 올려

놓거나 바늘

,

정과 같은 예리한 물건을

올려 놓지 않도록 하십시오

.

좌석을 세척할 때 신나

,

벤젠

,

알코올

,

솔린 등의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마십시

.

히터 및 좌석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

가 있습니다

.

경 고

히터 사용 중 아래의 사람은 발열 또는 저

온 화상 등의 염려가 있으므로 사용시 주의

하십시오

.

1

.

유아

,

어린이

,

노인

,

신체 부자유자 또는

기타 질병이 있는 분

2

.

피부가 약한 분

3

.

과로한 분

4

.

과음한 분

5

.

졸음이 올 수 있는 약

(

수면제

,

감기약

)

복용한 분

고정 해제

노브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

머리 뒷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고정 해제 노브를 돌리면 헤드레스트가 움직

입니다

.

헤드레스트의 중앙부를 눈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합니다

.

동승석

좌석 각도의 조절

좌석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등을 약간 숙인

후 레버

(

1

)

를 들어 올리십시오

.

레버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기댄

후 레버를 놓으십시오

.

조절이 끝나면 레버의 위치가 처음의 상태로 되

돌아와 좌석이 확실히 고정되었는지 확인한 후

에 사용하십시오

.

경 고

충돌 또는 급정차시 부상의 최소화를 위해

운전자 및 동승자는 주행중 좌석 등받이를

곧게 세운 편안한 위치에 놓아 주십시오

.

좌석의 각도를 과도하게 기울이면 충돌 또

는 급정차시 탑승자가 안전벨트 아래로 미

끄러져 안전벨트의 보호를 제대로 받을 수

없습니다

.

3

3-5

안전 장치

고정 해제

노브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

머리 뒷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고정 해제 노브를 돌리면 헤드레스트가 움직

입니다

.

헤드레스트의 중앙부를 눈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합니다

.

센터 등받이 좌석 콘솔

1

)

콘솔로 사용할 때는 레버를 밀어 등받이

좌석을 앞으로 접은 후 사용하십시오

.

2

)

좌석으로 사용할 때는 레버를 위로 밀어

등받이 좌석을 올려 사용하십시오

.

더블캡 엔진룸 점검

1

.

양쪽의 클램프 레버를 당겨 올려 클램프 잠금

을 해제합니다

3-6

안전벨트

2

.

좌석 쿠션을 들어 올려 고정용 끈을 좌석 아

래쪽에 걸어 좌석을 고정하십시오

.

경 고

고정용 끈을 좌석아래 후크에 확실히 고정

하십시오

.

확실히 고정하지 않으면 예기치

않는 하강으로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3

.

커버 메트를 탈거 하십시오

.

클램프 4개의 잠

금을 해제하고 점검 커버를 탈거하고 엔진룸

을 점검 하십시오

.

안전벨트는 만일의 경우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

전을 지켜 줍니다

.

운행시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

용하십시오

.

안전벨트는 다음 사용방법

,

주의사

항을 준수해 운전하기 전에 꼭 착용하십시오

.

3

3-7

안전 장치

경 고

허리부의 안전벨트는 복부에 착용하지

마십시오

.

차량 충돌시 복부파열 등 부

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안전벨트는 꼬이지 않도록 착용하십시오

.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좌석등받이

를 젖혀 눕지 않도록 하십시오

.

강한 충

돌의 경우 안전벨트의 아래로 몸이 빠

져 나와 안전벨트에 목이 걸리는 등 부

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임신중의 여성이나 환자는 급정차

,

추돌 사고등의 경우 복부 등에 강한

힘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

하여 사용 하십시오

.

안전벨트는 1인용 입니다

.

2인 이상 사

용하지 마십시오

.

안전벨트가 손상되거나 정상으로 작동

하지 않는 경우 안전을 위하여 가능한 빨

리 교환하십시오

.

어깨부의 안전벨트를

도록 내리지 마십시오

.

팔 안쪽으로 지나

경 고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벨트에 강한 충격

을 받은 경우에는 외관상 이상이 없어

도 꼭 교환하십시오

.

경미한 사고인 경

우라도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블루핸

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안전벨트는 마모되거나 손상된 곳이 없

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

각 안전벨트를 끝까지 당겨서 많이 마모

된 곳이 없는지 점검하십시오

.

그리고 안

전벨트

(

3점식

)

가 쉽고 부드럽게 다시 감

기는지 확인하십시오

.

버클과 플레이트

가 정상적으로 채워지고

(

찰칵

소리가

),

풀리는지 점검하십시오

.

노후되었거

나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안전벨트

는 빨리 교환하십시오

.

안전벨트가 꼬이거나 짓눌린 상태에서

주행하지 마십시오

.

꼬이거나 짓눌린 상

태가 오래 되었거나 원상회복이 되지 않

을 경우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에서 점검 및 교환하십시오

.

경 고

안전벨트

(

3점식

)

의 어깨 부위가

얼굴을 지나지 않도록 하십시오

.

목이나

골반 부위의 안전벨트는 가능한 낮게 조

절해서 골반 부분까지 내려오게 골반 띠

를 허리부위에 착용하지 마십시오

.

사고

시 복부에 압력을 가하여 장파열 등 심각

한 상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안전벨트에 별도의 보조장치나 액세서

리를 장착하면 안전벨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니 어떠한 것도

장착하지 마십시오

.

사고시 더 큰 부상

을 당할 위험이 있습니다

.

주행 중에 좌석 등받이는 항상 편안하

고 똑바로 세워져 있어야 합니다

.

안전

벨트는 등받이가 똑바로 세워져 있을

,

최대의 보호 기능을 발휘합니다

.

3-8

임산부의 안전벨트 착용

임산부는 의사가 지시하는 대로 따르고

,

가능하

면 항상 3점식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

골반 부분의 안전벨트는 편안하고 가급적 복부

밑 부분으로 착용되어야 합니다

.

경 고

임산부는 골반 부분의 안전벨트를 태아가

위치한 복부위로 착용해서는 안됩니다

.

돌 시 안전벨트가 태아를 누를 수 있습니다

.

3점식 안전벨트

1

.

플레이트

(

1

)

와 벨트를 잡으십시오

.

2

.

벨트를 천천히 당기십시오

.

3

.

플레이트

(

1

)

찰칵

소리가 날 때까지 버클

(

2

)

에 밀어 넣으십시오

.

그리고 안전벨트가 확실히 채워졌는지 손으

로 안전벨트를 세게 당겨 확인하십시오

.

착용할 때는

골반띠는 반드시 복부 아래 골반 부분에 착용

하여 사고 시 벨트 밑으로 몸이 빠져나가거나

복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십시오

.

전벨트의 어깨띠를 당겨서 편안하게 길이를

조절하십시오

.

벨트를 감아주는 장치는 벨트

에 장력을 주어 늘어진 벨트를 자동으로 당겨

줍니다

.

안전을 위하여

,

안전벨트를 너무 느

슨하게 착용하지 마십시오

.

안전벨트 착용 시 간혹 안전벨트가 빠지지 않

을 경우에는 , 힘을 주어 안전벨트를 당긴 후 놓

았다가 다시 한번 당기면 부드럽게 인출됩니다

.

3

3-9

안전 장치

경 고

안전벨트는 허리가 아닌 골반 부분에 착용

하십시오

.

안전벨트를 골반 부분에 확실히

착용하지 않으면

,

충돌 시 복부 파열 등 부

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풀 때는

버클에 있는 해제 버튼

(

1

)

을 누른 상태에서

플레이트를 당겨 빼십시오

.

플레이트가 유리창에 부딪히지 않도록 플레

이트를 잡고 천천히 안전벨트가 감기도록 하

십시오

.

2점식 안전벨트

허리에 맞추어 안전벨트의 길이를 조정합니다

.

착용할 때는

(

1

)

안전벨트가 꼬여 있지 않은가를 확인한 후

안전벨트를 플레이트와 직각으로해서 안

전벨트를 착용할 때에 허리부와 안전벨트

사이에 손목이 들어갈 정도의 길이로 조정

합니다

.

3-10

3점식 버클

2점식 버클

(

2

)

플레이트를 버클에 소리가 날 때까지 끼워

넣습니다

.

안전벨트는 복부아래 골반 부분

에 가능한 낮게 위치 시키십시오

.

주 의

2점식

(

중앙

)

과 3점식

(

·

우측

)

안전벨트의

버클과 플레이트를 구분해 사용 하십시오

.

풀 때는

버클의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

3

3-11

안전 장치

안전벨트의 적절한 사용 및 관리

모든 사고로부터의 안전을 위해

,

다음 지시사항

을 따라 주십시오

.

짧은 거리를 주행할 때라도 항상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

안전벨트가 꼬였으면 사용하기 전에 풀어주십

시오

.

안전벨트 관련 부품들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었

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하십시오

.

마모되었거나 손상된 부품은 교환하십시오

.

안전벨트를 청소할 때는 내장재나 카펫 청소에

사용되는 부드러운 비누 액을 사용하십시오

.

리어가드

주 의

안전벨트가 뾰족한 끝부분이나 훼손될 수

있는 물건에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안전벨트를 개조하거나 추가하지 마십

시오

.

도어를 닫을 때

,

안전벨트가 끼이지 않도

록 하십시오

.

경 고

안전벨트를 표백하거나

,

염색하지 마십시

.

안전벨트가 약해져서 충돌 시 끊어질

수 있습니다

.

후방 충돌시 차체 손상을 방지하며

,

적재함 승하

차시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3-12

편의 장치

키의 사용방법

......................................................................

4

-

4

무선 도어 잠금 장치

.............................................................

4

-

5

리모컨 키 사용방법

...........................................................

4

-

5

건전지 교환방법

...............................................................

4

-

6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

4

-

7

마스터 키

(

검정색

) .............................................................

4

-

7

림프 홈 .............................................................................

4 7

도난 경보 장치

.....................................................................

4

-

8

도어

.....................................................................................

4

-

9

차 밖에서

........................................................................

4

-

9

차 안에서의 잠금 / 잠금 해제 ...............................................

4 9

중앙잠금장치

..................................................................

4

-

10

유리창 개폐장치

.............................................................

4

-

11

적재함 개폐

.......................................................................

4

-

12

사이드 게이트 .................................................................

4 12

리어 게이트

....................................................................

4

-

15

연료주입구

........................................................................

4

-

16

키 타입

...........................................................................

4

-

16

요소수 ( 우레아 ) 탱크 주입구 ...............................................

4 17

요소수

(

우레아

)

주의 사항

................................................

4

-

19

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

....................................................

4

-

19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

....................................................

4

-

19

요소수

(

우레아

)

보관

.......................................................

4

-

19

요소수

(

우레아

)

폐기

.......................................................

4

-

19

순도

................................................................................

4

-

20

캡의 틸팅

...........................................................................

4

-

20

캡 틸팅시 주의사항 .........................................................

4 20

캡을 올릴 때

...................................................................

4

-

21

캡을 내릴때

....................................................................

4

-

21

조향 핸들

...........................................................................

4

-

22

조향 핸들의 상하 조정 ....................................................

4 22

동력조향장치

(

파워 스티어링

) .........................................

4

-

22

경음기

............................................................................

4

-

23

미러

...................................................................................

4

-

23

실내 미러 ........................................................................

4 23

실외

................................................................................

4

-

24

계기판

...............................................................................

4

-

26

계측기

............................................................................

4

-

27

트립 컴퓨터 ....................................................................

4 30

표시등 및 경고등

...............................................................

4

-

35

1

4

4

편의 장치

비상경고등

........................................................................

4

-

49

조명

...................................................................................

4

-

49

배터리 방전 방지 기능

....................................................

4

-

49

주간주행등

(DRL: Daytime Running Light) ....................

4

-

50

조명 위치

........................................................................

4

-

50

전조등 상향

,

하향 변환

...................................................

4

-

52

방향지시 및 차선변경 .....................................................

4 52

안개등

............................................................................

4

-

53

와이퍼

/

와셔

.......................................................................

4

-

53

앞유리 와이퍼

/

와셔

.........................................................

4

-

53

와이퍼 작동 ....................................................................

4 53

와셔액 분출

....................................................................

4

-

54

실내등

...............................................................................

4

-

55

A

타입

...........................................................................

4

-

55

B 타입 ...........................................................................

4 55

도어 스텝 램프

................................................................

4

-

56

작업등 스위치

.................................................................

4

-

56

히터 및 에어컨

...................................................................

4

-

57

히터 및 에어컨 조절 방법 ................................................

4 58

송풍 온도 조절 스위치

(

1

) ................................................

4

-

58

풍량 조절 스위치

(

2

) ........................................................

4

-

59

바람방향 조절 스위치

(

3

) .................................................

4

-

59

/

외 공기 선택 스위치

(

5

) ...............................................

4

-

60

히터

................................................................................

4

-

61

에어컨

(

4

) ........................................................................

4

-

62

에어컨 정비 및 점검

........................................................

4

-

64

유리창 습기 / 성에 제거 방법 ................................................

4 66

수동 조절식

....................................................................

4

-

66

무시동 히터

.......................................................................

4

-

68

초기설정방법

..................................................................

4

-

68

히터의 동작 ..................................................................

4 68

동작 중 온도 설정

...........................................................

4

-

69

시간 설정 및 요일설정

....................................................

4

-

70

프로그램

(

예약

)

설정

.......................................................

4

-

70

히터난방 작동시간 ..........................................................

4 72

오류화면

.........................................................................

4

-

72

다용도 보관함

....................................................................

4

-

73

루프콘솔

........................................................................

4

-

74

글로브 박스 ....................................................................

4 74

센터 좌석 콘솔

...............................................................

4

-

74

백콘솔

............................................................................

4

-

75

센터 콘솔

........................................................................

4

-

75

도어 포켓

........................................................................

4

-

75

실내 편의 장치

...................................................................

4

-

76

다용도 소켓

....................................................................

4

-

76

시가 라이터

....................................................................

4

-

77

컵홀더 ............................................................................

4 78

옷걸이 후크

....................................................................

4

-

78

선바이저

.........................................................................

4

-

78

멀티미디어 장치

................................................................

4

-

79

안테나 ............................................................................

4 79

오디오 리모컨

.................................................................

4

-

79

오디오

............................................................................

4

-

80

오디오 외부 입력 단자

....................................................

4

-

81

블루투스 핸즈프리 .........................................................

4 81

디지털 타코 그래프

...........................................................

4

-

83

A

타입

.............................................................................

4

-

83

B

타입

.............................................................................

4

-

86

1

4

편의 장치

키의 사용방법

A 타입 B 타입

차량 키를 사용하지 않고 문을 잠글 때는 키

를 차량내부에 놓아둔 채로 잠그지 않도록 주

의하시고

,

1개는 비상용으로 잘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

키를 분실 혹은 도난당했을 경우에는 차량을

분실하지 않도록 키세트 전체를 교환 해 주시

기 바랍니다

.

키를 빼고자 할 때

버튼을 누르면 키가 자동으로 펼쳐집니다

.

키를 넣고자 할 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키를 접으십시오

.

주 의

키를 차 안에 두고 내리지 마십시오

.

의 도난사고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

습니다

.

시중에서 임의 가공된 키를 사용하지 마

십시오

.

시동시 키 리턴

(START

ON)

이 되지 않아 시동 후에도 시동 모터가

계속 작동되어 시동 모터 손상 및 배선

의 과부하로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

니다

.

경 고

시동 키를 꽂지 않았더라도 키를 차에 두

,

어린이들만 차내에 남겨 두는 것은 위

험합니다

.

어린이들은 어른들의 행동을 모

방하여

,

시동 키를 꽂고 전동 유리창이나

다른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차를 움직여서 심각한 신체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아이들과 함께 키를

절대로 차내에 두지 마십시오

.

4-4

무선 도어 잠금 장치

리모컨 키 사용방법

도어 잠금 ( 1 )

해당 버튼을 누르면 도어가 잠깁니다

.

비상경고

등이 1회 작동하여 도어가 잠김을 알려줍니다

.

도어 잠금 해제 ( 2 )

해당 버튼을 누르면 도어가 잠금 해제됩니다

.

상경고등이 2회 작동하여 도어가 잠금 해제됨을

알려줍니다

.

이때

,

약 30초 이내에 도어를 열지

않으면 다시 잠깁니다

.

비상경보

/

알람

(

3

)

비상 경고

/

알람

(

3

)

버튼을 길게

(

1초 이상

)

누르

면 비상경고등 및 경보음이 약 30초간 작동하며

멈추고자 할 경우 리모컨 키 버튼 중 하나를 누

르십시오

.

리모컨 키 리마인더

시동키가 키실린더에 꽂혀 있거나 도어가 열

린 상태에서 차 안의 중앙 도어 개폐 장치 또

는 리모컨 키의 잠금 버튼으로 도어를 잠글

경우 도어는 잠기지 않고 다시 해제됩니다

.

리모컨 사용시 주의 사항

약 30 m

이내의 거리에서

,

리모컨으로 도어를 잠

그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

,

리모컨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

습니다

.

-

시동키가 꽂혀 있을 경우

-

작동 가능 거리

(

약 30 m)

이상의 거리에서 작

동할 경우

-

리모컨의 배터리가 약한 경우

-

다른 차나 물건에 가려 전파 방해를 받을 경우

-

날씨가 매우 추운 경우

4

4-5

편의 장치

리모컨 키는 완전방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내

부에 습기

(

음료수

,

수분 등

)

가 유입되거나

,

열 등 부적절한 취급 시 , 내부회로 손상으로

오작동의 원인이 되며

,

이 경우에는 보증 수

리를 받을 수 없습니다 .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리모컨 키에서 발생

되는 주파수 대에 강력한 인접주파수의 혼선

으로 리모컨 키의 작동 거리가 변하거나 작동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이런 경우에는 일반

키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십시오

.

- 경찰서 , 관공서 , 방송국 , 군부대 , 송신탑 , 공

,

항구 근처 등에 있을 때

- 근처의 타 차량에서 리모컨 키를 작동시키

고 있을 때

리모컨 키에 문제가 있을 때는 일반 키를 사용

하여 도어를 개폐하고 가급적 빨리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 하십시오 .

리모컨 키를 무전기 , 휴대전화와 같은 이동

송수신 제품과 같이 휴대 또는 보관하지 마십

시오

.

전파 혼선에 의해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건전지 교환방법

건전지는 보통 몇 년간 사용이 가능하나 리모컨

의 작동 횟수에 따라 수명이 달라 집니다

.

필요할

때 건전지를 교체하십시오

.

1

.

드라이버

(-)

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분리 하십시오

.

2

.

배터리를 규격

(CR

2032

×

1개

)

에 맞는 것으로

극성에 맞추어 교체 하십시오

.

3

.

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하십시오

.

주 의

크기가 다른 비규격품 건전지 사용시 접촉

불량으로 송신기 스위치가 간헐적으로 작

동불량이 될 수 있으니 필히 규격품을 구입

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4-6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기존 키의 기계적인 일

치뿐만 아니라 키와 키실린더

,

이모빌라이저 유

니트

,

엔진

ECU

등과 통신하여 암호 코드가 일치

할 경우에만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도난 방지용

장치입니다

.

마스터 키

(

검정색

)

마스터 키는 시동 및 도어 여닫이용 일반 키와 동

일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

손잡이 부분에 반도

체칩

(

트랜스폰더

)

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심한 충

격을 주지 마십시오

.

림프

-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 등으로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시동이 되지 않을때 가까

운 블루핸즈까지 운행하기 위해 임시로 시동

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

림프

-

홈은 키를 비밀번호 숫자에 맞게

ON

-

OFF

위치로 돌리는 과정을 반복하면 됩니

.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는 키를 5초이상

ON

한 후 비밀번호 순서대로 입력합니다

.

번호가 1이면

ON

(

0

.

2초

~

5초

)/

OFF

(

0

.

2

~

3

)

를 한번

,

2이면

ON

/

OFF

두번

식으로

합니다

.

단 0일 경우는 위의

ON

/

OFF

과정

을 10번 행해야 합니다

.

하나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3초

~

10초 사이에 다음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

비밀번호는 총4자리 입니다

.

만약 림프

-

홈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동이 걸

리지 않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

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차량 출고시 림프

-

홈 기능의 비밀번호는 저장

되어 있지 않습니다

.

림프

-

홈 기능을 사용하

고 싶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서 비밀번호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

주 의

차량의 모든 자물쇠는 같은 키로 작동되

,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문이 잠길 수

있으므로 차량 내부에 키를 두고 문을

잠그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십시오

.

열쇠고리에 두개이상의 시동 키를 걸어

사용하지 마십시오

.

동시에 두개의 트랜

스폰터를 감지하면 시동이 걸리지 않습

니다

.

마스터 키 보관시 기억할 수 있는 장소

에 두십시오

.

키를 분실했을 때

,

트랜스

폰더 내장형 키가 아닌 일반 복사 키를

사용하면

,

시스템을 취소할 수도

,

시동을

걸 수도 없습니다

.

마스터 키를 분실하거나 비밀번호를 잊

어버리지 마십시오

.

비밀번호는 항상 기

억하시고

,

만약 비밀번호와 마스터 키

둘 다 분실한 경우 고객센터

(

080

-

600

-

6000

)

나 긴급출동서비스

(

080

-

600

-

6000

ARS

1번

)

를 통해 안내 받으십시오

.

복제 키를 사용하면 시동이 걸리지 않습

니다

.

4

4-7

편의 장치

주 의

키나 시동 스위치 근처에 금속성의 장식

물을 달지 마십시오

.

금속성 장식물은 시동을 걸 때 시동 스

위치 내부로 전달되는 전파를 변형시켜

시동이 걸리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이 장착된 차에는

시중에서 파는 무선 시동 장치를 장착하

지 마십시오

.

장착할 때 차 시스템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차량 도난 방지 기능이 작동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도난 경보 장치

해제

상태

경계

상태

경보

상태

경계상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리모컨 스위치로 도어

를 잠근 후 30초 이후 경계상태로 진입하며

,

경계상태일 때 초기에 비상경고등이 1회 혼

이 1회

,

해제시 비상경고등 2회 점멸합니다

.

해제조건

경계 및 경보작동상태에서 리모컨의 도어 열

림버튼을 누를 경우에만 해제됩니다

.

경계상태에서 리모컨으로 도어를 열지 않고

키로 도어를 열면 즉시 경보합니다

.

이 때 경

보가 시작된 후 15초 이내에 시동키를

ACC

또는

ON

으로 돌리면 약 30초 후에 경보기

가 중지되고 경보는 해제됩니다

.

경 고

주 , 정차후 차량을 떠날 경우 경계상태의

확인을 위해 비상경고등의 점멸 여부를 확

인하십시오 .

비상경고등이 점멸하지 않을 경우 , 경계 모

드 미진입으로 도난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

으므로 신속히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정비 / 점검 받으시기 바랍니다 .

4-8

도어

차 밖에서

키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잠기고

,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열립니다

.

리모컨으로 도어를 잠금

,

해제 할 수 있습니다

.

(

무선 도어 잠금 장치

를 참조 하십시오

.)

키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를 잠글 때는 내부의

잠금 레버

(

빨간부분 안보임

)

를 앞쪽으로 밀고

,

도어를 닫으면 잠깁니다

.

확실히 잠겼는지 확

인하십시오

.

키 홈이 얼어 열리지 않을 때는 가볍게 두드리

거나 키를 뜨겁게 하여 여십시오

.

키나 잠금 레버로

잠김

열림

을 교대로

연속 조작하면 보호회로가 작동되어 일시적

으로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항상 키를 빼고

,

주차 브레이크를 걸어주십시

.

또 유리창을 닫고 도어를 잠근 뒤에 차에서

떠나십시오

.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 로크 노브를 잠금

위치로 밀어도 다시 열림 위치로 자동 복귀 됩

니다

.

차 실내에 키를 놓고 내리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한 키리마인드 기능으로 도어 스위치 상

태를 인식 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도어가 열렸

을 때는 수동으로 잠금 위치로 밀어도 도어 잠

김이 안됩니다

.

차 안에서의 잠금

/

잠금 해제

잠금 버튼을 사용할 때

도어를 잠글 때

도어 잠금 버튼

(

1

)

을 눌러

잠금

위치에 놓으

십시오

.

도어가 잠기면

,

도어 잠금 버튼의 빨

간 부분

(

2

)

이 보이지 않습니다

.

도어를 열 때

도어 잠금 버튼

(

1

)

을 당겨

해제

위치에 놓은

후 도어 핸들

(

3

)

을 당기십시오

.

4

4-9

편의 장치

운전석 도어는 도어 잠금 버튼

(

1

)

잠금

위치에 있어도 도어 핸들

(

3

)

만 잡아 당기면

도어 잠금 버튼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립

니다

.

키를 시동 스위치에 꽂아둔 상태에서 도어

를 열고 도어 잠금버튼이나 중앙 도어 잠금

스위치로 잠금하면 다시 해제되며 잠금되

지 않습니다

.

차가 움직일 때는 항상 도어를 잠가 주행 중

에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십시오

.

도어를

잠가 두면 차가 정차 중이거나 서행 할 때

,

타인이 도어를 열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주 의

도어 및 도어 핸들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마

십시오

.

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

경 고

차에서 내릴 때는 후방으로부터 오는 차

량이나 오토바이

,

자전거

,

보행자 등에

주의하여 도어를 여십시오

.

갑자기 도어

를 열면 위험합니다

.

주행전에 도어가 확실히 닫혀 있는지 확

인하십시오

.

주행 중에 도어가 열리면

매우 위험합니다

.

차 안에 어린이나 동물을 남겨 두지 마

십시오

.

모든 도어가 닫혀있는 차량 실

내는 매우 덥거나 추워서 질식사의 위험

이 있으므로 혼자 힘으로 차 밖으로 나

올 수 없는 어린이나 동물에게는 치명적

인 부상이나 사망 사고로 이어질 수 있

습니다

.

중앙잠금장치

차 안에서 도어

LOCK/UNLOCK

스위치 또는 리

모컨 키의 도어 잠금 버튼을 이용하여 운전석 도

어와 동승석 도어를 잠금 및 해제 할 수 있습니다

.

주 의

잠금과 열림을 교대로 연속조작하면 보호

회로가 작동되어 일시적으로 작동되지 않

는 수가 있습니다

.

이때 잠시후 조작하여 주

십시오

.

4-10

경 고

차량 출발 전에 운전석에서 중앙 도어 잠금

스위치를 이용하여 모든 도어를 잠그십시

오 . 특히 어린이를 태웠을 때는 반드시 잠금

상태로 주행하십시오 . 운행 중 실수로 차량

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매우 위험합니다 .

유리창 개폐장치

운전석 스위치

운전석

(

1

)

및 동승석

(

2

)

의 도어 유리창을 개폐

할 수 있으며

,

시동스위치가

OFF

된 후에도

약 30초간은 유리창을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

주 의

세차 또는 우천시 창문을 닫아 실내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 계기판과 같은

전기장치에 물이 스며들어 차량의 전기장

치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동승석 스위치

동승석의 도어 유리창만 개폐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도어 유리창을 올리는 경우는 손이나 머리

가 끼이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유리의 상

승력으로 인해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4

4-11

편의 장치

적재함 개폐

주 의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사용

하면 배터리가 방전될 수가 있으므로 주

의 하십시오

.

전동식 유리창 개폐 장치의 손상을 방지

하기 위하여

,

두 개의 유리창을 동시에

작동시키지 마십시오

.

퓨즈의 수명이 단

축되고 유리창 개폐 장치가 손상 될 수

있습니다

.

운전석과 동승석의 유리창 개폐 스위치

를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작동시킬 경우

고장 날 수 있습니다

.

수동식

(

더블캡 승객석

)

핸들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유리

창이 닫히고

,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유리

창이 열립니다

.

경 고

유리창을 닫을 때 , 손이나 머리가 끼이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사이드 게이트

열 때

(

1

)

리어 게이트 핸들을 위로 올리면서 안쪽으로

밀어 후크에서 빼냅니다

.

4-12

(

2

)

노브를 위로 당겨 고정을 해제한 후

,

사이드

게이트 지지대를 젖힙니다

.

(

3

)

핸들 손잡이를 위쪽으로 올려 고정고리에서

분리 후

,

사이드 게이트를 두손으로 받치면서

천천히 내려 주십시오

.

주 의

·

우 사이드 게이트를 열 때는 사이드 게

이트 지지대를 고정장치로부터 해제 후

열어 주십시오

.

사이드 게이트를 열 때

,

연료주입구 커버가

닫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연료주입구 커

버가 열린 상태로 사이드 게이트를 열면

,

게이트 및 커버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경 고

적재함을 열 때 갑자기 놓으면 게이트의

무게로 인해 자유낙하되어 차량 파손 및

신체상해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십

시오

.

적재함을 닫을 때는 게이트가 무거우므

로 허리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십

시오

.

4

4-13

편의 장치

닫을 때

(

1

)

사이드 게이트를 올려 핸들 손잡이를 고정용

고리에 걸고 손잡이를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힘껏 눌러 고정하십시오

.

경 고

핸들 손잡이를 아래쪽으로 눌러 고정할 때 ,

엄지 손가락이 핸들 손잡이 틈에 끼어 부상

을 입지 않도록 조심 하십시오 .

(

2

)

사이드 게이트를 세워 리어 게이트와 맞춘 후

사이드 게이트 지지대를 들어올려 세운상태

에서 노브를 놓습니다

.

(

3

)

리어 게이트 핸들을 당기면서 후크에 맞춘후

아래로 내려 고정하십시오

.

경 고

사이드 게이트를 여닫을 때는 자세를 바로잡

고 천천히 여닫으십시오

.

자세가 바르지 못할

경우

,

허리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4-14

사이드

게이트

리어

게이트

리어 게이트

열 때

(

1

)

리어 게이트 핸들을 위로 올리면서 안쪽으로

밀어

,

후크에서 빼냅니다

.

(

2

)

양쪽의 리어 게이트 핸들을 후크에서 빼낸후

,

두손으로 받치면서 서서히 내려주십시오

.

닫을 때

리어 게이트를 올리고

,

리어 게이트 핸들을 당기

면서 후크에 맞춘 후 아래로 내려 고정하십시오

.

경 고

리어 게이트를 여닫을 때는 자세를 바로 잡

고 천천히 여닫으십시오

.

자세가 바르지 못

한 경우

,

허리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4

4-15

편의 장치

연료주입구

키 타입

(

1

)

엔진 시동을 끄고

,

연료주입구 캡의 잠금장치

를 키를 이용하여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려 여

십시오

.

(

2

)

경유를 주입하십시오

.

(

3

)

딸깍

소리가 날때까지 연료주입구 캡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잠그십시오

.

연료 탱크 용량

:

100ℓ

150ℓ

(

3

.

5톤 장축 표준캡

/

슈퍼캡

)

경 고

연료 기체는 인화성이 강해 매우 위험합니

다 . 연료를 주유하기전 항상 시동을 끄고

연료 주입구 주변에 화기를 가까이 하지 마

십시오 .

여름철 고온에서 연료 주입구 캡을 열면 바람

빠지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 이는 정상이

며 연료주입구 캡을 천천히 돌려 여십시오 .

주 의

연료주입구 캡을 닫을 때는 항상 안전하

게 잠겼는지 확인하십시오

.

반드시 경유를 주입하십시오

.

연료주입구 캡을 교환해야 할 때는

,

정 부품이나 차량 규격에 맞는 부품만을

사용하십시오

.

주 의

차량의 표면에 연료를 떨어뜨리지 마십

시오

.

도장표면에 연료가 떨어지면 도장

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연료주입구 커버가 얼어서 열리지 않을

때는 주변의 얼음을 제거하고 가볍게 두

드려서 커버를 여십시오

.

필요시 따뜻한

장소로 차량을 이동시키십시오

.

연료주

입구 커버의 얼음 제거시 부동액은 사용

하지 마십시오

.

4-16

주 의

디젤 차량은 반드시 주유소에서 판매하

는 정품 경유를 사용하시고

,

지정된 연

료 외 다른 연료

(

등유

,

알코올

,

항공유

,

바이오 디젤

(

사양 적용시

)

)

나 첨가제

와 혼합하여 사용하지 마십시오

.

정품이

아닌 경유를 사용하여 발생한 일체의 손

해에 대해서는 자사에서 책임을 지지 않

습니다

.

-

바이오 디젤

(BioDiesel, BD)

은 유

채씨

,

,

쌀겨 등에서 추출한 식물성

기름을 메탄올을 이용해 에스테르화

정제 과정을 거쳐 만든 것으로

,

그 특

성이 경유와 유사하여 경유에 일정량

을 혼합하여 디젤 엔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대체 에너지입니다

.

현재 국내에서는 소량의 바이오 디젤

원액이 경유에 혼합되어 일반 주유소

에서 정품의 경유로 판매됩니다

.

요소수

(

우레아

)

탱크 주입구

주 의

불량 연료 및 미 검증된 연료나 첨가제

등을 사용하면 연료 탱크 오염

,

연료 펌

프 손상 및 연료 필터의 조기 막힘 등으

로 인해 엔진과 배출가스 관련장치가 손

상될 수 있습니다

.

불량 연료에 포함된

이 물 질 에 의 하 여

D P F ( D i e s e l

Particulate Filter,

매연필터장치

)

막힘

또는

SCR

촉매 막힘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고가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를 교환해주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연료 주입구 캡을 교환해야 할 때는

,

정 부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

맞지 않는

연료 주입구 캡을 사용하면

,

연료장치

또는 배기 제어장치에 심각한 고장을 초

래할 수 있습니다

.

가까운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교환하십

시오

.

요소수

(

우레아

)

탱크에 7

.

0ℓ이하 요소수

(

우레

)

가 있으면 계기판에 요소수 잔량 경고등

( )

이 점등합니다

.

요소수

(

우레아

)

를 보충하지 않고

계속 운전하면 요소수 잔량 경고등이 점멸하다

가 탱크 내에 요소수량이 6

.

0ℓ이하가 되면 요소

수 잔량 경고등

( )

과 요소수 시스템 경고등

( )

이 동시에 점멸되면서 엔진의 출력과 차량

의 속도를 제한합니다

.

4

4-17

편의 장치

주 의

요소수

(

우레아

)

보충은 클러스터에 표시

되어 있는 요소수

(

우레아

)

게이지 눈금

이 한칸 정도일 때 시동을 끈 후 5리터

이상 또는 우레아 탱크 정격용량선

(

주입

건이 멈추는 지점

)

까지 보충하십시오

.

요소수

(

우레아

)

주입 후 추가로 주입할

때는 반드시 요소수

(

우레아

)

잔량 표시

화면에서 한칸 이상 표시 눈금이 떨어졌

을 경우에 주입하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

요소수

(

우레아

)

시스템이 오작동 할 수

있습니다

.

자동 정지 구간

( (

정격용량선

)

1

.

반드시 시동을 끄십시오

.

2

.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킵니다

.

3

.

요소수

(

우레아

)

탱크 주입구 캡의 잠금장치를 전

용 키를 이용하여 시계방향으로 해제하십시오

.

4

.

주입구 캡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 여십시오

.

5

.

추천된 요소수를 최소 5리터 이상 또는 요소

수 탱크 정격용량선

(

주입건이 멈추는 지점

)

지 보충하십시오

.

요소수

(

우레아

)

보충시 이

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6

.

주입구 캡을 잠글 때는 시계방향으로

따르륵

소리가 날 때까지 완전하게 돌려 잠그십시오

.

요소수

(

우레아

)

소모량은 연료소비량 대비 약

2

~

5

%

수준입니다

.

소모량은 차량 운행 조건

및 운전 방법에 의해 상이 할 수 있습니다

.

주 의

추천된

ISO

22241 또는

DIN

70070을 만족

하는 요소수용액

(

우레아

)

이외 디젤유

,

솔린

,

알코올 등과 같은 추천되지 않은 액

체를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

불량 요소수

(

우레아

)

또는 추천되지 않

는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 배출가스 저감

장치 등 차량부품들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미 검증된 첨가제

(

요소수

)

포함된 이물질에 의하여

SCR

촉매의

막힘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가의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교환해주어

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대기 환경보전법 제 94조에 의거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요소수

(

우레아

)

임을 알면

서도 사용하는 경우 과태료를 부과 받을

수 있습니다

.

4-18

요소수

(

우레아

)

주의 사항

요소수가 눈 또는 피부에 묻은 경우 즉시 깨

끗한 물로 닦아내십시오

.

요소수를 삼킨 경우 즉시 깨끗한 물로 입을

헹구고 물을 많이 마십시오

.

의사의 치료를

받으십시오

.

요소수가 묻은 옷은 즉시 갈아입으십시오

.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의사의

치료를 받으십시오

.

어린이가 요소수를 만지지 못하도록 하십시오

.

주입 도중 요소수가 묻은 표면은 즉시 물로

씻어내거나 헝겊과 찬물을 사용하여 요소수

를 제거해야 합니다

.

요소수가 이미 결정으로

변한 경우에는 스폰지나 헝겊으로 찬물을 사

용하여 해당 부위를 청소하십시오

.

요소수는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흰 결정으로 변해

표면을 오염시킵니다

.

요소수는 연료첨가제가 아니며 연료 탱크에

주입하면 안됩니다

.

요소수를 연료 탱크에 주

입할 경우 엔진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요소수는 인화성 및 독성이 없는 무색

,

무취

의 수용성 액체입니다

.

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

고온에서 요소수 탱크 캡을 열 경우 암모니아

증기가 새어 나올 수 있습니다

.

암모니아 증

기는 자극성이 강한 냄새가 나며 특히 피부

,

점막

,

눈 부위를 자극합니다

.

,

,

목이 따끔

거리고 기침과 눈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어 나온 암모니아 증기를 들이마시지 마십시

.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즉시 의사의

치료를 받으십시오

.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만 요소수 탱크를 보

충하십시오

.

요소수는 장시간에 걸쳐 최대 50

까지 가열되

(

:

요소수 탱크가 직사광선에 노출

)

화학적

으로 분해될 수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암모니아 증

기가 생성됩니다

.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

요소수는 약

-

11

에서 동결됩니다

.

차량에는 요

소수 예열 시스템이 장착이 되어 겨울철에도 운

행이 가능합니다

.

요소수

(

우레아

)

보관

다음 재질로 제작된 용기는 요소수 보관에 적

합하지 않습니다

.

(

알루미늄

,

,

동합금

,

비합금강

,

아연도금강

)

요소수를 이러한 용기에 보관할 경우 금속 성

분이 용해되어 배기정화 장치 시스템이 수리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될 수 있습니다

.

다음 재료로 제작된 용기만 사용하여 요소수

를 보관하십시오

.

(DIN EN

10 088

-

1

/

2

/

3을 준수하는

CR-Ni

철 또는

Mo-Cr-Ni

강철

/

폴리프로필렌

/

리에틸렌

)

요소수

(

우레아

)

폐기

요소수는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

요소수 폐기

에 관한 법규 준수

)

폐기해야 합니다

.

4

4-19

편의 장치

캡의 틸팅

순도

다음의 경우 배기가스 정화장치 시스템이 파

손 됩니다

.

-

요소수 탱크에 세제나 다른 연료 또는 유

체를 주입하는 경우

-

요소수에 첨가제를 넣는 경우

-

요소수에 물을 넣어 희석하는 경우

요소수는

ISO

22241 또는

DIN

7007

O

을 준

수하는 요소수만 사용하십시오

.

탱크에 잘못

된 제품을 주입한 경우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

요소수 탱크에 지정된 요소수 이외의 불순물

이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됩니다

.

-

배출물 수치 증가

-

촉매 및 배기 정화 장치 시스템 기능 이상

-

엔진 손상

요소수 탱크에서 요소수를 빼내었을 경우

(

예 정비시

)

이 요소수는 순도가 보장 되지

않기 때문에 다시 탱크에 주입하면 안됩니

.

반드시 새 요소수를 주입하십시오

.

캡 틸팅시 주의사항

캡 틸팅시의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 의

가능한 한 차량을

주차하십시오

.

지면이 평탄한 위치에

주차브레이크를 확실하게 걸고

고임목을 고정시켜 주십시오

.

차륜에

도어가

엔진의

완전히

시동은

닫혔는지

꼭 꺼

확인하십시오

주십시오

.

기어변속 레버는 중립으로 합니다

.

.

좌석이나 바닥위의 물건은 내려 놓습니다

.

4-20

주 의

캡의 전방 및 위쪽에 1

m

이상의 간격을

확보합니다

.

캡을 내릴때는 머리가 다치지 않도록 주

의하십시오

.

캡 홀드에 마시던 음료나 담겨져 있는

액체성 물질을 차안에 방치된 체로 캡을

틸팅할 경우 전기 장치가 오염되어 차량

화재나 고장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캡 틸팅후 엔진 경고등을 위해 샤시 프

레임위에서 작업할 때 머드 가드 상단을

밟지 마십시오

.

미끄러져 넘어질 경우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캡이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모컨 키

의 잠금 버튼을 눌러 경보 상태에 들어

간 후 캡을 틸팅하면 경보가 발생하므

,

리모컨 키의 잠금 해제 버튼을 눌러

경보 상태 해제 후 틸팅하십시오

.

캡 스테이

F(

로크 레버

)

2

.

왼손으로 그립

(D)

를 잡고 후크

(C)

를 오른손

으로 당기십시오

.

3

.

캡을 완전히 상승시키고 로크 레버

(F)

가 완

전히 잠기었는지 확인하십시오

.

4

.

스테이 안전 핀

(E)

를 캡 스테이 잠금용 구멍

(H)

에 끼워 놓으십시오

.

경 고

캡을 올릴 때 레버

(B)

를 잡은 상태에서

레버

(A)

를 당기시오

.

레버

(B)

가 급격히

해제되어 상승되면 다칠 수 있습니다

.

캡을 완전히 올린 후 안전을 위해 캡 스

테이 구멍에 꼭 안전 핀을 끼우고 작업

하십시오

.

완전히 올라가지 않은 캡 밑에서 작업

할 경우 캡이 급격히 하강되어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캡 스테이

캡을 올릴 때

1

.

오른손으로 레버

(B)

를 잡고 왼손으로 그립

(D)

를 잡으면서 레버

(A)

를 당기고 오른손으

로 레버

(B)

를 당겨 올리십시오

.

F(

로크 레버

)

캡을 내릴때

1

.

왼손으로 그립

(D)

를 잡고 오른손으로 캡 스

테이 잠금용 구멍에서 스테이 안전 핀

(E)

제거하여 캡 스테이 핀 구멍에 삽입 후 로크

레버

(F)

의 잠금을 해제하십시오

.

4-21

4

편의 장치

조향 핸들

2

.

후크

(C)

가 잠길 때까지 왼손으로 잡은 그립

(D)

로 캡을 내리십시오

.

3

.

레버 후크

(G)

가 잠길 때까지 핸들

(B)

를 아

래로 내려 잠그십시오

.

주 의

캡을

캡이

내릴 때

완전히

핸들

(B)

잠기지

않은

주의하십시오

상태에서

.

주행

할 경우 주행중 캡이 틸팅될 경우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캡을 내릴 때 핸들

(B)

에 주의하십시오

.

핸들

(B)

는 캡을 들어올릴 때만 사용해

야 합니다

.

조향 핸들의 상하 조정

1

.

조향 핸들을 손으로 잡고 레버를 위로 올립니

.

2

.

적당한 위치로 조향 핸들을 조정합니다

.

3

.

레버를 내려 조향 핸들을 확실히 고정합니다

.

경 고

운행 중에는 절대로 조향 핸들을 조절 하

지 마십시오

.

조향 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

동력조향장치

(

파워 스티어링

)

동력조향장치

(POWER STEERING SYSTEM)

는 엔진의 힘을 이용 유압펌프를 작동시켜 운전자

가 조향 핸들을 돌릴 때 보다 적은 힘으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

엔진 정지시에는 동력조향장치가 작동되지 않

으므로 훨씬 강한 힘으로 조향 핸들을 작동하

십시오

.

주행중에는 엔진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

정기적으로 파워 스티어링 오일량을 점검하십

시오

.

4-22

미러

주 의

저속에서

조향 핸들

조작이 힘들면

,

동력

조향장치의 고장일 수 있으므로 즉시 차

를 안전한 곳에 정차하고 엔진을 껐다가

재시동 하십시오

.

조향 핸들

조작이 정상

적으로 되면 고장이 아니나 계속해서 어

려우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

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시동상태에서

조향 핸들

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끝까지 돌려 10초 이상 계속

유지하지 마십시오

.

동력조향장치의 손

상을 가져옵니다

.

겨울철

(-

10

이하

)

시동직후 파워 스티어

링 오일이 차가운 상태에서 바로 출발하

게 되면

조향 핸들

이 간혹 순간적인 작동

지연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3분 미만으로

적당히 공회전 시킨 후 출발하십시오

.

경음기

표시부를 누르는 동안 경고음이 울립니다

.

주 의

다음과 같이 무리한 힘을 경음기에 가할 경

우 경음기가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먹으로 경음기 작동구간을 내려 치는

경우

끝이 뾰족한 도구로 경음기 작동구간을

누르는 경우 등

실내 미러

주행전에 뒷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시야의 중앙

이 보이도록 실내 미러를 조절하십시오

.

4

4-23

편의 장치

반사각 조절식

야간 주행시에 조절 손잡이를 운전자쪽으로 당

기면 뒷차량 불빛의 눈부심이 줄어 듭니다

.

야간

위치에서는 빛 비춤이 다소 감소되므로 거울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실외

실외미러는 볼록렌즈입니다

.

사물이 미러에 보이

는 것보다 훨씬 가깝습니다

.

경 고

앞좌석 뒤쪽에 앞좌석보다 높은 물건을 놓

아 두지 마십시오 . 후방 시야를 방해할 수

있고 급정차나 충돌시 앞으로 튀어나와 위

험합니다 .

주 의

운전석 실외미러 하단부에는 보조곡경

이 있어 사각지대를 더 잘 볼수 있으나

,

사물이 찌그러져 보일 수 있습니다

.

미러 표면의 얼음을 긁어내지 마십시오

.

는 유리부분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

.

빙결로 미러가 움직이지 않으면

,

억지로

조절하거나 접지 마십시오

.

얼음 제거

스프레이를 이용하거나 따뜻한 장소로

이동하여 얼음을 녹이십시오

.

경 고

주행 중 미러를 조정하거나 접지 마십시오 .

운전에 영향을 미쳐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4-24

프론트 언더뷰

앞쪽 하단의 노면상황 및 장애물 유무를 알 수

있습니다

.

경 고

주행중 미러를 조정하거나 접지마십시오 .

운전에 영향을 미쳐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실외 미러 조절 스위치

주행전에 운전석

,

동승석 실외 미러의 위쪽 미러

의 각도를 조절하십시오

.

시동

ON

이나 시동 상태에서 실외 미러 조절

스위치를 이용하여 왼쪽

(L)

또는 오른쪽

(R)

미러

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어느 한쪽 미러를

조절하려면 오른쪽 또는 왼쪽 미러를 선택하는

실외 미러 조절 선택 레버

(

1

)

를 움직이고 나서 조

절하고자 하는 방향의 상하좌우 위치의

분을 누르십시오

.

조절 후에는 중앙위치에 레버를 놓아 조절상태

를 정지시켜 오작동되는 일이 없도록 하십시오

.

미러 열선 스위치

비가 올때 또는 겨울철 눈과 성에 제거시 사용합니

.

스위치를 누르면 미러에 내장된 열선이 작동

되고 계기판에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

엔진시동

상태에서만 작동되며 15분후 자동으로

OFF

됩니다

.

15분 이내에

OFF

시키려면 스위치를 다시한

번 눌러주십시오

.

주 의

사용하지 않을 때는 꼭 스위치를 꺼 주십시

오 . 배터리 조기방전의 원인이 됩니다 .

4

4-25

편의 장치

계기판

4-26

1

.

엔진 회전계

2

.

속도계

3

.

냉각수 수온계

4

.

연료계

5

.

경고등 및 표시등

6

.

적산거리계

/

트립컴퓨터

/LCD

디스플레이

계측기

속도계

차량의 주행 속도를 나타냅니다

.

주 의

어린이 보호구역과 같은 속도 제한 구역

을 운행 할 때는 제한 속도에 맞춰 운행

하십시오

.

가급적 화물 적재후 운행시는 서행 운전

하십시오

.

엔진 회전계

엔진 속도계 분당 엔진 회전수

(rpm)

를 지시

합니다

.

녹색 부분은 가장 경제적인 주행 범위를 가

르킵니다

.

엔진 최대 속도

(

적색부분

)

에 도

달할 때는 이 범위 이내로 엔진 속도를 낮

추기 위해 차량 속도를 줄이거나 기어 변속

을 실시해야 합니다

.

적색 부분은 오버런을 일으키는 범위를 나

타냅니다

.

내리막길이나 저단으로 기어 변

속시 이 범위에 들어가지 않도록 피해 주십

시오

.

사양에 따라

rpm zone

이 상이할 수 있습

니다

.

주 의

엔진의 오버런은 엔진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므로 주의를 해야 합니다

.

알아두기

오버런(Overrun) (수동변속기)

엔진 최대 회전수보다 더 높은 속도로 회전

하는 엔진의 상태를 말합니다.

4

4-27

편의 장치

연료계

시동

ON

상태에서 연료탱크에 남아 있는

연료의 잔량을 나타냅니다

.

연료계의 표시가

E

를 가리키기 전에 연료

를 보충하십시오

.

연료 부족 경고등이 켜지면 연료를 신속히

보충하십시오

.

경 고

연료를 보충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정지시키

십시오 .

고속도로 장거리를 주행할 경우는 주행전

에 연료계를 살펴 연료의 양이 충분한지 미

리 확인하십시오

.

경사진 곳에서는 연료탱크 내 액체 연료의

움직임으로 인해 연료의 잔량이 정확히 표

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주 의

지정된 연료 이외의 다른 연료

(

등유

,

코올

,

항공유 등

)

와 혼합하여 사용하지

마십시오

.

또한 미검정된 연료

(

첨가제

)

등은 주유하지 마십시오

.

상기의 불량연료 주유 주행 시 연료 탱

크의 오염

,

고장

,

연료 펌프의 손상 및 연

료필터의 조기 막힘 등을 유발할 수 있

습니다

.

연료가 부족한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지

마십시오

.

연료가 떨어지면 엔진이 제대

로 점화되지 않아 촉매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냉각수 수온계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표시합니다

.

엔진 정상

가동시에는 지침이 중앙 부분 약간 하단에 위

치하게 됩니다

.

또한 지침이 적색 부분을 넘

으면 엔진이 과열된 상태를 나타내며

,

냉각수

온도가 더 올라가게 되면 경고등이 점등됩니

.

이때는 차량 운행을 정지하고 공회전 시키면

서 냉각시킵니다

.

4-28

주 의

수온계의 표시가

H

부위를 나타내고 있을

경우는 엔진 오버히트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6장

비상시 응급조치

내용을 참조하십시오

.

적산거리계

,

② 구간거리계

(TRIPMETER)

출발하기 전

TRIP

버튼을 눌러

[TRIP A]

[TRIP B]

가 표시 되도록 하십시오

.

RESET

버튼을 길게

(

1초 이상

)

눌러

0

.

0

로 초기화 시킨 후

,

주행하면 주행거리가 해

당 구간거리계에 표시됩니다

.

표시범위는 0

.

0

~

9999

.

9 km

이며

,

9999

.

9 km

초과시 0

.

0 km

부터 다시 적산 됩니다

.

③ 적산거리계

(ODOMETER)

주행한 총거리를

km

단위로 표시합니다

.

④ 시계

현재 시간을 12시간 또는 24시간 단위로 선

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시간이 올바르지

않을 경우 재설정 하십시오

.

디지털 타코그래프 적용 차량은 디지털 타코

그래프에 의해 시계가 작동되며

,

통신 오류일

경우 ㅡ ㅡ

.

ㅡㅡ가 표시됩니다

.

디지털 타코그래프 미적용 차량은 클러스터

에 의해 시계가 작동됩니다

.

4

4-29

편의 장치

A 타입

B 타입

트립 컴퓨터

1

. ( ) :

모드 선택 버튼

2

. ( ) :

이동버튼

3

. ( ) :

선택

/

리셋버튼

4-30

트립모드

트립컴퓨터란 주행거리

(

구간거리계

),

현재 연

료로 주행할 수 있는 주행 가능 거리

,

평균 연

비 및 주행 시간 등 주행에 관련된 각종 정보

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운전자 정보 전달 장

치 입니다

.

모드 선택

( )

버튼

(

1초미만

)

을 짧게 누를 때

마다 다음과 같이 변환됩니다

.

주행거리

A

사용자 설정

주행거리

B

주행가능 거리

평균 연비

순간 연비

인포메이션

수트

(SOOT)

게이지

요소수 게이지

주행가능거리 화면

현재 차량의 잔여 연료량 및 주행조건으로 주행

할 수 있는 거리를 표시합니다

.

평균연비 화면

현재까지 소모된 연료량으로 주행한 거리에 대

한 연료 소모량을 표시합니다

.

순간연비 화면

시동 후 일정 속도 이상 주행시 입력된 연비의

평균값을 표시합니다

.

가속 페달을 떼게 되면 순간연비는 최대값을

표시합니다

.

요소수 ( 우레아 ) 잔량 표시 화면

요소수

(

우레아

)

잔량을 표시합니다

.

요소수

(

우레

)

가 떨어지기 전에 보충하여 주십시오

.

4

4-31

편의 장치

주 의

요소수

(

우레아

)

보충은 클러스터에 표시

되어 있는 요소수

(

우레아

)

게이지 눈금

이 한칸 정도일 때 시동을 끈 후 5리터

이상 또는 우레아 탱크 정격용량선

(

주입

건이 멈추는 지점

)

까지 보충하십시오

.

요소수

(

우레아

)

주입 후 추가로 주입할

때는 반드시 요소수

(

우레아

)

잔량 표시

화면에서 한칸 이상 표시 눈금이 떨어졌

을 경우에 주입하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

요소수

(

우레아

)

시스템이 오작동 할 수

있습니다

.

수트 (SOOT) 게이지 화면

배기파이프의 매연 필터 장치

(DPF)

에 포집된 수

(SOOT)

게이지를 표시합니다

.

게이지가 높으

면 수동재생을 진행하십시오

.

주 의

수트

(SOOT)

게이지는 배기파이프의 매연 필

터 장치

(DPF)

에서 수트

(SOOT)

를 포집한 양

을 표시해줍니다

.

매연 필터 장치

(DPF)

내의 수트

(SOOT)

적량

,

매연 필터 장치

(DPF)

의 운전상태를

수트

(SOOT)

게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

.

안심하고 사용하시기 위해 수트

(SOOT)

퇴적량을 항시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서 수동재생 하십시오

.

수트 게이지는 크게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

어 있습니다

.

첫번째 영역

(

작은 영역으로

1

~

5칸

)

은 자동재생 구간이며

,

두번째 영역

(

작은 영역으로 6

~

8칸

)

은 수트

(SOOT)

적량이 과다하여 수동재생이 필요한구간입

니다

.

세번째 영역

(

작은 영역으로 9

~

10칸

)

은 수트

(SOOT)

퇴적량이 매우 과다하여

수동재생 스위치를 눌러도 재생이 이뤄지

지 않는 구간입니다

.

매연 필터 장치

(DPF)

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

즉시 자사 직영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방문하여 점검 받

으십시오

.

4-32

수동재생 알림 화면 표시

배기 파이프의 매연 필터 장치

(DPF)

에 퇴적된

수트

(SOOT)

량에 따라 서비스가 필요한 정보

를 멀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알려 줍니다

.

매연필터

(DPF)

수동 재생이 필요하게 될 경

우 다음과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표시 됩니다

.

1 단계

:

화면에

매연필터

(DPF)

재생을 권장

합니다

문구가 표시됩니다

.

수동재생 방법은 편의장치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스위치

(

디젤

)

참조 하십시오

.

수동재생이 완료되면

매연필터

(DPF)

재생이 완료되었습니다

문구

가 표시됩니다

.

2 단계

:

1단계에서 매연 필터

(DPF)

수동 재생

을 실시하지 않으면

매연필터

(DPF)

를 신속히 재생하세요

문구로 바뀌어

알려 줍니다

.

신속히 수동재생을 실시

하십시오

.

수동재생을 실시하지 않으면 매연필

(DPF)

장치에 수트

(SOOT)

가 너무

많이 쌓여 매연필터

(DPF)

수동 재생

을 할 수 없습니다

.

반드시 자사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를 방문하여 서

비스를 받아야 합니다

.

수동재생 방법은 편의장치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스위치

(

디젤

)

참조 하십시오

.

수동재생이 완료되면

매연필터

(DPF)

재생이 완료되었습니다

문구가 표시

됩니다

.

3 단계

:

2단계에서 매연필터

(DPF)

수동재생을

실시하지 않으면 멀티 디스플레이 화면

정비소에서 매연필터

(DPF)

를 점검

하세요

문구가 멀티 디스플레이 표시

됩니다

.

자사직영센터 또는 블루핸즈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받아야 합니다

.

수동재생 알림 화면을 잠시 해제하기 위해

서는 조향 핸들 우측 리모컨 스위치

(

멀티디

스플레이 조작 스위치

)

를 누르게 되면 해제

됩니다

.

시동을 끄고 다시 시동을 걸면 멀

티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

4

4-33

편의 장치

인포메이션 화면

모드 선택

( )

버튼으로 인포메이션 항목을 선택

한 후에 이동 버튼

(

)

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곳에 두고 항목선택버튼

( )

을 누르십시오

.

인포메이션 화면에서는

:

1

.

서비스 항목

:

서비스 알림

,

서비스 알림 꺼짐

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

서비스 알림은 엔진오

일 필터

,

연료필터

,

트랜스미션 오일필터

,

어클리너 필터

,

사용자 항목의 교환주기를 설

정할 수 있습니다

.

2

.

주행정보 항목

:

평균속도

,

주행시간

,

총 연료

소비량

,

총 공회전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

.

고장진단 항목

: ENGINE, ABS/ESC,

CLUSTER, LDWS

의 고장진단 항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설정 화면

모드 선택

( )

버튼으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

택한 다음 이동 버튼

(

)

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곳에 두고 항목선택버튼

( )

을 누르십시오

.

사용자 설정 화면에서는

:

1

.

음원 항목

: OFF~

3단계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

2

.

계기판 항목

:

단위설정

,

평균연비설정

,

현재

시각 설정

,

알람 시각 설정 및

ON/OFF

가 가

능합니다

.

3

.

정비주기 설정항목

:

엔진오일필터

,

연료필터

,

트랜스미션 오일필터

,

에어클리너 필터

,

사용

자 항목의 설정 및

ON/OFF

가 가능합니다

.

4-34

표시등 및 경고등

원등

(

상향등

)

표시등

방향전환 표시등

예열 표시등

(

호박색

)

헤드라이트의 원등을 작동하면 켜집니다

.

경 고

마주오는 차가 있는 경우

,

상대편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

므로 주의하여 사용하십시오

.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작동하면 선택된 방향에

따라 방향지시등과 함께 점멸 됩니다

.

비상 경고등이 작동되는 경우 좌

·

우측 표시등이

동시에 점멸됩니다

.

방향전환 표시등의 점멸회수가 빠르거나 늦을

때에는 전구의 단선이나 접지 불량 일 수 있으므

로 점검하십시오

.

예열 플러그의 예열상태를 표시합니다

.

시동 스위치를

ON

하면 점등되고 예열 플러

그의 예열이 완료되면 소등됩니다

.

표시등이

소등된 후 엔진 시동을 거십시오

.

엔진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예열 표시등이 소

등되는 시간이 다릅니다

.

엔진 시동 후 차량 주행 중에 지속적으로 예열

표시등이 점멸하는 경우에는 차량 주행

(

자동

변속기 차량

)

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4

4-35

편의 장치

엔진 경고등

(

호박색

)

OBD

경고등

PTO

표시등

(

적색

)

엔진의 정상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엔진 전자 제

어 장치에 관계되는 각종 센서 또는 엑츄에이터

의 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점등됩니다

.

중대한 고

장으로 인한 경고등의 점등의 경우

,

시스템 보호

를 위해 엔진의 출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주행

중에 점등되면 가능한 빨리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정비하십시오

.

일반적으로 견인은 하지 않아도 되나

,

가능한 빨

리 정비를 받으십시오

.

,

일부 엔진 제어 장치

고장시에는 엔진이 시동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이때에는 견인하십시오

.

배기가스 제어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OBD

고등이 점등 또는 점멸합니다

.

,

ON

시 약 5초 간격으로 1회씩 점멸하는 현

상은 정상입니다

.

OBD : ON BOARD DIAGNOSIS

주 의

경고등이 점등 또는 점멸된 상태로 계속 주

행하면 , 운전성능과 연료소비에 영향을 주

는 배기 제어 계통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습

니다 . 또한 배출가스 규제와 관련된 제재조

치를 받으실 수도 있으므로 가까운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

비를 받으십시오 .

PTO(

동력인출 장치

)

가 작동시 점등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력 인출

(PTO)

장치 스위치

참조하십시오

.

작업표시등

(

호박색

)

작업등 스위치

ON

시 점등됩니다

.

4-36

주차 브레이크 작동

표시등

(

적색

)

배기 브레이크 작동

표시등

(

호박색

)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시동을

ON

하면 경고등이 점등되며 브레이크 이상이 없으면

시동 후 소등 됩니다

.

배기 브레이크 스위치를

ON

위치로 한 상태

에서 배기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을 때 점등

됩니다

.

가속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일시적

으로 배기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표시등은 소

등됩니다

.

운전석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

ON

또는 시동되거나

,

시동

ON

또는 시동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풀면 경고등은 계속 점멸

하여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알려줍니다

.

이 때

,

운전석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경고음과 경

고등은 즉시 중지됩니다

.

4

듀얼 파워 표시등

듀얼 파워 스위치를 누르면 점등이 되고

,

다시 한

번 누르면 소등이 됩니다

.

4-37

편의 장치

Anti-Lock Brake

System(ABS)

경고등

브레이크 고장 경고등

시동을

ON

하면 약 수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됩

니다

.

수초후에도 계속 경고등이 점등되면

ABS

장치

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

1

)

안전한 장소에 차를 세우고 엔진을 정지 시킵

니다

.

(

2

)

다시 엔진을 시동하여 경고등이 점등되었다

가 수초 후 소등되면 이상이 없습니다

.

경고등이 소등되지 않는 경우 또는 주행 후 다시

경고등이 점등되는 경우에는

ABS

장치의 고장

이므로 자사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브레이크 고장 경고등은 브레이크 액 부족 또는 브

레이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면 점등됩니다

.

경고

등이 점등되면 우선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탱크를

확인하십시오

.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탱크에 브레

이크 액이 충분히 있거나 브레이크 액 보충 후에도

경고등이 소등되지 않으면 즉시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경 고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는 브레이크가 제

대로 작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그대

로 주행해서는 안됩니다 .

주 의

주행 전에 경고등이 꺼졌는지 확인 하십시오

.

4-38

경 고

브레이크 경고등이 계속 점등되고 브레이

크 페달이 무겁거나 딱딱한 느낌이 들면 브

레이크 계통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고속

주행이나 급제동을 피하고 정지시에는 평

소보다 브레이크를 세게 밟으십시오 . 가능

한 빨리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주행중 브레이크액 부족 경고등이 점등되는

경우

브레이크 계통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이므로 차

를 안전한 장소에 정지시켜 주십시오

.

(

1

)

브레이크 제동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

크 페달을 평상시보다 강하게 밟아 차를 정지

시켜야 합니다

.

(

2

)

보조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속도를 늦추고 주

차 브레이크 레버를 천천히 당기면서 브레이

크 페달을 밟아 차를 정지 시키십시오

.

4

4-39

편의 장치

표준 캡

,

슈퍼 캡

더블 캡

주 의

주차 브레이크를 급하게 조작하면 뒷바

퀴만 제동이 되어 차가 옆으로 돌아갈

우려가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 조작은

천천히 하십시오

.

주행중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정지

할 경우 급제동을 하지 말고 서서히 정

지하십시오

.

EBD

경고등

브레이크 경고등과

ABS

경고등이 동시에 점등

한 경우

,

제동력의 전

·

후륜 배분기능

(EBD)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급제동시 차량이 불안정

하게 될 수 있습니다

.

경고등이 점등되면 고속주행이나 급제동을 피

하고 곧바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BEQ

경고등

시동 스위치를

ON

으로 하면 경고등이 점등 되

었다가 약 2

~

3초 후에 소등됩니다

. BEQ(Battery

Equalizer)

장치의 고장이나 일렉트릭 박스에 있

는 12

V

퓨즈 또는 24

V

퓨즈가 단선되면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

4-40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

도어가 열려 있거나 완전하게 닫혀 있지않을

경우 경고등이 점등

(

또는 점멸

)

됩니다

.

열린 도어를 닫으십시오

.

도어가 완전히 닫혀 있지

면 대단히 위험합니다

.

않은 상태로 주행하

주 의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로

리 방전의 원인이 됩니다

.

주차하면 배터

차량을 떠날때는

닫아 주십시오

.

반드시 도어를 완전히

정상일때는 시동 스위치를

ON

으로 하면 점

등되고 시동이 걸리면 소등됩니다

.

엔진 오일 부족 등으로 유압이 낮아지면 경고

등이 점등됩니다

.

주행 중에 이 경고등이 점등되면 도로 옆으로

안전하게 정차하신 후 엔진 오일 량을 점검하

고 부족하면 보충하십시오

.

보충 후에도 경고

등이 소등되지 않으면 자사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계속 주행하면 엔

진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

연료 탱크내의 연료 잔류량이 적을 때 점등됩니다

.

경고등이 켜지면 바로 연료를 보충하십시오

.

연료가 완전 소모되어 운전할 경우 엔진 및 연료

장치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

경고등 점등

시 즉시 연료를 보충하십시오

.

엔진 과열경고등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냅니다

.

냉각수 온도가 적정온도 이상일때 적색 표시등

이 점등됩니다

.

냉각수 온도가 적정 범위에 있을때는 적색 경고

등이 소등됩니다

.

4

4-41

편의 장치

배터리 충전 경고등

진공부족 경고등

(

적색

)

엔진

PTO

표시등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팬 벨트가 끊어졌을 때

,

충전장치가 고장났을 때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

경고등이 점등된 채로 주행하면 오버히트나 배

터리 방전을 일으킵니다

.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배터리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팬 벨트나 충

전 계통을 점검하십시오

.

점검 후에도 경고등이

소등되지 않을 경우에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주 의

충전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더라도 팬 벨트

의 장력이 부족할 때는 충전량이 부족하여

배터리의 전력 소모 증대로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브레이크 배력 장치용의 진공이 안전한도 이하

로 내려간 경우 점등됩니다

.

브레이크의 기능이 대단히 나쁘게 되므로 즉시

정차하여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서 점검을 받아 주십시오

.

주행중 점등된 경우는

브레이크 배력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쁘게 되므로 평소보다 더 세게 밟고 즉

시 속도를 줄여 안전한 장소에 정차해 주십시오

.

엔진

PTO

작동시 점등 됩니다

.

다시 누르면 소

등 됩니다

.

4-42

캡 틸팅 경고등

(

적색

)

안개등 표시등

타코그래프

T

캡 틸팅의 고정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에 점등됩

니다

.

운행하기 전에 캡 고정을 확실하게 해 주십

시오

.

안개등을 켜면 표시등이 켜지고

,

안개등을 끄면

표시등도 꺼집니다

.

타코 그래프 이상 발견시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 받으십시오

.

4

미등 표시등

이모빌라이저 경고등

미등 또는 전조등이 켜져 있을 때 점등됩니다

.

시동 스위치를

ON

으로 하면 표시등이 점등 되었다

가 엔진 시동이 걸리면 표시등은 소등 됩니다

주 의

시동 스위치를

ON

으로 했을 때 경고등

이 5초 동안 점멸하면 이모빌라이저 시스

템의 고장이 예상되므로

,

즉시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 하신후 점

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4-43

편의 장치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작동 표시등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작동 정지 표시등

브레이크 패드 경고등

시동

ON

상태에서 표시등이 점등되고

, VDC

장치에 이상이 없으면 약 3초후 꺼집니다

.

운행

중차체 자세 제어장치

(VDC)

가 작동할 때는 작

동하는 동안 점멸됩니다

.

, VDC

작동 표시등이 소등되지 않고 계속 점

등 되거나 주행 중 점등될 경우

VDC

장치에 이

상이 생긴 것이므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시동

ON

상태에서 점등되고

, VDC

장치에 이

상이 없으면 약 3초 후 꺼집니다

.

「 」

버튼을 눌러

VDC

를 해제시키면

「 」

표시등

이 점등되어

VDC

장치가 작동되지 않고 있음을

알려줍니다

.

VDC : Vehicle Dynamic Control System

자세한 내용은 5장의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설명을 참조 하십시오

.

전륜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어 교환시기가

되면 라이닝 마모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

주 의

라이닝 마모 경고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

면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교환 할때는 신

품으로 동시에 교환 하십시오

.

4-44

언덕길 발진 보조작동

표시등

정속주행 표시등

차선이탈 경보 경고등

시동중 브레이크를 밟고 정차를 한후

,

언덕길 발진 보

조장치 스위치를 누르면 표시등이 켜지고

,

다시 한번

누르면 표시등이 꺼집니다

.

언덕길 발진 보조 기능은 경사로에서 출발할 때 차량

이 뒤로

(

아래로

)

밀리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제동장치

를 작동시키는 기능으로 앞으로 출발하면 자동적으로

제동 기능이 해제됩니다

.

정속주행 장치의 작동시 점등되며 속도 제한장치 작동

시에도 연속적으로 램프에 점등됩니다

.

정속주행 설정 표시등

SET

VDC

적용 차량은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스위

치가 없습니다

.

스위치를 누를 필요 없이 일정

이상 언덕길에서 자동으로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가 작동합니다

.

정속주행 표시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원하는 속도

에 도달했을 때

SET

버튼을 누르면 점등됩니다

.

CANCEL

버튼을 누르거나 정속주행

(

오토 크루

즈 컨트롤

)

기능이 해제될 경우 소등됩니다

.

시동을 켜면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의 설정 표시

가 켜지면서 계기판에 녹색 표시등이 켜집니다

.

차선이탈 경보시스템이 꺼지거나 이상이 있으면

황색 표시등이 켜집니다

.

차선이탈 경보시스템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계기

판에 황색 표시등이 들어올 경우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4

LDWS :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자세한 사항은 5장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LDWS)

을 참조하십시오

.

4-45

편의 장치

통합 경고등

요소수

(

우레아

)

시스템

경고등

요소수 잔량 경고등

다음과 같은 시스템에 이상 발생 시

,

통합 경고등

이 켜지며

,

세부 경고 내용은

LCD

디스플레이에

표시됩니다

.

통합 경고등이 경고하는 상황은

-

서비스 알람

등이며

,

차량 사양에 따라 표시되는 경고 상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경고 상황이 해제 되면 통합 경고등은 꺼집니다

.

요소수

/EGR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되면 경고등

이 점등됩니다

.

경고등이 점등되면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또는 블루핸즈를 방문하여 점검을

받으십시오

.

수리를 하지않고 계속 운행하면 경

고등이 점멸되면서 엔진 출력과 차량의 속도를

제한합니다

요소수

(

우레아

)

탱크에 7

.

0ℓ이하 요소수

(

우레

)

가 있으면 계기판에 요소수 잔량 경고등

( )

이 점등합니다

.

요소수

(

우레아

)

를 보충하지 않고

계속 운전하면 요소수 잔량 경고등이 점멸하다

가 탱크 내에 요소수량이 6

.

0ℓ이하가 되면 요소

수 잔량 경고등

( )

과 요소수 시스템 경고등

( )

이 동시에 점멸되면서 엔진의 출력과 차량

의 속도를 제한합니다

.

4-46

주 의

요소수

(

우레아

)

보충은 클러스터에 표시

되어 있는 요소수

(

우레아

)

게이지 눈금

이 한칸 정도일 때 시동을 끈 후 5리터

이상 또는 우레아 탱크 정격용량선

(

주입

건이 멈추는 지점

)

까지 보충하십시오

.

요소수

(

우레아

)

주입 후 추가로 주입할

때는 반드시 요소수

(

우레아

)

잔량 표시

화면에서 한칸 이상 표시 눈금이 떨어졌

을 경우에 주입하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

요소수

(

우레아

)

시스템이 오작동 할 수

있습니다

.

주 의

규격

JIS K

2247

-

1

(ISO

22241

, DIN

70070

)

을 만족하는 요소수용액

(

우레아

)

이외 디젤유

,

가솔린

,

알코올 등과 같은

추천되지 않은 액체를 절대로 사용해서

는 안됩니다

.

불량 연료 및 미 검증된 연료나 첨가제

등을 사용하면 연료 탱크 오염

,

연료 펌

프 손상 및 연료 필터의 조기 막힘 등으

로 인해 엔진과 배출가스 관련장치가 손

상될 수 있습니다

.

불량 연료에 포함된

이 물 질 에 의 하 여

D P F ( D i e s e l

Particulate Filter,

매연필터장치

)

막힘

또는

SCR

촉매 막힘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고가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를 교환해주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대기 환경보전법 제 94조에 의거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요소수

(

우레아

)

임을 알면

서도 사용하는 경우 과태료를 부과 받을

수 있습니다

.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표시등

(

호박색

)

배기파이프의 매연 필터 장치

(DPF)

에 포집된 수

(SOOT)

를 수동으로 재생시켜야 될 때 표시등

( )

이 점등됩니다

.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 재생을 위해서는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스위치를 표시등이 점

멸될 때까지 눌러 수동 재생을 진행 시키십시오

.

경 고

환기가 나쁜 차고에서는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을 실시하지 마십시오 .

특히 차고와 옥내 등 둘러 쌓인 장소에서는

배기가스에 의해 일산화탄소에 중독 될 수

있습니다 .

매연 필터 장치

(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

4

4-47

편의 장치

수동재생 방법

1

.

안전한 장소에 차량을 정차 하십시오

.

(

머플러

,

배기가스 배출구 주변에 낙엽

,

종이

,

유류등 인화성 물질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2

.

변속기 기어를 중립으로 하고 주차브레이

크를 확실히 거십시오

.

3

.

엔진이 충분히 워밍업

(

수온 65도 이상

)

된 상태에서 수동재생을 시작해 주십시오

.

수온이 낮을 경우 수동재생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4

.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스위치를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표시등이

점등에서 점멸로 바뀔 때까지 누르면 재

생이 시작됩니다

.

통상 30

~

40분이면 재생

이 완료되고 표시등이 꺼집니다

.

주 의

다음과 같은 장소에서는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을 실시하지 마십시오

.

-

도장되어 있는 노면에서 실시하면 배

기가스에 의해 노면이 변색될 우려가

있습니다

.

-

울타리 등에서 실시할 경우 고온의 배

기가스에 의해 식물의 잎사귀가 건조

될 우려가 있습니다

.

-

기름

,

건초

,

낙엽

,

종이 등 가연성 물질

을 제거하고 실시하십시오

.

특정 조건

하에서 뜨거운 배기가스나 배기관에

의해 발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화재

의 위험이 있습니다

.

수동 재생 중 정상 재생 종료가 아닌 강

제 재생 종료

(

수동재생 스위치를 다시 누

르거나 가속 페달

/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등으로

)

되었을 때

,

엔진 및 매연 필터 장

(DPF)

보호를 위해 1분 정도 높은 엔

rpm

이 유지 되다가 정상 아이들

rpm

으로 됩니다

.

엔진

rpm

이 정상 아이들 rpm

상태가 되면 차량을 운행하십시오

.

엔진 워밍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동 재생시

,

백연이 잠시 발

생할 수 있으나 재생 과정 중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므로

,

차량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

매연 필터 장치

(DPF)

자동재생 표시등

(

녹색

)

4-48

배기파이프의 매연 필터 장치

(DPF)

에 포집된 수

(SOOT)

가 자동으로 재생될 때 점등됩니다

.

자동으로 매연 필터 장치

(DPF)

재생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엔진 소음이 변화되지만 매연 필터

장치

(DPF)

재생을 위한 정상적인 현상으로 차량

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정차중 매연 필터 장치

(DPF)

재생

정차 상태에서 자동 재생 진행 중 수동 재생 스위

치를 누르고 있으면 매연 필터 장치

(DPF)

자동

재생 표시등이 꺼지며 재생이 중지됩니다

.

수동재생 필요시 수동재생 스위치를 다시 누르

고 있으면 수동재생 표시등이 점멸되며 수동재

생이 실시됩니다

.

경 고

수동재생 표시등과 엔진 체크 표시등이 동

시에 점등된 상태에서 수동재생 스위치를

눌러도 수동 재생이 작동하지 않으면 반드

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서 엔진을 점검한 후 진단장비를 이용하여

수동재생을 실시 해야 합니다 .

비상경고등 조명

배터리 방전 방지 기능

(

차량 조명을 켜 놓은 채 실수로 하차시 조명 자

동 소등

)

미등이 켜진 상태에서 키를 뽑고 운전석 도어를

열게 되면 미등이 소등되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차량에 대한 경고 표시로 비상시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경고등 버튼을 눌러 사용

하십시오

.

비상경고등은 시동 상태와 상관 없이 작동하며

,

모든 방향지시등이 일제히 깜빡입니다

.

다시한번 누르면 해제됩니다

.

비상경고등이 깜빡이는 동안 방향지시등은 작동

하지 않습니다

.

주 의

배터리의 방전과 다른 차량 운전자의 혼돈

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시에만 사용하십

시오

.

주 의

차량을 떠날 때는 반드시 차량 조명 및 각종

램프를 소등시키십시오 .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습니다

4

4-49

편의 장치

주간주행등

(DRL: Daytime Running Light)

주간주행등

(DRL)

은 낮 시간에도 자동으로 켜져

다른 사람들이 차량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합니다

.

특히 해질 무렵이나 해뜨기 직전에 차량의 접근

을 쉽게 인식하도록 합니다

.

엔진시동 후에 자동

으로 켜집니다

.

주간주행등은 다음과 같은 경우 기능이 해제됩

니다

.

1

.

조명 스위치가 전조등 위치일 때

2

.

시동

OFF

상태 일 때

3

.

전방 안개등이

ON

일 때

4

.

상향등이

ON

일 때

5

.

조명 스위치

AUTO

에 의해 전조등 또는 상

향등이

ON

일 때

조명 위치

조명 스위치의 끝을 잡고 돌리면 다음과 같이 조

명됩니다

.

1

. OFF (

작동 정지

)

위치

2

. AUTO(

자동점등

)

위치

3

.

미등 위치

4

.

전조등 위치

주 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조명을 오래 작동

시켜 놓지 마십시오

.

배터리가 방전 될 수

있습니다

.

미등 위치 ( )

미등

,

차폭등

,

번호판등

,

계기판등이 조명됩

니다

.

4-50

전조등 위치

( )

시동

ON

또는 시동 상태에서 작동됩니다

.

미등 위치의 조명과 전조등이 켜집니다

자동 점등 (AUTO) 위치

시동

ON

또는 시동 상태에서 작동됩니다

.

조명 스위치를

AUTO

위치로 선택하면

,

(

1

)

가 감지하는 외부의 조도

(

밝기 정도

)

따라 조명이 켜지거나 꺼집니다

.

주 의

센서의 상부에는 절대로 물건을 놓거나

유리 세정제로 닦지 마십시오

.

센서 하부에 다른 장치를 추가하지 마십

시오

.

안개

,

,

비 및 흐린 날씨에는 반드시 수

동으로 전환하여 사용하십시오

.

실차 조도는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기후

,

계절 주위환경에 따라 점등 및 소

등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 장치는 일출

,

일몰시에 제한적으로만

사용하며 일반적인 조명의 점등 및 소등

작동은 수동으로 조작 하십시오

.

출고 상태와 다르게 실내 조도에 영향을

줄수 있는 광차단 코팅 또는 선팅을 할

경우 오작동 할 수 있습니다

.

4

4-51

편의 장치

상향 점멸

상향

전조등 상향

,

하향 변환

4-52

전조등 스위치 위치 사용시기

하 향

상 향

스위치를 중앙 위치

에 놓는다

.

스위치를 계기판 방향

으로 밀어 놓는다

.

또는 운전자 방향

으로 당기고 있는다

.

(

계기판에 상향표시등

( )

이 들어옵니다

.)

마주오는 차가 있거나

앞차를 따라갈 때

야간 운행시 시야 확보

를 원할 때

(

마주오는 차 또는 앞

차가 없을때에 한하여

)

상 향

점 멸

스 위 치 를 운 전 자

방향 으로 2

-

3회 정도

당겨 올린다

.

타차량의 주의를 환기

시킬 때

스위치를 운전자 방향으로 당겼다가

(

상향

)

위치에서 손을 떼면 자동으로 스위치가 중앙

위치

(

하향

)

로 원위치 됩니다

.

경 고

상향등 사용은 다른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

합니다

.

다른 차량이 있을 경우 사용하지

마십시오

.

방향지시 및 차선변경

시동

ON

또는 시동 상태에서 작동됩니다

.

차량의 이동 방향을 예고하기 위해 사용하십시

.

방향을 좌

·

우측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

조명

스위치를 아래 또는 위

(A)

로 움직이십시오

.

계기

판에 해당 방향전환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

스위치 조작 시

,

스위치를 고정위치

(A)

까지 밀지

않으면

(B)

손을 놓았을 때

,

자동으로 스위치가

원위치로 되고

,

방향 표시등이 소등됩니다

.

와이퍼

/

와셔

안개등

안개나 눈

,

비 등으로 차량식별이 어려울 때 사고

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미등을 켠 상태에서 안개등 스위치 누르면 안개

등이 켜지며

,

다시 스위치를 돌리면 안개등이 꺼

집니다

.

주 의

전력 소모가 크므로 비나 안개 등으로 시계

가 나쁜 경우에만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

우에는 끄십시오 .

앞유리 와이퍼

/

와셔

A : 와이퍼 속도 조절

OFF :

작동 정지

INT :

간헐 작동

LO :

저속 작동

HI :

고속 작동

B :

간헐 작동 시 속도 기준 변경

C : 와셔액 분출 및 와이퍼 일시 작동

와이퍼 작동

시동

ON

또는 시동 상태에서 위치에 따라 다

음과 같이 작동됩니다

.

OFF :

와이퍼 작동 정지

• INT :

와이퍼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

로 작동합니다

.

비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사용하십시오

.

속도의 기준을 변경하고자 할 때는 속도

조절노브

(

1

)

를 돌려 조절할 수 있습니다

.

LO :

보통 속도로 작동

• HI :

빠른 속도로 작동

4

4-53

편의 장치

와셔액 분출

스위치를 운전자 방향으로 당기면 앞유리에 와셔

액이 분출되면서 와이퍼가 수회 작동합니다

.

위치를 계속 당기고 있으면 당기고 있는 동안 계

속 와이퍼가 작동하면서 와셕액이 분출됩니다

.

스위치에서 손을 떼면 자동으로 원위치 됩니다

.

주 의

와셔액 탱크가 비어 있을 때는 절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

와셔 모터가 손상됩

니다

.

와셔액은 수시로 확인하여 부족하면 보

충하십시오

.(

7장

,

와셔액 점검

참조

)

유리창이 건조할 때는 와이퍼를 작동시

키지 마십시오

.

유리창과 와이퍼 세척시 가솔린

,

시너와

같은 유기용제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

유리창에 왁스용 걸레나 발수 코팅제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

앞유리가 오염되어

와이퍼 작동 중 소음이나 떨림이 발생하

거나 와이퍼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와이퍼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강제적

으로 작동시키지 마십시오

.

겨울철 와이퍼가 얼어 붙었을 경우

,

이퍼를 모터의 힘으로 작동시키면 와이

퍼 링크가 이탈되거나 모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경 고

동절기에는 서리제거 장치 등으로 유리

창을 따뜻하게 한 뒤에 와셔액을 사용하

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유리창에 와셔액이 얼어

붙어 시야를 가리므로 대단히 위험하게

됩니다 .

엔진 냉각수 또는 부동액을 와셔액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

차량 도장부분의 손상은 물론 운행도중 시

야를 가려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4-54

실내등

주 의

오랫동안 실내등이 점등된 채 놔두면 배터

리가 방전되어 엔진 시동이 어려워집니다

.

차량에서 떠날때에는 불을 꺼주십시오

.

경 고

어두운 곳에서 주행할 때는 실내등 사용을

피하십시오 . 실내에 불이 켜져 있으면 어두

운 곳에서 시야가 줄어들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A

타입

• 「

OFF

:

실내등이 소등됩니다

.

도어 스위치 위치가 가운데

:

도어가 열렸을

때는 켜지고 도어가 모두 닫혔을 때는 꺼집니

.

도어가 약간이라도 열렸을 때에는 계속

등이 켜져 있습니다

.

• 「

ON

:

실내등이 점등됩니다

.

B

타입

실내등 ( 1 )

• 「

OFF

:

실내등이 소등됩니다

.

DOOR(

도어 스위치

(

2

)

중립 위치

) :

도어가

열렸을 때는 켜지고 도어가 모두 닫혔을 때는

꺼집니다

.

도어가 약간이라도 열렸을 때에는

• 「

계속 등이 켜져 있습니다

.

ON

:

실내등이 점등됩니다

.

맵램프 ( 3 )

렌즈를 누르면 해당 램프가 켜지고

,

다시 한

번 누르면 꺼집니다

.

4

4-55

편의 장치

도어 스텝 램프

도어를 열면 켜지고 닫으면 꺼집니다

.

4-56

서비스 단자

작업등 스위치

정비작업시 24

V

용 전구를 사용하여 작업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전석측 샤시프레임

(

크로스

멤버 2 하단

)

에 작업등 서비스 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위치를

ON

시키면 서비스 단자에 작

업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차량 주행시 작업등은 자동으로 꺼집니다

.

히터 및 에어컨

1

.

온도조절 스위치

2

.

풍량조절 스위치

3

.

바람방향 조절 스위치

4

.

에어컨 선택 스위치

5

.

공기흡입 선택 스위치

4

4-57

편의 장치

주 의

엔진 시동이 안걸린 시동 스위치

ON

상태에

서도 히터 및 에어컨을 작동시킬 수는 있지만

실질적인 냉난방은 되지 않고 송풍만 될 뿐이

,

배터리의 조기 방전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엔진 시동 상태에서 작동시키십시오

.

경 고

히터 및 에어컨을 켜놓고 차안에서 수면을

취하지 마십시오 . 사망의 위험이 있습니다 .

히터 및 에어컨을 켜 놓고 밀폐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지 마십시오 . 두통 및 졸음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히터 및 에어컨 조절 방법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

1

.

송풍 속도 조절 스위치를 돌려 히터 및 에어

컨을 작동 시키십시오

.

2

.

바람 방향 선택 스위치를 돌려 원하는 위치로

바람 방향을 선택하십시오

.

효과적인 실내 냉

난방 선택

-

겨울철 난방 시

:

-

여름철 냉방 시

:

3

.

송풍 온도 조절 스위치로 원하는 온도를 설정

하십시오

.

4

.

/

외 공기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실내 순

환 또는 외기 유입을 선택하십시오

.

5

.

송풍 속도 조절 스위치로 원하는 풍량을 설정

하십시오

.

6

.

에어컨 사용을 원하면 에어컨 선택 버튼을 누

르십시오

.

송풍 온도 조절 스위치

(

1

)

온도조절 스위치를 적색

(

우측

)

으로 돌리면 바람

이 뜨거워지고

,

청색

(

좌측

)

으로 돌리면 바람이

차가워 집니다

.

시동을 껐을 때 버튼 조건은 남아 있습니다

.

주 의

겨울철 엔진 공회전시 히터 성능이 부족할

때는 엔진 컨트롤 노브를 이용하여 아이들 rpm 을 증가하여 사용하십시오 .

4-58

풍량 조절 스위치

(

2

)

풍량 조절 스위치를 돌려 원하는 풍량을 설정하

십시오

.

오른쪽으로 돌리면 풍량이 많아지고

,

왼쪽으로

돌리면 풍량이 적어집니다

.

작동을 정지시키고자 할 때는

0

으로 위치 시키

십시오

.

바람방향 조절 스위치

(

3

)

공기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으

며 다음의 5가지 위치 선택모드가 있습니다

.

위치 작동

얼굴위치

공기가 상반신 방향으로 나옵니다

.

바이레벨위치

공기가 다리와 상반신 방향으로

나옵니다

.

다리위치

공기가 다리방향으로 나옵니다

.

다리

/

제습위치

공기가 다리와 앞유리 방향으로

나옵니다

.

제습위치

공기가 앞유리 방향으로 나옵니다

.

4

4-59

편의 장치

실내 순환

외기 유입

송풍구 개폐 및 방향 조절

송풍구 개폐

송풍구 개폐 레버를 닫힘 위치로 하면 바람이

나오지 않고

,

개폐 레버를 열림 위치로 하면

해당 송풍구로 바람이 나옵니다

.

송풍구 방향 조절

송풍구로 나오는 바람을 상

·

·

·

우 원하시

는 방향으로 조절하십시오

.

/

외 공기 선택 스위치

(

5

)

실내 순환

공기흡기선택 스위치를 누르십시오

.

스위치

내 표시등 점등되며 외부 공기는 차단되고

,

실내 공기만 순환되므로 외기 공기가 오염되

어 있을 때와 최대 냉방을 필요로 할 때 이 위

치로 하십시오

.

이 위치에서 장시간 난방 하

면 앞 유리에 습기가 생기게 되니 주의 하십

시오

.

외기 유입

공기흡기선택 스위치를 누르십시오

.

스위치

내 표시등 소등되며 외부 공기는 차단되고

,

소등시 외부공기가 들어옵니다

.

실내 환기시

사용하십시오

.

경 고

실내순환 모드를 장시간 사용하지 마십시

.

창문에 습기가 발생되기 쉬우며

,

탑승

객 호흡으로 실내공기가 혼탁해져 두통 및

졸음을 유발합니다

.

평상시에는 가능한 외

기유입 상태에서 운행하십시오

.

4-60

히터

히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온도 조절 스위치

(

1

)

를 적색 부분으로 최대로 돌려 놓고 풍량 조절스

위치

(

2

)

을 돌려서 켜면 따뜻한 바람이 나옵니다

.

경 고

히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창문에 습기가

발생되기 쉬우며 , 탑승객 호흡으로 실내 산

소가 부족해 질 수 있습니다 . 실내 산소가

부족한 경우 두통 및 졸음 운전을 유발하여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히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아래표를

참고하여 각 스위치를 사용하십시오

.

사용조건

스위치 위치

⑤ ①

통상 난방시 적색 범위

급속 난방시

(

스위치②

:

4단

)

유리습기 및

서리 제거시

환기시

(

스위치②은

적당한 세기로

조절 하십시오

.)

유리 습기 제거

및 냉방시

우측 끝

중간

적색 범위

청색 범위

적색 범위는 적색이 시작되는 곳 부터 우측 끝

까지 의미합니다

.

바이레벨 난방시

이 모드를 선택하면 따뜻한 바람이 발밑으로

나오고 낮은 온도의 바람이 센터 및 사이드

통풍구로 나옵니다

.

사용법

스위치

(

5

)

를 위치에 놓고 스위치

(

3

)

위치에 놓은 후 스위치

(

1

)

를 청색과 적

색이 겹치는 부분에 놓습니다

.

4

4-61

편의 장치

에어컨

(

4

)

에어컨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하

십시오

.

1

.

엔진을 시동 시키십시오

.

2

.

에어컨 선택 버튼

(A/C)

을 눌러

(

표시등 점등

)

에어컨을 작동 시키십시오

.

3

.

풍량 조절 스위치를 돌려 원하는 풍량을 설정

하십시오

.

4

.

온도 조절 스위치는 왼쪽

(

청색

)

으로 돌려 찬

바람이 나오도록 하십시오

.

5

.

바람 방향 선택 스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선택

하십시오

.

4-62

6

.

/

외 공기 선택 스위치를 실내 순환으로 하

십시오

.

,

오랫동안 사용시는 외기 유입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십시오

.

에어컨 작동을 멈추고자 할 때는 에어컨 선택 버튼

(A/C)

을 다시 한번 누르면

(

표시등 소등

)

꺼집니다

.

에어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아래표를

참고하여 각 스위치를 사용하십시오 .

사용조건

스위치 위치

⑤ ①

통상 난방시 적색 범위

급속 난방시

(

스위치②

:

4단

)

유리 습기 제거

및 냉방시

청색 범위

좌측 끝

청색 범위

주 의

외부에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유리창을 열

고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실내 및 송풍구 주

변에 물방울이 맺힐 수 있습니다

.

물방울이

생기면 주변 전자장치에 손상이 갈 수 있으

므로 이때에는 유리창을 닫고 에어컨을 작

동 시키십시오

.

에어컨을 사용한 후에는 차량 하부에서 땅

으로 물이 떨어질 수 있으나 이것은 정상적

인 작동 현상입니다

.

냉방시에는 도어 유리창을 완전히 닫습

니다

.

경사진 언덕을 장시간 주행할 경우는 엔

진의 부담이 커지므로 변속기어를 1단

계 낮게 변속하며

,

급격한 경사시는 에

어컨을 정지시켜 운행합니다

.

옥외에서 장시간 주차후 에어컨 작동시

는 실내의 고온 공기를 방출후 작동하여

야 냉방 효과가 빠를 뿐만 아니라 기기

의 수명이 연장됩니다

.

에어컨 작동 중에는 엔진 아이들

UP/

DOWN

기능이 안됩니다

.

주 의

정차중 장시간 사용은 각 부분에 무리가

생기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에어컨을 작동하면 냉방과 동시에 습기

가 제거되므로 실내가 건조하게 됩니다

.

따라서 담배를 피게 되면 눈이 따갑거나

목이 칼칼하게 되므로 적절히 차내 공기

를 환기시켜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

도록 하십시오

.

장시간 고속 주행중 찬바람이 나오지 않

을 경우 에어컨을 끄고 풍량조절 스위치

를 4단으로 놓은 다음 5

~

10분 정도 주행

후 다시 에어컨을 작동시키십시오

.

긴 경사길을 계속 올라갈 경우에는 3

~

5분

간격으로 에어컨을 끄거나 켜 주십시오

.

주 의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 겨울철에도 월

1

~

2회 정도 작동시켜 컴프레서 내의 오

일 순환이 원활하게 되어 에어컨 가동시

항상 좋은 상태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

십시오

.

먼지나 유해한 공기가 많은 곳을 주행할

때는 공기흡입 선택 스위치를 위치

로 놓으십시오

.

그 지역을 통과한 후에

는 위치로 놓아서 신선한 공기가 유

입되게 하십시오

.

히터나 에어컨 장치에 사용되는 공기는

앞 유리창의 앞쪽 그릴을 통하여 유입되

므로 낙엽

,

,

기타 이물질이 그릴을 막

지 않도록 하십시오

.

4

4-63

편의 장치

주 의

냉방시에는 도어 유리창을 완전히 닫습

니다

.

경사진 언덕을 장시간 주행할 경우는 엔

진의 부담이 커지므로 변속기어를 1단

계 낮게 변속하며

,

급격한 경사시는 에

어컨을 정지시켜 운행합니다

.

옥외에서 장시간 주차후 에어컨 작동시

는 실내의 고온 공기를 방출후 작동하여

야 냉방 효과가 빠를 뿐만아니라 기기의

수명이 연장됩니다

.

정차중 장시간 사용은 각 부분에 무리가

생기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에어컨을 작동하면 냉방과 동시에 습기

가 제거되므로 실내가 건조하게 됩니다

.

따라서 담배를 피게 되면 눈이 따갑거나

목이

칼칼

하게 되므로 적절히 차내공

기를 환기시켜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

하도록 하십시오

.

에어컨 냉매량 점검

냉매량이 부족하면 에어컨의 성능이 저하됩니

.

또한 과충전해도 에어컨 기기에 악영향을 주

게 되므로 이상이 발견되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경 고

에어컨 냉매는 고압상태이므로 소정의 자격

증 소지자에 한해서 정비하도록 하십시오

.

부적절한 정비

(

자사에서 지정하지 않는 냉

매를 사용하는 경우 포함

)

는 상해나 차량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에어컨 정비 및 점검

에어컨을 최상의 상태로 보전시키며 항상 쾌적

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예방 정기 점검을 철저

히 해야 합니다

.

(

1

)

겨울철 에어컨의 재사용 때

냉매량

,

벨트 장력상태 등 기타 제반사항을

철저히 점검해야 하며 에어컨 가동시에도 일

상 점검을 함으로써 에어컨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

겨울철에는 필히 매주 1

~

2회 에어컨을 작동

시켜 냉매누출 및 녹발생을 방지하고 컴프레

서내의 오일 순환을 원활케 하여 고장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십시오

.

에어컨은 대기 온도가

2

이하에서는 작동치 않으므로 히터를 작동

시켜 실내 온도를 높인후 작동하십시오

.

4-64

주 의

장시간 고속주행중 찬바람이 나오지 않

을 경우 에어컨을 끄고 풍량조절 스위치

를 4단으로 놓은 다음 5

~

10분 정도 주행

후 다시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됩니다

.

긴 경사길을 계속 올라갈 경우에는 3

~

5분

간격으로 에어컨을 끄거나 켜 주십시오

.

에어컨을 가동치 않는 겨울철에도 월1

~

2

회 정도 작동시켜서 냉매누설 방지에 도

움이 되며 컴프레서 내의 오일 순환도 원

활케되어 에어컨 가동시 항상 좋은 상태

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먼지나 유해한 공기가 많은 곳을 주행할

때는 유입을 막기 위해 공기흡입 선택 스

위치를 위치로 놓으십시오

.

그러나

그 지역을 통과한 후에는 위치로 놓

아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게 하십시오

.

히터나 에어컨 장치에 사용된 공기는 앞

쪽 그릴을 통하여 유입되므로 낙엽

,

,

기타 이물질이 그릴을 막지 않도록 하십

시오

.

(

2

)

응축기의 점검

응축기 핀에 먼지 등 이물질이 부착되면 열교

환 효율이 저하되어 냉방성능을 저하시킬 뿐

만 아니라 고압스위치가 작동될 우려가 있으

므로 매 3개월마다 압축공기 및 깨끗한 물로

오물을 제거하고 핀이 휜 것은 바로 세워 주

십시오

.

주 의

스팀 세척은 냉매압력을 상승시켜 냉매

배관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절대로 금

해주십시오

.

물 세척시에는 전기 기기에 유의하여 주

십시오

.

(

3

)

냉매누설 점검

냉매누설 현상이 자주 발생할 경우

,

도출관

,

흡입관 등의 냉매회로를 눈으로 점검 하십시

.

다량의 냉매가 누설되었다면 오일의 찌꺼

,

먼지 등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런 부위를

발견할 경우는 반드시 정비수리를 한후에 에

어컨을 사용하십시오

.

주 의

미량의 가스누설은 가스누설 테스터로 점

검하지 않으면 발견할 수 없으므로 정기적

으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서 점검하여 주십시오 .

4

4-65

편의 장치

유리창 습기

/

성에 제거 방법

유리창 습기

/

성에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바람방향 선택을

,

위치로 선택 시

에어컨과 외기 유입 선택이 자동으로 작동됩

니다

.(

유리창 습기 방지 기능이 설정된 경우

)

또한

,

차량에 따라 바람 방향 선택을

위치로 선택 시 풍량이 저단일 경우 중간단

부근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바람 방향 선택을

,

위치로 선택 시

에어컨 작동이나 외기 유입을 원하지 않을 경

,

에어컨 선택 버튼이나 내

/

외 공기 선택 버

튼을 눌러 해제 시킬 수 있습니다

.

바람 방향 선택을

,

이외의 위치로

전환시 에어컨 및 내

/

외 공기 선택은 이전의

상태로 복귀됩니다

.

겨울철 에어컨이 작동되어 추우면 온도 조절

노브를 조절하여 따뜻한 바람이 나오도록 하

셔도 됩니다

.

매우 습한 날씨에는 에어컨을 작동시킨 상태

에서 앞유리 서리제거 모드로 장시간 주행하

면 외부와의 온도차로 앞유리 바깥 표면에 습

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때에는 와이퍼를

이용하여 앞유리창의 습기를 신속히 제거 하

고 공기 방향을 로 변경하면 유리 바깥

표면에 습기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외부 공기 흡입구에 눈과 얼음 또는 젖은 오

(

낙엽 등

)

등을 제거하면 유리창의 습기 발

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혹한기에 차량을 외부에 주

·

정차 시킨 상태에

서 하절기용 와셔액을 분출시키면 앞유리 표

면에 결빙의 우려가 있으므로 분출 시키지 마

십시오

.

동절기용 와셔액을 보충하여 사용하

십시오

.

혹한기에 주

·

정차 된 차량의 앞유리 표면에

발생한 성에를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엔

진 회전수를 약 2000

RPM

정도에서 유지하

여 히터용 냉각수 온도를 급속으로 상승시킨

다음 앞유리 서리 제거 위치를 선택하고 최대

온도

,

최대 풍량으로 설정시키십시오

.

경 고

실내 순환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지 마십시

.

유리창에 습기가 발생되기 쉬우며

,

승객 호흡으로 실내공기가 혼탁해져 두통

및 졸음을 유발합니다

.

수동 조절식

실내측 유리 습기 제거 방법

1

.

풍량 조절 노브로 원하는 풍량을 설정하십

시오

. (

신속히 제거하려면 풍량을 고단으

로 설정하십시오

.)

2

.

온도 조절 노브로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십

시오

.

3

.

바람방향을 설정하십시오

.

4

. A/C

버튼을 누르고

,

외기 공기 유입 위치

로 설정 하십시오

.

4-66

실외측 유리 성에 제거 방법

1

.

풍량 조절 노브로 풍량을 고단으로 설정하

십시오

.

2

.

온도 조절 노브로 최대 온도를 설정하십시오

.

3

.

바람방향을 설정하십시오

.

4

. A/C

버튼을 누르고

,

외기 공기 유입 위치

로 설정하십시오

.

4-67

4

편의 장치

무시동 히터

1

.

왼쪽 방향 버튼

2

.

오른쪽 방향 버튼

3

.

전원 꺼짐

/

실행 취소버튼

4

.

전원켜짐

/

확인버튼

5

.

화면

(

디스플레이

)

4-68

초기설정방법

컨트롤에 최초 전원 인가 시

(

터리 탈거 후 장착 시

)

다음과

같은 화면이 켜집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현재시간을

설정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현재 요일을

설정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

히터의 동작

빠른시작

:

전원켜짐 버튼

(

4

)

을 2초 이상 눌

러야 합니다

.

히터가 곧바로 켜

집니다

.(

프로그래 밍이 작동 중

또는 설정 시는 제외

)

히터

ON :

전원켜짐 버튼

(

4

)

을 짧게 눌러

화면을 켭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난방기능

( )

을 선택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

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난방온도를 설

정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작동시간을

설정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니

.

난방 기능이 정상 작동됩니다

.

기본작동시간은 영구난방이며 사용자 설정

시 720분까지 설정가능 합니다

.

히터

OFF :

방향버튼

(

1

,

2

)

으로 난방기능

( )

을 선택하고 전원꺼짐 버튼

(

3

)

누르면 히터가 꺼집니다

.

또는

,

전원꺼짐 버튼

(

3

)

을 2초 이

상 누릅니다

.

경 고

연료 주유 시에는 반드시 히터 작동을

중지해 주십시오 . 인화성으로 화재가 발

생 할 수 있습니다 .

히터 작동 중이나 작동 후에 배기관 주

변이 고온 ( 약200도 ) 으로 배기관을 만

지지 않도록 주의 해주십시오 . 화상을

입을 수가 있습니다 .

주 의

히터 본체 상부나 공기 입

/

출구 주변에

는 물건을 놓지 마십시오

.

히터가 과열

되거나 작동을 중지할 수가 있습니다

.

주유소나 밀폐된 장소에서는 히터를 사

용하지 마시오

.

동작 중 온도 설정

방향버튼

(

1

,

2

)

으로 난방기능

( )

을 선택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

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난방온도를 설

정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작동시간을 설

정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니다

.

온도가 정상적으로 설정됩니다

.

공기히터는 스위치 히터

ON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환기 기능

( )

을 사용할 수 있습니

.

설정하고자 하는 메뉴로 이동 시 해당 메뉴가

깜박입니다

.

4

4-69

편의 장치

시간 설정 및 요일설정

페이지 4

-

67의 초기 설정을 참고하십시오

.

경 고

절대 히터를 임의 분해 및 조립하지 마

십시오 . 부적절한 정비는 상해나 차량에

손상을 가져올수 있습니다 .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해서 한 달에 한번

20 분 정도 히터를 작동하여 주십시오 .

주 의

히터 작동 중에는 난방 덕트 및 송풍구

가 뜨거워지므로 손

,

다리 등의 신체 일

부를가까이 하지 마십시오

.

열기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

예약

)

설정

방향버튼

(

1

,

2

)

으로 예약기능

( )

을 선택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

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P

1

,P

2

,P

3 중

변경을 원하는 하나의 번호를 확

인버튼

(

4

)

을 눌러 선택 합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 」

표시를

선택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니

.

4-70

방향버튼

(

1

,

2

)

으로 원하는 요일

을 설정 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

릅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히터가 꺼지

는 시간을 설정하고 확인 버튼

(

4

)

을 누릅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난방기능

( )

을 설정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

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원하는 온도

를 설정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

릅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원하는 작동

시간을 설정하고 확인버튼

(

4

)

누릅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On

을 선택

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릅니다

.

프로그램 ( 예약기능 ) 끄기

예약설정의 3번째 순서까지 동일하게 진행합니다

.

방향버튼

(

1

,

2

)

으로

OFF

를 선택

하고 확인버튼

(

4

)

을 누르면 예

약기능이 꺼집니다

.

히터예약 시간 설정 예

)

히터 예약시간

(

꺼지는 시간

)

이 6시

,

작동시간

이 1시간인 경우

,

히터는 5시부터 동작합니다

.

(

예약시간

) - (

작동시간

) = (

히터시작시간

)

P

1

,P

2

,P

3를 사용하여 3가지의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

예약 가능한 요일은 다음과 같이 설정 할 수 있

습니다

.

1

.

월요일

~

금요일

(

주중

)

2

.

토요일

~

일요일

(

주말

)

3

.

월요일

~

일요일

(

주간 전체

)

4

.

각각의 요일 별

4

예약이 정상적으로 설정되면 예

약된 번호에 와 화면에

「 」

표시가 나 타납니다

.

4-71

편의 장치

히터난방 작동시간

1

.

무시동히터의 시간 설정은 영구난방으로 기

본설정되어있습니다

.

2

.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방향버튼

(

1

,

2

)

을 이용

하여 히터 동작시간을 최대 720분까지 설정

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히터를 켜놓고 차 안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창문을 조금 열고

사용하십시오 . 히터를 켜놓고 밀폐된 상태

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산소부족으로 두통

및 사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오류화면

고장이 발생하면 타이머의 표시 창에

Error

표시

가 나타납니다

.

Error

가 표시되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에서 정비를 받으십시오

.

오류화면의 예

)

가까운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서 배터리와 전원 퓨즈를

확인하십시오

.

연료 탱크의 연료량과 히터 흡입

,

출구 막힘 상태를 확인 하십시오

.

가까운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를 방문하여 점검 하십시오

.

차량 배터리를 확인하십시오

4-72

다용도 보관함

주 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관함에 값비

싼 물건을 두지 마십시오

.

운행 중에는 넣어 두었던 물건들이 움직

일 수 있으므로 안전상에 이상이 있는

물건 또는 소리가 나는 물건들은 넣지

마십시오

.

경 고

외부온도가 높을때는 보관함에 가스라이

,

스프레이 등 인화성 물질은 보관하지

마십시오

.

차량이 밀폐된 상태로 직사광선을 받아 차

안의 온도가 고온으로 올라가면 폭발할 수

도 있습니다

.

경 고

보관함 내에 날카로운 물건이나 부적절

한 크기의 물건을 보관하지 마십시오 .

충돌시 돌출로 인한 인체의 상해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주행 중에는 항상 보관

함을 닫고 , 닫히지 않을 정도로 많은 물

건을 담지 마십시오 .

주행 중에는 조작하지 마십시오 . 운전자

의 주의가 산만해져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4

4-73

편의 장치

루프콘솔

·

우측 및 중앙 천정에 있으며 각종 작은 서류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루프콘솔에 중량물 ( 쇠붙이 ) 이나 날카로운

물건을 보관하지 마십시오 .

사고시나 급정차시 보관물건이 떨어져 부

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글로브 박스

손잡이를 옆으로 밀면서 앞으로 당기면 열리며

,

작은 부피의 물건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사고시나 급정차시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주행시에는 글로브 박스 도어를 반드시 닫

아 주십시오 .

센터 좌석 콘솔

센터 좌석을 앞으로 접고 콘솔을 열면 작은 부피

의 물건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

4-74

백콘솔

센터 좌석 뒤쪽에 백콘솔이 있습니다

.

간단한 소

지품을 보관 할 수 있습니다

.

센터 콘솔

동전이나 간단한 메모등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

도어 포켓

운전석 및 동승석 도어 하단에 보관함이 있습니다

.

4

4-75

편의 장치

실내 편의 장치

앞 ( 12 V, 36 W)

주차브레이크 뒤

(

24

V,

120

W)

인스투르먼트 상단

(

24

V,

120

W)

다용도 소켓

엔진 시동 상태에서 소켓 커버를 열고 소켓 커버

에 표시되어 있는 규격에 맞는 전기제품

(

:

공청소기

,

소형 냉장고

, AV

게임기 등

)

을 꽂아 사

용하십시오

.

주 의

반드시 12

V,

36

W

소켓에는 12

V,

36

W

이하 전기제품을 사용하시고

,

24

V,

120

W

소켓에는 24

V,

120

W

이하 전기제

품을 꽂아 사용하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

차량의 전기

/

전자 장치의 고장이나 과열

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반드시 엔진 시동 상태에서 사용하시고

사용 후에는 플러그를 소켓에서 뽑아두

십시오

.

엔진 정지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장시간 전기 제품을 꽂아두면 배터리 방

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주 의

에어컨이나 히터를 사용 중 다용도 소켓

을 사용해야 할 때는 에어컨이나 히터를

1단 이하로 조절하십시오

.

그렇지 않으

,

배터리 방전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를 닫아 주

십시오

.

다용도 소켓에 전자파 노이즈

(

전자파 잡

)

를 과대하게 발생시키는 일부 부적합

한 전기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오디

(

또는

AV

)

의 잡음 유발 및 차량 전

기장치의 비정상 작동을 일으킬 수 있으

므로 주의 하십시오

.

경 고

다용도 소켓에 신체의 일부

(

손가락 등

)

전기가 통하는 물체를 끼우면 감전이나 화

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끼우지 마십시오

.

4-76

시가 라이터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시가 라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동 상태를

ACC

이상

으로 두어야 합니다

.

시가 라이터를 사용하려면 손잡이를 안으로

누르고 손을 떼십시오

.

가열되면 자동으로 튀

어나옵니다

.

이때 시가 라이터를 뽑아서 사용

하십시오

.

사용 후에는 반드시 다시 제자리에

확실히 꽂아 넣으십시오

.

주 의

시가 라이터 소켓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십시오

.

이물질이 들어갈 경우

시가라이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반드시 순정부품 시가 라이터만을 사용

하십시오

.

면도기

,

소형 진공청소기

,

커피

포트 등의 사용은 라이터 소켓 손상 또는

전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시가 라이터가 튀어 나오지 않은 상태에

서 라이터를 뽑아서 사용하면 시가 라이

터가 고장날 수 있습니다

.

경 고

시가 라이터를 누른 채 계속 있으면 과

열되어 위험합니다 .

만일 30초 이내에 시가 라이터가 튀어

나오지 않으면 과열되지 않도록 손으로

빼내십시오 .

열선 부분 및 금속 부분을 만지지 않도

록 주의하십시오 . 화상을 입을 수 있습

니다 .

운전 중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 주의력

이 떨어져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가열된 시가 라이터는 트레이 바닥에 놓

지 마십시오 .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4

4-77

편의 장치

컵홀더

컵이나 캔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차량이 움직이는 동안 컵 홀더에 액체가 담

긴 컵을 두지 마십시오 . 특히 뚜껑을 닫지

않은 채로 뜨거운 액체가 담긴 컵을 놓아두

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 갑자기 쏟아지면

화상의 위험과 더불어 운전자가 당황하여

운전 능력을 상실할 수도 있습니다 .

옷걸이 후크

옷을 걸어 놓을 수 있습니다

.

경 고

옷 이외의 다른 물건을 걸지 마십시오 . 차

량 손상 뿐만 아니라 충돌 시 탑승객의 부

상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선바이저

직사광선을 가리거나 눈부신 것을 방지합니다

.

선바이저의 끝부분을 분리하여 옆 방향으로 돌

리면 측면을 가릴 수가 있습니다

.

4-78

멀티미디어 장치

안테나

경 고

창문을 닫고 차 안에서 라디오 또는 오디오

소리를 크게 하고 있으면 외부의 소리를 들

을 수 없어 매우 위험합니다

.

교차로나 건

널목에서는 특히 주의 하십시오

.

안테나는 좌측 루프위에 있습니다

.

주 의

라디오의 음량은 안전을 위해 바깥의 소리

가 들리는 정도로 하십시오

.

오디오 리모컨

주행중 안전하게 오디오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

향 핸들에 리모컨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

주 의

오디오 리모컨의 버튼을 동시에 2개 이상

조작하지 마십시오

.

4

4-79

편의 장치

1

.

모드 선택

( )

버튼을 눌러 라디오

, AUX(

사양 적용시

), USB

(iPod)(

사양 적용시

), CD(

사양 적용시

)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오디오에

CD

가 들어

있지 않거나

AUX, USB(iPod)

가 연결되어 있

지 않으면 해당 모드는 선택되지 않습니다

.

오디오가 꺼져 있을 때 버튼을 0

.

8초 이하로

짧게 누르면 오디오가 켜집니다

.

오디오가 켜

져 있을 때 버튼을 0

.

8초 이상 길게 누르면 꺼

집니다

.

2

.

음량 조절

버튼을 누르면 음량이 증가

/

감소 합니다

.

3

.

탐색

(< / >)

버튼을 0

.

8초 이하로 짧게 누르면 라디오 수신

시에는 미리 오디오 프리셋 버튼

(

1

~

6번

)

에 설

정된 라디오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고

, CD

에서

음악을 듣고 있을 때에는 다음 또는 이전 곡의

처음을 들려줍니다

.

버튼을 0

.

8초 이상 길게 누르면 라디오 수신시

에는 지금 듣고 있는 방송에서 주파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여 다음 또는 이전 방송이 있는 곳

에서 정지하여 수신하고

, CD

에서 음악을 듣

고 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됩니다

.

CD :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빨리감기

/

되감기

4

.

음소거

(MUTE)

버튼을 누르면 오디오 음이 사라집 니다

.

다시 한번 누르면 음소거 상태가 해제됩 니

.

오디오

오디오 사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도로 지

급되는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

주 의

차량에 시중

HID

타입의 전조등을 장착할

경우

,

오디오 및 차량 전장품에 이상 작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4-80

오디오 외부 입력 단자

▶ AUX

,

USB & iPod ®

단자

MP

3

, CDP, USB

저장장치 또는

iPod ®

등 외

부 음향 기기

(

또는 음악 파일 저장장치

)

를 차

량에 연결하여 차량 스피커를 통하여 음악을

듣거나 차량 오디오로 재생할 수 있는 편의장

치 입니다

.

AUX

단자

:

외부 음향기기의 입력

USB

단자

(AUX

규격 3

.

5

Ø

)

: USB

저장 장치의 iPod

®

단자

: iPod

®

기기의 입력

입력

-

오디오 사양은

Apple

®

번들 케이블

(USB)

사용

-

내비게이션 사양은

OEM iPod

®

전용

케이블

(AUX+USB)

사용

외부 입력 단자 사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도로 지급되는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

주 의

외부 기기를 다용도 소켓에 연결하여 사용

할 때 소음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외부 기기 자체 전원을 사용하십시오

.

블루투스 핸즈프리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기능이 내

장된 휴대전화를 사용하여 손으로 들고 통화하

는 번거로움이 없이 편리하게 전화기능을 사용

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

1

.

통화버튼

3

.

마이크

2

.

통화 종료 버튼

4-81

4

편의 장치

경 고

반드시 안전한 곳에 차를 정차한 후 휴

대전화를 연결하십시오 . 운전중에 연결

하실 경우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해져 사

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

운전 중에는 전화번호를 눌러서 전화걸

기를 시도하거나 통화하지 마십시오 .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해져 사고의 위험

이 있습니다 .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앞 차량의

속도와 뒷 차량 유무 확인 , 돌발상황 대

처 , 조향 핸들 조작을 제대로 할 수 없어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운행 중에는 휴대 전화를 사용하지 마십

시오 .

알아두기

블루투스(

Bluetooth

)란?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다양한 정보통

신 기기(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PDA)등을

물리적 케이블의 연결 없이 무선으로 연결

해 주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킹의 기술 규격

을 말합니다.

주 의

블루투스 핸즈프리는 블루투스 기능이 내

장된 휴대전화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

자동차에 장착된 통화스위치를 눌러도

통화 되지 않는 기종은 휴대전화의 통화

버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블루투스 휴대전화의 출시시점

,

소프트

웨어 버전

,

이동통신사에 따라 일부 기

능이 당사 핸즈프리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휴대전화의 성능은 휴대전화 제조사에

서 보증하므로 문제가 있을 경우 휴대전

화 제조사에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별도로 지급되는 설명서를 참

조하십시오

.

4-82

디지털 타코 그래프

A

타입

각부 명칭 및 기능

1. 선택버튼

현재 메뉴에서 해당 메뉴로 전환해줍니다

.

령 실행 버튼입니다

.

2. 취소/화면 버튼

초기화면 및 이전화면으로 전환시켜줍니다

.

3. USB 커넥터

주행기록 데이터의 다운로드

,

차량정보 변경

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 입니다

.

4. 외부커넥터

영상 관련 등 통신 장치 접속을 하기 위한 입

출력 장치입니다

.

5. USB/▲ 버튼

운행기록 다운로드

,

백업일시 표시 등

USB

관련 기능을 수행합니다

.

기능 선택된 메뉴에서 커서의 위치 이동 및

숫자

,

문자의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

6. 기기/▼ 버튼

무선장치

,

위성항법장치

(GPS),

가속도 센서

,

차량입력신호

,

고장코드확인 등 기기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기능 선택된 메뉴에서 커서의 위치 이동 및

숫자

,

문자의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

8. 사용자/▶ 버튼

운전자 코드 선택

,

메모리 사용표시

,

화면 밝기

변경 등 유저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입니다

.

기능 선택된 메뉴에서 커서 위치를 이동 할

수 있습니다

.

7. 관리/◀ 버튼

차량유형

,

차량번호

,

차종설정

,

사업자번호

,

차대번호

,

형식승인번호

,

제품일련번호

,

차량

입력설정

,

차량계수설정

,

차량정보 변경

,

웨어 업데이트

,

비밀번호변경

,

버전정보 등

관리 기능을 수행합니다

.

기능 선택된 메뉴에서 커서 위치를 이동 할

수 있습니다

.

주 의

주행 중에는 버튼이 작동되지 않습니다

.

량을 정지시키고 버튼을 작동하십시오

.

4

4-83

편의 장치

초기화면 구성

모드1

)

단말기 상태이상 표시기능

,

날짜

,

시간

모드2

)

단말기 상태이상 표시

,

날짜

,

시간

,

구간주행시간

,

거리

모드3 ) 단말기 상태이상 , 차속 , 엔진 rpm

1

.

현재 날짜 정보를 표시합니다

.

2

.

현재 시간을 표시합니다

.

3

.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합니다

.

4

.

구간 주행시간 및 구간 주행거리를 표시합니다

.

5

.

현재 속도를 표시합니다

.

6

.

현재 엔진 rpm

을 표시합니다

.

7

.

현재 상태이상 코드를 표시합니다

.

8

.

일일 운행 시간을 표시합니다

.

9

.

일일 운행 거리를 표시합니다

.

이상코드표

00

:

운행 기록장치 정상

11

:

위치 추적장치

(GPS

수신기

)

이상

12

:

속도 센서 이상

13

: RPM

센서 이상

14

:

브레이크 신호감지 센서 이상

21

:

센서 입력부 장치 이상

22

:

센서 출력부 장치 이상

31

:

데이터 출력부 장치 이상

32

:

통신 장치 이상

99

:

전원 공급 이상

현재 이상코드를 시간 순으로 위에서부터 표

시합니다

.

모드4

)

단말기 상태이상

,

일일 주행시간

,

일일 주행거리

4-84

전체 메뉴 구성

MAIN MENU

SUB MENU

초기화면모드 1

운행기록 데이터

다운로드

백업일시표시

초기화면모드 2

초기화면모드 3

초기화면모드 4

상세한 사용방법은 제작사에서 지급하는 사용설명서 또는

CD

를 참조하십시오

.

무선장치

위성항법 장치

가속도센서

차량 입력신호

고장코드 확인

운전자

메모리사용 표시

화면밝기 조절

차량유형

차량번호

차량설정

사업자번호

차대번호

형식승인번호

제품일련번호

차량입력설정

차량계수설정

차량정보변경

펌웨어업데이트

비밀번호변경

버전정보

4-85

4

편의 장치

B

타입

각부 명칭 및 기능

1. 선택버튼

현재 메뉴에서 선택버튼을 누르면 해당 메뉴

로 전환합니다

.

최종상태 화면에서 버튼을 누르면 초기화면

으로 전환합니다

.

2. 취소/화면 버튼

메뉴상태가 1단계

Sub

메뉴 단계에서 취소

버튼을 누르면 초기 화면으로 전환합니다

.

메뉴상태가 2단계

Sub

단계 이상에서 취소 버

튼을 누르면 이전단계 화면으로 전환합니다

.

최종상태 화면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초기화

면으로 전환합니다

.

4-86

3. USB 커넥터

주행기록

Data

의 다운로드

,

차량 정보 변경

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입니다

.

4. USB/▲ 버튼

초기 메뉴 상태에서

USB /

버튼을 눌러

USB

관련 메뉴를 수행합니다

.

선택된 메뉴에서

USB /

버튼을 누르면 커

서의 위치가 위로 한 칸 이동합니다

.

수정 메뉴에서는

USB /

버튼을 누르면 문

자 또는 숫자가 변경 됩니다

.

5. 기기/▼ 버튼

초기 메뉴상태에서 기기

/

버튼을 눌러 장

치관련 메뉴를 수행합니다

.

선택된 메뉴에서 기기

/

버튼을 누르면 커

서의 위치가 아래로 한 칸 이동합니다

.

수정 메뉴에서는 기기

/

버튼을 누르면 문

자 또는 숫자가 변경됩니다

.

6. 사용자/▶ 버튼

초기 메뉴 상태에서 사용자

/

▶ 버튼을 눌러

유저 관련 메뉴를 수행합니다

.

선택 또는 수정 메뉴에서 사용자

/

▶ 버튼을

누르면 커서의 위치가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합니다

.

7. 관리/◀ 버튼

초기 메뉴 상태에서 관리

/

◀ 버튼을 눌러 관리

자 관련 메뉴를 수행합니다

.

선택 또는 수정 메뉴에서 관리자

/

◀ 버튼을 누

르면 커서의 위치가 왼쪽으로 한 칸 이동합니다

.

주 의

주행 중에는 버튼이 작동되지 않습니다

.

량을 정지시키고 버튼을 작동하십시오

.

초기화면구성

모드1

)

단말기 상태이상 표시기능

,

날짜

,

시간

모드2

)

단말기 상태이상 표시

,

날짜

,

시간

,

구간주행시간

,

거리

모드3

)

단말기 상태이상

,

차속

,

엔진

rpm

1

.

현재 날짜 정보를 표시합니다

.

2

.

현재 시간을 표시합니다

.

3

.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합니다

.

4

.

구간 주행시간 및 구간 주행거리를 표시합니다

.

5

.

현재 속도를 표시합니다

.

6

.

현재 엔진 rpm

을 표시합니다

.

7

.

현재 상태이상 코드를 표시합니다

.

8

.

일일 운행 시간을 표시합니다

.

9

.

일일 운행 거리를 표시합니다

.

이상코드표

00

:

운행 기록장치 정상

11

:

위치 추적장치

(GPS

수신기

)

이상

12

:

속도 센서 이상

13

: RPM

센서 이상

14

:

브레이크 신호감지 센서 이상

21

:

센서 입력부 장치 이상

22

:

센서 출력부 장치 이상

31

:

데이터 출력부 장치 이상

32

:

통신 장치 이상

99

:

전원 공급 이상

현재 이상코드를 시간 순으로 위에서부터 표

시합니다

.

4

모드4

)

단말기 상태이상

,

일일 주행시간

,

일일 주행거리

4-87

편의 장치

전체 메뉴 구성

MAIN MENU

SUB MENU

초기화면모드 1

초기화면모드 2

초기화면모드 3

운행기록 다운

최근 백업 일시

단말 정보 변경

펌웨어 업데이트

위성항법장치

가속도센서

차량 입력신호

고장코드 확인

초기화면모드 4

주 의

WI-FI

를 통한 운행기록 전송은 현재 시간 기준 약 48 시간 데이터만 전송 가능합니다

.

현재 시간 기준으로 48 시간 이상 지난 데이터는

USB

를 이용해서 다운 전송하셔야 합니다

.

상세한 사용방법은 제작사에서 지급하는 사용설명서 또는

CD

를 참조하십시오

.

4-88

운전자

차량번호

차량유형

사업자번호

차대번호

운행장치 정보

무선장치 정보

비밀번호 변경

시동 및 주행

시동 스위치

......................................................................

5

-

2

시동 스위치 위치

..............................................................

5

-

2

엔진 시동방법

...................................................................

5

-

4

엔진 정지방법

...................................................................

5

-

7

엔진 크랭킹

......................................................................

5

-

8

변속기

.................................................................................

5

-

9

가속페달

............................................................................

5

-

10

클러치 페달

.......................................................................

5

-

10

브레이크 페달

....................................................................

5

-

11

주행중의 브레이크 사용법

...............................................

5

-

11

주차 브레이크

....................................................................

5

-

12

표준형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2

접이식 주차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3

더블 캡 차량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3

주차브레이크의 유격

......................................................

5

-

13

ABS(Anti-Lock Brake System) .........................................

5

-

14

ABS

경고등

....................................................................

5

-

14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

5

-

15

배기 브레이크

....................................................................

5

-

16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

5

-

17

VDC

작동

.......................................................................

5

-

17

운전자

VDC

작동 정지

....................................................

5

-

18

표시등

............................................................................

5

-

18

VDC

중지

.......................................................................

5

-

18

VDC OFF(

작동 정지

)

사용 방법

.....................................

5

-

19

엔진 공회전

(IDLE)

스위치

................................................

5

-

20

자동 정속 주행 장치

(

오토 크루즈

) ......................................

5

-

20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LDWS) ...........................................

5

-

22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비작동 조건

...................................

5

-

24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

5

-

25

P.T.O

스위치

......................................................................

5

-

26

듀얼 파워 스위치

...............................................................

5

-

27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스위치

...............................

5

-

28

안전운전요령

.....................................................................

5

-

29

야간운행

.........................................................................

5

-

29

여름철 운행

....................................................................

5

-

30

겨울철 주행

....................................................................

5

-

30

안전 운행

...........................................................................

5

-

35

악천후시

,

험로에서의 주행

..............................................

5

-

36

고속도로의 주행

.............................................................

5

-

37

화물적재 방법

....................................................................

5

-

38

과적 주행시

....................................................................

5

-

38

경제적인 운행

....................................................................

5

-

39

최고속도 제한장치 .................................................................

5

-

40

5

시동 및 주행

시동 스위치

시동 스위치 위치

LOCK

키를 뽑고 조향 핸들을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

면 조향 핸들이 고정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기는 위치입니다

.

키는

LOCK

위치에서만 뺄 수 있습니다

.

시동 스위치를

LOCK

위치로 돌리고자 할

때는

ACC

위치에서 키를 안쪽으로 누른 상

태에서

LOCK

위치로 돌리십시오

.

ACC

조향 핸들이 잠기지 않고 엔진에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전기 장치를 작동할 수 있

습니다

.

주 의

LOCK

에서

ACC

위치로 시동 스위치

가 돌려지지 않으면

,

조향 핸들을 오른쪽이

나 왼쪽으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시동 스위

치를 돌리십시오

.

ON

엔진에 시동을 걸기 전에 경고등을 점검할 수

있고

,

시동을 건 후에 모든 전기장치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엔진에 시동이 걸린 후 엔진이 정상적으로 작

동하는 상태임을 표시하는 위치입니다

.

엔진에 시동이 걸린 상태가 아니면

,

방전이

될 수 있으므로 시동 스위치를

ON

위치에

두지 마십시오

.

5-2

S (START)

엔진에 시동을 걸고자 할 때 시동 스위치를

S

위치까지 돌리십시오

.

시동이 걸리면 바로 키에

서 손을 떼고 10초 이상

S

위치에서 키를 잡

고 있지 마십시오

.

키에서 손을 떼면 시동 스위치는 자동으로

ON

위치로 되돌아갑니다

.

주 의

엔진 정지 중 시동 스위치를 장시간

ACC

ON

의 위치에 두면 배터리가 방전됩니다

.

경 고

키에는 아래와 같은 열쇠고리를 사용하

지 마십시오

.

운전시 무의식 중에 무릎

으로 열쇠고리를 밀면 열쇠고리 무게로

인해 키가

ACC

위치로 되어 엔진이

정지될 위험이 있습니다

.

1

.

지갑형 열쇠고리

2

.

열쇠고리에 다량의 열쇠 장착

3

.

열쇠고리에 무거운 액세서리 부착

운전 중에는 올바른 자세로 좌석에 앉으

십시오

.

경 고

운행중 키를

LOCK

또는

ACC

위치

로 놓지 마십시오

.

조향 핸들

,

브레이크 기

능과 방향 제어 능력이 상실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

운행중 조향 핸들 사이로 시동 스위치

또는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지 마십시오

.

손이나 팔로 차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되

어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운전석 주변에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놓

지 마십시오

.

운전을 방해할 뿐만 아니

라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

시중에서 임의 가공된 키를 사용하지 마

십시오

.

시동시 키 리턴

(START

ON)

이 되지 않아 시동 후에도 시동 모터가

계속 작동되어 시동 모터 손상 및 배선

의 과부하로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

니다

.

5

5-3

시동 및 주행

엔진 시동방법

1

.

엔진 시동전에 우선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

.

2

.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십시오

.

3

.

모든 전기장치를

OFF

로 하십시오

.

4

.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와 작동 유

격을 오른발로 확인 하십시오

.

경 고

운전석 주변에 페달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물건

(

:

깡통

,

,

고정되지 않은 바닥매트

)

이 있으면 제거하여 주십시오

.

정지하고

자 할 때

,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지지 않는

등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위험합니다

.

5

.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고 변속레버를

N

(

중립

)

으로 한 후

,

시동을 거십시오

.

6

.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까지 돌리고 엔

진 시동이 걸리면

(

최대 10초까지

)

키에서 손

을 떼십시오

.

7

.

출발할 때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해제시키

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

를 참조하십시오

.

8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킨 다음 클러치 페달

을 밟은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1단 위치에 놓

고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면서 가속 페달을

밟아 천천히 출발 하십시오

.

5-4

주 의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초기

rpm(

분당

엔진 회전수

)

이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

.

때는 엔진을 예열

(

공회전

)

시켜 엔진회전

이 정상범위로 떨어진 후에 출발 하십시

.

키를 10초 이상

START

에 위치시키지

마십시오

.

엔진이 한번에 시동되지 않을

때는 약 30초간 기다린 후 재시도 하십

시오

.

고속 공회전을 삼가 하십시오

.

10분이상

고속 공회전시 배기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주 의

동절기에는 메인필터와 프리필터에 연료

히터 장치가 있어 히터 가열 시간이 필요합

니다

.

시동 키를

ON

후 계기판의 예열 표

시등이 꺼진 것을 확인한 후 시동을 거십시

.

공회전을 충분히 하여 결빙된 연료가 필

터에 내장된 히터에 의해 해동 된 후 차를

출발해야 합니다

.

시동 후 곧바로 출발하게

되면 연료 필터내 결빙된 연료가 완전히 녹

지 않아 연료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

엔진 출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출발 직후 급가속을 하지 마십시오

.

경 고

주행중

ON

리지 마십시오

.

위치 이외에는 절대로 돌

ACC

로 되면 엔진의 시동이 꺼지기

때문에 브레이크 배력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브레이크의 기능이 매우 나쁘게 됩

니다

.

ACC

로 되면 경고등 및 계기등이 작

동되지 않아 위험할 뿐만 아니라 전기

계통의 고장 원인이 됩니다

.

키를

LOCK

위치에 놓으면 조향 핸들

이 고정되어 위험합니다

.

차에서 떠날 때는 안전을 위해 키를 뽑

아 지참 하십시오

.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는 공간

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어 두지 마

십시오

.

배기가스에 의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

5

5-5

시동 및 주행

경 고

엔진

rpm(

분당 엔진 회전수

)

이 높은 상

태에서 브레이크를 해제하면 차가 갑자

기 움직일 수 있으므로 엔진

rpm

이 안

정될 때까지 기다려 출발 하십시오

.

절대로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시동을 걸

지 마십시오

.

차가 갑자기 움직이게 되

어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엔진이 가열된 경우

운전중에 잠시동안 시동을 끈 경우 엔진이 가

열되어 있기 때문에 재시동시 예열플러그를

예열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

15초한도

!

예열표시등이 소등되어도 잠시동안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

이때는 시동스위치를

OFF

로 하고나서 다시한번 예열플러그의

예열을 실시해 주십시오

.

엔진이 냉각된 경우는 바깥공기의 온도에 따

라서 예열표시등이 소등되는 시간이 다릅니

.

한냉시 엔진 시동이 어려울 경우

1

.

시동스위치를

OFF

로 하고나서 다시 엔

진의 시동을 겁니다

.

2

.

10초 이내에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15초를 한도로 엔진의 시동이 걸릴 때까지

시동 스위치를 계속 돌려 주십시오

.

5-6

10초 이내에서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 또는 15초 경과해도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는 시동 스위치를

OFF

하여 잠시 멈추고

(

약 30초

)

다시 한번 엔

진의 시동을 걸어 주십시오

.

엔진 시동의 불량여부는 엔진오일의 선정

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꼭

추천 오일 제원

를 참조하시어 지정된 엔진오일을 사

용해주십시오

.

주 의

밀거나 견인에 의해 엔진의 시동을

것은 위험하므로 하지 마십시오

.

거는

연료가 완전히 소모되어 운전할경우

,

진 및 연료장치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

으므로

,

항상 연료를 보충한 후 주행하

십시오

.

엔진의 시동이 어려운 경우

연료 필터 내 연료가 빙결되어 시동이 안 걸

릴 수 있으므로 연료 필터 내 연료가 충분

히 데워질 때까지 시동 스위치를

ON

태로 기다렸다가 시동을 겁니다

.

자동차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연

료 계통에 공기가 들어가 엔진의 시동이 걸

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시동이 걸리지 않

는 경우는 연료계통의 공기빼기를 해야 합

니다

.

엔진 정지방법

1

.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과 브

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같이 밟고 계십시오

.

2

.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

에서 변속기 레버를

N

(

중립

)

으로 하십시

.

3

.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놓으십시오

.

4

.

시동 키를

LOCK

위치까지 돌려 빼 주십

시오

.

5

5-7

시동 및 주행

주 의

엔진 정지

십시오

.

직전에 고속 공회전을 삼가하

경사가 있는 곳에 주차 시킬 때는 변속

레버를 오르막길에서는

1

,

내리막길

에서는

R

(

후진

)

으로 놓고 타이어에 고

임목을 설치 하십시오

.

경사가 심한 장소에는 주

·

정차 하지

십시오

.

차량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이와 같은 사고 방지를 위한 경우 이외

에는 시동

OFF

후 차량 이동이 필요시

반드시 기어를 중립으로 유지하십시오

.

엔진 시동

OFF

후 기어 중립이 아닌 상

태로 이동하게 되면 엔진이 회전하게 되

면서 엔진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엔진 크랭킹

장시간 운행하지 않은 차량은 오일이 골고루 퍼

지게 하기 위해 월 1회 이상 다음 방법으로 시동

을 걸어 주십시오

.

1

.

기어 변속 레버를 중립 위치로 합니다

.

2

.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 스위치를

START

위치로 해 시동을 건 후 2

~

3분간 아이들링시켜

주십시오

.

3

.

이 때 가속 페달을 밟지 마십시오

.

( (

1

) ( (

2

)

( (

3

)

주 의

엔진 각부에 오일이 골고루 퍼지기 위해 아

이들링 한 후 운행하십시오

.

특히 터보 장착 엔진은 회전 각부분의 오일

이 없는 상태가 되어 바로 시동을 걸면 엔진

이 손상 될 수가 있습니다

.

5-8

변속기

기어변속시는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아야 원

활하게 기어가 변속됩니다

.

1단 및 후진

(R)

시 변속 할 때는 차량을 완전하게

정지시키고 변속하여 주십시오

.

주 의

차량 주행 중

R

단 변속시 변속기 내부의 기

어 및 싱크로

(

부품

)

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변속하십시오

.

주 의

고단에서 저단으로 변환하는 경우

,

변환

된 저단에서도 엔진 회전수가 엔진 회전

계의 적색구역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 (

특히 5단에서 4단으로 감속

변환의 경우 부주의하게 기어레버를 왼

쪽방향으로 당기면 2단으로 변환되어

엔진이 급격하게 고회전 될 수가 있으

,

결과적으로 엔진과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도 있습니다

.)

언덕길에서 정차하는 동안 클러치를 사

용하여 차를 정지시키려 하지 마십시오

.

클러치가 조기 손상 됩니다

.

차량의 원활한 주행과 연료절감을 위하

여 적정 변속시기에 변속하여 주십시오

.

엔진 회전계의 바늘이 적색눈금을 넘지

않도록 하십시오

.

엔진 손상을 야기시킵

니다

.

주 의

언덕길에서 주

정차시 안전을 위해 주

차 브레이크를 채워 주시고

,

출발할때는

1단기어를 넣고 가속 페달을 밟은 상태

(

엔진 회전수 2

,

000

rpm

정도

)

에서 클

러치 페달을 완전히 놓으면서 차량이 전

진하려는 시점이 되면 주차 브레이크레

버를 풀고 출발하여 주십시오

.(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원위치 시켜 주십

시오

.)

언덕길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채우지 않

고 출발시 클러치 디스크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고

,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겨울철 기온이 낮을 경우 변속기 오일이

워밍업되기 전에는 기어 변속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이것은 정상적 현상이며

기계적 이상이 아닙니다

.

5

5-9

시동 및 주행

가속페달 클러치 페달

주 의

정지 상태에서 1단 또는 후진단 변속이

어려운 경우

,

기어를 중립에 놓고 클러

치 페달을 떼었다가 다시 밝고 1단 또는

후진단을 변속하십시오

.

주행중 기어를 변속할 때 외에는 변속레

버에 손을 올려놓고 운전하지 마십시오

.

(

변속기 내부 부품 마모의 원인

)

경 고

운전석을 떠나기 전에는 평탄한 장소에서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당겨 작동

시키고

,

엔진시동을 끄십시오

.

그리고 변속 레버를

1단

또는

R

(

)

에 위치시켜 주십시오

.

그렇지 않을 경

,

예상치 못한 차량의 갑작스런 움직임으

로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급가속 및 급감속의 반복은 특히 연료를 많이 소

모시키므로 차간 거리를 충분하게 유지하면서

주행해 주십시오

.

적당한 속도가 된다면 가속 페달은 가능한 일정

하게 유지 하십시오

.

출발시는 차량의 앞뒤

/

좌우 안전을 확인하고 서

서히 출발합니다

.

급출발은 차량 각부에 무리가 생기므로 삼가해

주십시오

.

평지 또는 언덕길 출발시 항상

1단

기어를

사용하십시오

.(

필요시 내리막길을 출발 할때

2단

기어를 사용하십시오

.)

변속시에는 클러치 페달을 끝까지 밟고 기어

를 넣으십시오

.

5-10

주 의

운전자의 운전 습관은 클러치 수명에 영향

을 줍니다

.

클러치 페달에 발을 올려 놓은 채로 운

전하지 마십시오

.

반 클러치가 되어 클

러치의 수명을 단축 시킵니다

.

경사길에서 반클러치로 차량의 속도를

유지하지 마십시오

.

코너나 커브길에서 반클러치로 속도를

조절하지 마십시오

.(

적절한 기어단과 브

레이크 페달을 밟아 속도를 조절하십시

.)

브레이크 페달

브레이크는 신속하게 2

~

3회에 걸쳐 서서히 밟으

면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주행중의 브레이크 사용법

중립상태로 주행 하지 마십시오

.

엔진 브레이크

,

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브레이크의 부

담이 크게 되어 위험합니다

.

주 의

차량의 속도를 줄이고자 할 때 보조 브레이

크를 병용해 주십시오

.

급 핸들

,

급 브레이

크를 피하고 여유를 가진 안전운전을 하십

시오

.

경 고

눈이나 비가 오는 미끄러운 길에서는 절대

보조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

5

5-11

시동 및 주행

급경사 또는 긴 내리막길 주행시는 미리 브레이

크 테스트를 하여 정상적으로 작동되는가를 확

인해 주십시오

.

긴 내리막길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해서

밟지 말고 보조브레이크

(

배기브레이크

)

와 엔진

브레이크를 병용하여 주십시오

.

알아두기

엔진 브레이크

(Engine Brake)

주행중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때에 엔

진의 감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속력을 말

하며, 저속 단수일수록 엔진 브레이크는 효

과가 좋습니다.

경 고

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자주 사용하면 브레

이크 드럼이나 라이닝이 과열되어 브레이

크의 기능이 약화되는

페이드 현상

이 일

어나 위험 합니다

.

주차 브레이크

알아두기

페이드

(Fade)

현상

브레이크의 마찰면이 과열되면 마찰력이

저하되어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쁘게 되는

현상입니다.

경 고

물이 고인 곳을 주행하면 브레이크 드

럼 안에 물이 들어가 브레이크의 제동력

이 나쁘게 될 수 있습니다

.

페달을 살짝

밟아 제동력을 확인해 주십시오

.

제동력

이 나쁜 경우는 전후의 안전을 확인한

후 페달을 살짝 밟은 상태로 완전하게

제동력이 회복될 때 까지 저속으로 주행

하여 주십시오

.

비나 눈으로 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경

우 급 브레이크를 걸면 쉽게 미끄러지므

로 주의해 주십시오

.

커브를 돌면서 브

레이크를 걸면 미끄러져 방향성을 잃게

됩니다

.

커브를 돌 때는 미리 감속해 주

십시오

.

표준형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주차시에는 차를 완전히 정지시키고 레버 끝

단의 버튼

(

1

)

을 누르지 않고 그대로 주차 브

레이크 레버를 위로 잡아 당깁니다

.

출발시에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약간 들어

올리면서

,

버튼

(

1

)

을 누르고 레버

(

2

)

를 아래

로 내립니다

.

5-12

접이식 주차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더블 캡 차량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손가락으로 접이레버를 올린상태에서 손을 떼지

말고 그대로 주차레버 몸체를 아래 방향으로 내

립니다

.

복원방법

주차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올립니다

.

(

접이레버의 적색표시가 보이지 않는것을 꼭 확

인하십시오

.)

주차시에는 차를 완전히 정지시키고 레버 끝

단의 버튼

(

1

)

을 누르지 않고 그대로 주차 브

레이크 레버를 위로 잡아 당깁니다

.

출발시에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약간 들어

올리면서

,

버튼

(

1

)

을 누르고 레버

(

2

)

를 아래

로 내립니다

.

주차브레이크의 유격

레버를 힘껏 당긴 경우 주차 브레이크 레버

유격이 지나치게 많거나 적지 않은가를 점검

합니다

.

약 20 kg

의 힘으로 당긴 경우 이 때 나는 소리

(

딱딱

)

를 세어 8

~

9 노치이면 양호합니다

.

차 브레이크 레버 유격이 규정된 범위이내가

아닌 경우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

핸즈에서 정비를 받아 주십시오

.

경 고

차량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 또는 어린이

가 주차 브레이크를 손대지 못하도록 하십

시오

.

해제시킬 경우에는 주

·

정차 상태에

따라 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며

,

주행 중에

작동시킬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 과열 또

는 사고가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

5

5-13

시동 및 주행

주 의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위급상황에서

는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제동거리는 정상적인 제동거리

보다 더욱 길어집니다

.

접이레버의 적색표시가 보이고

,

주차브레

이크 표시등이 점등시는 주차브레이크가

작동상태입니다

.

해제하지 않고 주행시

주차브레이크 라이닝 및 드럼이 손상되므

로 반드시 해제 후 주행하여 주십시오

.

출발하기 전에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고 계기판 내에 브레이크 경고등

이 소등되었는지 확인 하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였는데

도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져 있으면

브레이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것이므

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운

행하면 주차 브레이크 과열

,

주차 브레이

크 패드의 과도한 마모의 원인이 될 수 있

습니다

.

ABS(Anti-Lock Brake System)

급제동시나 미끄러운 도로에서 브레이크를 밟은

경우에 차륜은 회전하지 못하고 잠기게 됩니다

.

이 경우 조향이 불가능하거나 차량이 회전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ABS

는 이와 같은

경우 차륜이 회전하지 못하고 잠기는 것을 적절

히 제어하여 조향능력을 유지시켜 차체의 안정

성을 향상시켜 줍니다

.

보통의 브레이크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만 하는 것으로 특별한 조작은 필요하지 않지

만 다음 사항에 주의해 주십시오

.

(

1

) ABS

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보조하는

장치입니다

. ABS

가 작동된 상태에서도 차량

자세의 안정이나 조향 핸들 조정성에는 한계

가 있으므로 과신하지 말고 안전 운전에 유의

해 주십시오

.

(

2

)

모래길이나 눈길등의 도로에서는

ABS

비장

착차에 비해 제동거리가 길게 되는 수가 있으

므로 차간거리를 충분히 유지해 주십시오

.

주 의

ABS

가 작동되면 브레이크 페달에 미약한

떨림 및 진동을 느끼거나 작동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

이것은

ABS

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은 아닙니다

.

5-14

ABS

경고등

정상인 경우는 엔진 시동 스위치를

ON

으로

하면 점등되고 약 3초후에 소등됩니다

.

점등된

상태가 지속되거나 브레이크액 부족 경고등

( )/ABS

경고등

( )

이 지속적으로 작동

될 경우에는 유압계통의 심각한 고장일 수 있

으므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에 연락한 후 안내를 받으십시오

.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

1

)

안전한 장소에 차를 정지시키고 나서 엔진

시동을 끕니다

.

다시 엔진 시동을 걸어 점

등 되었다가 약 3초후 경고등이 소등되면

이상이 아닙니다

.

엔진 시동을 건 후에도 점등되지 않는 경

우나 3초후 소등되지 않는 경우 또는주행

후 다시 점등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

2

)

부스터 케이블

(

점프 케이블

)

에 의해 엔진

시동을 건 후 충전이 불충분한 상태로 차

를 출발시키면 엔진이 불규칙하게 회전이

발생하면서

ABS

경고등이 점등되어 주행

할 수 없는 수가 있습니다

.

이것은 배터리 전압 부족에 의한 것으로

ABS

의 고장은 아닙니다

.

이와 같은 경우

는 공회전으로 배터리를 충분히 충전한 후

주행하십시오

.

경 고

안전한 운행을 위해서

ABS

장치에 너

무 의존하지 마십시오

.

그리고 다음과

같은 주행에 대해서

ABS

장치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

-

운전미숙

,

잘못된 판단 또는 과속이

나 안전거리 미확보 등과 같은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는 무모한 주행

-

빗길과 같은 수막으로 인한 타이어

와 노면사이의 마찰력이 현저히 감

소되는 상황에서의 고속주행

5

5-15

시동 및 주행

브레이크 패드 마모

드럼 브레이크 경우에는 수시 점검을 통하

여 패드의 마모 상태를 점검합니다

.

디스크 브레이크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

가 마모되어 새로운 패드로 교환할 시기가

되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브레이크에

하는 소리가 나거나 계기판에 브레

이크 패드 마모 경고등이 있는 경우에는 브

레이크 패드 경고등

( )

이 점등됩니다

.

이 때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브레이크 점검 및 패드 교환을

의뢰하십시오

.

배기 브레이크

주 의

어느 특정한 조건의 주행이나 날씨에 따

라 브레이크를 처음 밟을 때나 또는 살

짝 밟을 때 끽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

는 정상적인 것으로 브레이크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

브레이크 장치의 수리비용 절감을 위하

여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된 상태로 계속

주행하지 마십시오

.

브레이크 패드를 교환할 때는 앞

(

왼쪽

,

오른쪽

)

또는 뒤

(

왼쪽

,

오른쪽

)

세트로

교환하십시오

.

경 고

브레이크에서 고주파 경고음

(

하는 소

)

이 나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에 점검을 의뢰하십시오

.

그렇지 않

을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아 심각한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

레버를

ON

으로 하고 가속 및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면 배기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 )

지시

등이 점등됩니다

.

이 때 가속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을 작동시키면

배기 브레이크는 순간적으로 자동 해제됩니다

.

또한

, ABS

가 작동할 경우나 기어 중립 상태에서

도 배기 브레이크는 작동되지 않습니다

.

배기 브레이크를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

과가 있습니다

.

드럼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페이드 현상을 방

지합니다

.

브레이크 사용 감소로 인한 라이닝 수명 증대

효과가 있습니다

.

5-16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VDC

Vehicle Dynamic Control

의 약자로 조

향각 센서

,

요레이트 센서 그리고 횡가속도센서

로 부터 측정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

차량의 미끄

러짐 또는 전복 경향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별도

의 제동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엔진 출력

및 바퀴에 제동력을 제어함으로써 주행 중 차량

자세를 안정화시켜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운

전자 지원 시스템입니다

.

VDC

작동

작동 가능 상태

-

엔진 시동 후

「 」

버튼을 0

.

5초

이상 눌러

VDC

작동을 정지 시

킨 상태

(

표시등 점등

)

에서는

한번 더

「 」

버튼을 누르면 계

기판에

VDC

작동 정지 표시등

( )

이 소등되면서 차체 자세 제

어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됩

니다

.

주 의

공차 출발시

VDC

의 민감한 제어는 정상입

니다

.

이는 차량이 적재하중을 인식하기 전

에 안전을 위해 적차 기준을 제어하기 위함

입니다

.

작동될 때

주행중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작동

되는 구간에서는

VDC

작동 표시등

( )

이 점멸됩니다

.

VDC

가 작동될 때는 구동력

과 제동력의 영향으로 약간의 진

동이 느껴질 수 있으나 이는 정

상입니다

.

진흙 길 또는 미끄러운 눈길을

빠져나오고자 가속 페달을 밟을

,

엔진 회전수

(rpm)

가 상승하

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주 의

차량 안정성 확보를 위해 VDC 제어 중 제

동시 브레이크 페달 답력이 무거울 수 있으

나 , 충분한 답력으로 필요한 만큼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십시오 .

5

5-17

시동 및 주행

운전자

VDC

작동 정지

차량이 시동되면 자동으로

VDC

동 가능상태가 됩니다

.

엔진 시동 후

VDC

작동 정지 버

「 」

을 누르면

VDC

작동이

정지되며 계기판에

( )

등이 점

등됩니다

.

VDC

작동 정지 상태에서 시동을

껐다가 재시동 하거나

, VDC

작동

정지 버튼을 다시 누르면

, VDC

작동 가능상태로 복귀됩니다

.

VDC

작동

/

고장 표시등

(

점멸

/

점등

)

운전자

VDC

작동 정지 표시등

(

점등

)

표시등

작동

/

경고 표시등은

VDC

가 작동될 때 점멸하고

,

VDC

작동 가능상태에서

VDC

장치에 이상이 있

거나 장치 보호를 위한 기능 일시 정지 시 점등됩

니다

.

작동 정지 표시등은

「 」

버튼을 눌러

VDC

치를 해제 시켰을 때 점등됩니다

.

VDC

중지

VDC

가 고장나거나 외부요인으로 인해 기능이

중단될 경우

「 」

등이 점등됩니다

.

또한

, ESC

ECU

를 교체한 후 시스템 초기화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 」

등이 점등됩니다

.

경 고

커브길

,

눈이 쌓인 도로

,

동결로에서는

VDC

기능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말고

안전운행에 유의 하십시오

.

특히

VDC

작동 표시등이 점멸하는 경우나

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 또는 커브길

에서는 가속하지 말고 서행하십시오

.

내리막에서 보조 브레이크 작동 중에 차

체 자세 제어 장치

(VDC)

가 작동하면 안

정성 향상을 위해 자동으로 보조 브레이

크가 해제됩니다

.

5-18

VDC OFF(

작동 정지

)

사용 방법

차량 검사 시

차량 검사 시에는 시동

ON

상태에서

VDC

작동 정지 버튼

「 」

을 눌러

VDC

기능을

완전히 정지시킨 후 차량검사를 실시해 주십

시오

.

계기판에

VDC

작동 정지 표시등

( )

이 점등됩니다

.

검사 완료 후에는

VDC

작동

정지 버튼

「 」

을 다시한번 눌러

VDC

작동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십시오

.

차량 운행 시

일상적인 차량 운행 시에는 가능한

VDC

동 가능 상태로 운행하십시오

.

주행 중

VDC

작동 가능 상태에서 작동 정지

( )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선 평

탄로에서 정속 주행을 하며

「 」

버튼을 누

르십시오

.

특히

, VDC

작동 상태

(

표시등 점멸

)

에서

는 절대로

「 」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

VDC

작동 상태에서

VDC

기능을 정지시키면

갑작스런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위험

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

경사로 등판 및 선

회주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차량검사시 속도계 시험기로 속도를 측정할

VDC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VDC

능이 작동하여 속도의 상승억제가 작용됨

에 따라 속도계가 불량으로 나와 불합격 판

정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 」

버튼을

눌러

VDC

작동을 정지하십시오

.

VDC

작동 가능인 상태에서

「 」

버튼을

눌러

VDC

기능이 정지되어도

ABS

및 제

동성능에는 전혀 이상이 없습니다

.

경 고

VDC

작동 상태에서는

「 」

버튼을 누르

지 마십시오

.

미끄러운 노면을 급가속 또는 선회가속 중

「 」

버튼을 눌러

VDC

기능을 정지시

키면 갑작스런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

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행 중

VDC

작동 가능 상태에서 작동 정

( )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선 평탄로에서 정속 주행을 하며

「 」

버튼을 누르십시오

.

5

5-19

시동 및 주행

엔진 공회전

(IDLE)

스위치

A 타입

B

타입

자동 정속 주행 장치

(

오토 크루즈

)

기어 중립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시

동을 거십시오

.

(

ON/OFF

)

스위치

(

1

)

OFF

상태인지 확인하십시오

.

ON

으로 되

어 있으면

OFF

로 하십시오

.

• 「

SET / IDLE +

스위치

(

2

)

또는

RES / IDLE

-

스위치

(

3

)

를 사용하여 엔진 공회전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

SET / IDLE +

스위치

(

2

)

누르면 25

RPM

씩 증가하고 반대로

RES /

IDLE -

스위치

(

3

)

를 누르면 25

RPM

씩 감소

합니다

.

한번 조정된 공회전수는 다음 시동

시에 새로 설정된 공회전으로 시동됩니다

.

냉방성능 향상을 위해 응축기 작동 시

IDLE

UP/DOWN

기능이 작동 되지 않습니다

.

공회전 시 엔진소음이 클 경우 임의 조절하십

시오

.

1

.

ON/OFF

2

.

SET +, IDLE +

3

.

RES -, IDLE -

40 km/h

이상 속도가 되었을때 자동 정속 주행 장

치를 작동시켜 놓으면 가속폐달을 밟고 있지 않아

도 해당 속도를 계속 유지시켜 주는 장치입니다

.

가감이 필요없이 정속으로 주행할 수 있는 직선

의 고속도로와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1

. (

ON/OFF

)

2

.

SET/IDLE +

3

.

RES/IDLE -

5-20

자동 정속 주행 장치 작동

1

.

자동 정속 주행 메인 스위치 를 눌러 작

동시켜 놓으십시오

.

2

.

40 km/h

이상 속도를 올린 후 원하는 속도

를 유지 하십시오

.

3

.

조향 핸들의

SET

/

IDLE +

스위치를 누

르십시오

.

정속 주행이 작동되면 계기판

SET

표시등이 켜집니다

.

4

.

일시적으로 속도를 더 올리고 싶으면 가속

페달을 밟아 속도를 더 올려 주십시오

.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차량 속도는 이전에 설

정한 자동 정속 속도로 되돌아 오게 됩니다

.

주 의

스위치를 작동할 때 다른 스위치보다 조금

길게 누르십시오

. (

0

.

3초 이상

)

자동 정속 주행 작동 해제

다음 중에서 한가지만 해당되어도 자동 정속

주행작동은 해제됩니다

.

-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

-

자동 정속 주행 메인 스위치

OFF

를 눌러

작동을 해제 시킬 때

-

40 km/h

이하 속도로 떨어졌을 때

-

주차 브레이크 작동중 일때

-

배기 브레이크 작동 중일 때

- VDC

작동중 일때

-

컨트롤러간 통신 메시지 오류 발생시

정속주행 속도를 올리고 싶을때

1

.

자동 정속 주행 상태에 있어야 합니다

.

2

.

조향 핸들의

SET

/

IDLE +

스위치를 원

하는 속도까지 눌러 속도를 올리십시오

.

정속주행 속도를 내리고 싶을때

1

.

자동 정속 주행 상태에 있어야 합니다

.

2

.

조향 핸들의

RES

/

IDLE -

스위치를 원

하는 속도까지 눌러 속도를 내리십시오

.

5

5-21

시동 및 주행

정속주행 속도 해제 후 재 복구 기능

1

.

자동 정속 주행 메인 스위치를 눌러 작동

시켜 놓으십시오

.

2

.

40 km/h

이상으로 속도를 유지 하십시오

.

3

.

조향 핸들의

RES

/

IDLE -

스위치를 누

르십시오

.

4

.

정속 주행 장치를 해제 시키시기 바로 전

의 정속 주행 속도로 복구되어 작동 합니

.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LDWS)

주 의

자동 정속 주행장치를 사용하지 않을때

는 자동 정속 주행장치 스위치를 반드시

OFF

로 위치시켜 주십시오

.

미끄러운 도로나 언덕길 또는 내리막길

,

교통망이 복잡한 도로와 같이 일정한 속

도로 안전하게 주행할수 없는 도로에서

는 자동정속 장치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

자동 정속 주행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클

러치 페달을 밟지않고

,

변속레버를

N

(

중립

)

으로 위치시키면 엔진에 무리가

생길수 있습니다

.

이때는 클러치 페달을 밟거나 자동 정속

주행 메인 스위치를 눌러 작동을 해제

시키십시오

.

자동 정속 주행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

되는 동안

SET

/

IDLE +

또는

RES /

IDLE -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약 3초 후에

작동됩니다

.

이는 정상적인 작동입니다

.

차선이탈 경보시스템은 앞유리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 차선을 인식하고

,

이탈

할 경우 경보하는 편의 장치입니다

.

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의 약자입니다

.

5-22

주 의

차선을 바꿀 때는 반드시 방향 지시 스위치

를 작동하고 차선을 변경하십시오

.

임의로

차선을 바꾸면 차선이탈 경고음이 작동됩

니다

.

경 고

차선이탈 경보시스템은 자동차의 방향

을 자동으로 바꾸지 않으며 제어 불능

상태를 방지하지 않습니다

.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차량 조작의 책임은 운전자

에게 있습니다

.

차선이탈 경보시스템이 경보를 할 때 조

향 핸들을 불필요할 정도로 급하게 돌리

지 마십시오

.

차속이 60

km/h

이하이거나 차선을 감

지하지 못한다면 차선이탈 경보를 하지

않습니다

.

앞 유리에 썬팅

,

스티커

,

액세서리 등을

부착하지 마십시오

.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장착부에 물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경 고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부품을 임의로 탈

거하거나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

반사되는 물질

(

흰색종이나 거울 등

)

인스트루먼트 판넬

(

대쉬보드

)

위에 놓

지 마십시오

.

햇빛반사로 오작동을 일으

킬 수 있습니다

.

과도한 음향기기 소리는 차선이탈 경보

음을 들리지 않게 할 수도 있습니다

.

5

5-23

시동 및 주행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비작동 조건

운전자가 차선 변경을 위하여 방향지시등을

작동할 경우 경보하지 않습니다

.

또한

,

비상경고등을 작동한 경우에도 차선이

탈 감지기능이 중지됩니다

.

차량이 차선 중심으로 주행할 때에는 차선라

인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차선이탈 감지를 하

지 않습니다

.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는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작동 후 차선을 변경하십시오

.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주행방향으로 작동

하지 않고 임의로 차선을 변경할 경우 경

보가 발생합니다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경보를 못하거나 오

경보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

합니다

.

-

,

,

먼지

,

물웅덩이

,

기타 이물질로 인

하여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

-

터널 진출 시와 같이 급격하게 차량 외부

밝기가 변화는 경우

-

야간 또는 터널 구간에서 차량의 전조등을

사용하지 않거나

,

불빛이 약한 경우

-

차선과 도로의 색상 구분이 충분치 못한 경우

-

버스 전용차로에서 좌측 또는 우측의 차선

이 2개 이상 있는 경우

-

급커브 구간이나 도로의 경사도가 심한 경우

-

도로면의 물기로 인해 태양광

,

가로등 또

는 마주 오는 차의 불빛이 반사될 경우

-

차량의 앞유리 및 제품의 렌즈 앞 부분이

먼지 등으로 오염된 경우

-

주위 조명의 영향에 의해 차선이탈 감지장

치가 차선 색상을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

-

안개

,

폭우

,

폭설 등의 악천후로 시계가 불

량한 경우

-

직사광선에 의해 실내미러 주위 온도가 매

우 높은 경우

-

차선이 매우 좁거나 넓은 경우

-

차선이 분명하지 않거나 훼손된 경우

-

중앙분리대 등의 그림자가 차선을 덮은 경우

-

차선에 먼지가 쌓여 차선과 도로를 구분하

기 어려운 경우

-

차선 근처에 차선 외의 흔적이 있거나 차

선과 유사한 표시가 있는 경우

-

보도블럭 등의 경계 구조물이 있을 경우

-

앞차와의 거리가 극단적으로 짧거나 앞차

가 차선을 가리고 주행하는 경우

-

차량이 심하게 흔들릴 경우

-

차선수가 증가

,

감소하는 구간 또는 차선

이 복잡하게 교차할 경우

-

대쉬보드에 물체를 올려 놓을 경우

-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역광이 강하게 비추

는 경우

-

공사구간 등 차선이 혼잡한 경우

-

기타 차선을 인식하기 어려운 정도로 시계

가 불량한 경우

-

차선이 두 줄 이상인 경우

5-24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언덕길 발진 보조기능의 작동 및 해제 순서는 다

음과 같습니다

.

1

.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

키고 약 1초 이상 브레이크 페달을 확실하게

계속 밟습니다

.

2

.

언덕길 발진 보조 스위치

( )

를 누릅니다

.

3

.

계기판에 표시등

( )

이 점등 되었는지 확인

하십시오

.

4

.

브레이크 페달을 놓고 가속페달을 밟으면 언

덕길 발진 보조기능이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차량이 출발할 수 있게 됩니다

.

5

.

계기판에 표시등

( )

이 꺼졌는지를 확인하

십시오

.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Easy Hill Start)

란 운전

자가 언덕길 같은 경사로에서 정지하였다가 다

시 출발시키려고 할 때

,

차량이 뒤로 밀리지 않도

록 제동 압력을 제어하여 일시적으로 차량의 바

퀴를 제동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

언덕길 발진 보조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먼저 확인되어야 합니다

.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

,

평편한 일반 도로를 주행할 경우와 같이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위치를 반드시

OFF

시켜 주십시오

.

VDC

적용 차량은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스

위치가 없습니다

.

스위치를 누르지 않아도 차

량의 경사도를 판단하여

,

차가 밀릴 수 있는

일정 이상의 경사 언덕길에서 자동으로 2

~

3

초간 언덕길 발진 보조 기능이 작동하고 표시

등이 점등됩니다

. VDC

시스템 고장시 언덕

길 발진 보조 장치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

주 의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스위치

( )

상시

ON

상태로 주행시 평지나 내리

막길에서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작

동이 되어 출발지연 및 언덕길 발진 보

조장치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므로 사용

하지 않을 때는 스위치

( )

를 반드시

OFF

시켜 주십시오

.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는 언덕길에서 정차

후 재 출발시 차량 밀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

급한 경사로에서는 차량이 밀

릴 수 있으니 그럴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

을 밟아주십시오

.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 작동중에 언덕길

발진보조장치 스위치를

OFF

했을 때

,

시동을 끈 상태인 경우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가 해제됩니다

.

언덕길에서는

차량이 밀리므로 주의하여 주십시오

.

5-25

5

시동 및 주행

P.T.O

스위치

주 의

엔진정지중 또는 배터리 전압이 낮을 때

는 제동 유지력이 저하되어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하

지 마십시오

.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 작동중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뗄 경우에는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가 해제 될때까지 정지등이 점등

됩니다

.

언덕길 발진 보조 기능 작동여부는 정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스위치

ON

시켜 표시등이 점등되는지 여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차량에 문

제가 없고 시스템이 정상적인 상황에서

만 언덕길 발진보조기능을 제대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절대로 언덕길 발진 보조기능을 주차 브레

이크 대용으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

만일 주차 브레이크 대용으로 사용시 차량

이 움직여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

특장차종 동력 인출시 사용되는 스위치로

P.T.O

(Power Take off)

작동시는 스위치를 눌러 주십

시오

.

5-26

듀얼 파워 스위치

P.T.O

작동시

1

.

차량을 정지시키고 주차브레이크를 완전

히 체결합니다

.

2

.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아 동력을 확실히

차단시킨 다음 2

~

3초 후에

P.T.O

스위치

를 누른 후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서서히

떼십시오

.

3

.

계기판에

PTO

표시등이 점등 되었는지 확

인하십시오

.

P.T.O

해제시

1

.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고

P.T.O

스위치

를 누른 후 클러치 페달을 서서히 떼십시

.

2

.

계기판의

PTO

표시등이 소등되었는지 확

인한 후 운행하십시오

.

주 의

동력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P.T.O

연결시 기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

힐 수 있습니다

.

P.T.O

최대 허용 토크 이하로 사용하십

시오

.

최대 허용토크 이상 사용시

P.T.O

기어

및 변속기까지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

P.T.O

스위치

OFF

시 반드시 클러치 페달

을 완전히 밟고 작동 하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 P.T.O

기어부가 손상 될

수 있으며 단속이 원활치 않을 수 있습

니다

.

언덕길 및 평지에서 엔진 힘이 추가로 필요한 경

우에 듀얼 파워 스위치를 누르고 가속 페달을 밟

으면 엔진 힘이 증대됩니다

.

듀얼 파워 스위치를

누르면 계기판에 표시등

( )

이 점등 합니다

.

상시에 스위치를 끄고 주행하시면 연료 소비량

을 절감 할 수 있습니다

.

5

5-27

시동 및 주행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스위치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표시등

(

호박색

)

점등되면 표시등이 점멸로 바뀔때까지 스위치를

3초 이상 눌러 배기파이프의 매연 필터 장치

(DPF)

에 포집된 수트

(SOOT)

를 재생 시키십시오

.

수동 재생 진행 중 임의로 재생을 중단하고자 할

때 재생 스위치를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으면

수동 재생 모드가 해제됩니다

.

수동재생 방법

1

.

안전한 장소에 차량을 정차 하십시오

.

(

머플러

,

배기가스 배출구 주변에 낙엽

,

종이

,

유류등 인화성 물질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2

.

변속기 기어를 중립으로 하고 주차브레이

크를 확실히 거십시오

.

3

.

엔진이 충분히 워밍업

(

수온 65도 이상

)

된 상태에서 수동재생을 시작해 주십시오

.

수온이 낮을 경우 수동재생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4

.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스위치를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표시등이

점등에서 점멸로 바뀔 때까지 누르면 재

생이 시작됩니다

.

통상 30

~

40분이면 재생

이 완료되고 표시등이 꺼집니다

.

주 의

다음과 같은 장소에서는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을 실시하지 마십시오

.

-

도장되어 있는 노면에서 실시하면 배기가

스에 의해 노면이 변색될 우려가 있습니

.

-

울타리 등에서 실시할 경우 고온의 배

기가스에 의해 식물의 잎사귀가 건조

될 우려가 있습니다

.

-

기름

,

건초

,

낙엽

,

종이 등 가연성 물질

을 제거하고 실시하십시오

.

특정 조건

하에서 뜨거운 배기가스나 배기관에

의해 발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화재

의 위험이 있습니다 .

수동 재생 중 정상 재생 종료가 아닌 강

제 재생 종료 ( 수동재생 스위치를 다시

누르거나 가속 페달 / 브레이크 페달을 밟

는 등으로 ) 되었을 때 , 엔진 및 매연 필터

장치 (DPF) 보호를 위해 1분 정도 높은

엔진 rpm 이 유지 되다가 정상 아이들 rpm 으로 됩니다 . 엔진 rpm 이 정상 아

이들

rpm

상태가 되면 차량을 운행하십

시오

.

5-28

주 의

엔진 워밍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동 재생시

,

백연이 잠시 발

생할 수 있으나 재생 과정 중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므로 차량에 이상이 있는 것

은 아닙니다

.

안전운전요령

운행 중에는 차량상태에 항상 주의하여 이상이

있다고 생각되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점검

·

정비를 하여 주십시오

.

또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수리가 곤란할 때는 가

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

락하여 주십시오

.

차량의 주행속도는 안전속도 이내로 주위의

차량 속도에 맞추어 차량 흐름이 자연스럽게

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차선을 변경할 때는 미리 방향지시등을 켜고

그 차선을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 방해되지 않

도록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후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하십시오

.

경적음은 꼭 필요 시만 사용하십시오

.

운전할 때는 보행자를 소중히 생각하여 서로

에게 양보하는 보다 즐거운 운행이 되도록 하

십시오

.

반 클러치 사용은 클러치를 마모시키는 큰 원

인이 됩니다

.

운행중에 경고등이 점등되면 즉시 안전한 장

소에 정차하여 점검하여 주십시오

.

야간운행

야간 운행시 마주 오는 차와 교차할 때는 전

조등을 하향으로 향하게 하여 상대방의 눈부

심을 방지하도록 하십시오

.

비가 내리면 라이트의 빛이 노면에 흡수되거

나 젖은 장애물에 반사되어 더욱 보이지 않게

됩니다

.

항상 주의하십시오

.

5

5-29

시동 및 주행

여름철 운행

여름철에는 특히 엔진상태를 항상 점검하도

록 하십시오

.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라디

에이터에 흙

,

먼지

,

벌레 등 오물이 끼지 않도

록 점검하십시오

.

라디에이터가 불결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집니다

겨울철 주행

동절기 전의 준비

1

.

냉각수의 비중을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블루핸즈에서 측정하고 부동액의 농도

가 저하되어 있지 않는가를 점검

2

.

엔진오일을 4계절용이나 겨울용으로 교환

3

.

와셔 액의 농도를 겨울용으로 조정

4

.

배터리 액량과 비중의 점검

5

.

타이어 체인

6

.

스노우 타이어의 장착

:

스노우 타이어는

뒷바퀴 4개 모두 교체

7

.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

가속페달 케이블등

의 외피 또는 부트 등이 손상된 것은 교환

연료 보급시의 주의

연료는 가능한 한 연료 탱크에 가득 채워 주

십시오

.

연료가 적으면 공기중의 수분 응고

에 의한 동결로 시동 곤란을 일으킵니다

.

연료 탱크의 캡은 확실하게 잠궈 눈이나 물

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5-30

냉각수의 관리

냉각수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수

에는 부동액을 규정량으로 혼합하여 사용

하십시오

.

부동액을 사용치 않을 때는 동결에 의한 파

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 종료 후에는 모

두 배출시키십시오

.

엔진 오일

오일류는 겨울철에 점도가 올라가 유동되기

어려우므로 알맞은 오일을 사용 하십시오

.

엔진 오일은 9장

주유 일람표

를 참조하십시오

.

지정되지 않은 일반 엔진오일을 사용할 경

,

매연필터장치

(DPF)

의 잔류재 청소 주

기가 짧아 지게 되고 연비가 악화될 수 있

습니다

.

겨울철 요소수

(

우레아

)

시스템

환경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요소수 시스템

장치는 요소수

(

우레아

)

를 사용합니다

.

요소수

(

우레아

)

-

11

° C

이하의 저온에서 장

기간 방치시 빙결됩니다

.

겨울철 저온시

(-

11

° C

이하

)

차량을 장기간방

치 할 경우 요소수

(

우레아

)

가 빙결되어 요소

수 시스템 장치가 일시적으로 작동 불가하지

만 이는 고장이 아닙니다

.

폐사 차량은 요소수

(

우레아

)

빙결시 해동시키

는 장치를 구비하여

,

시동 후 자동으로 요소

(

우레아

)

를 해동시킵니다

.

요소수

(

우레아

)

해동에는 주행 후 30

~

60분정

도 소요되며 이 시간 동안 요소수 시스템 장

치의 보호를 위하여 엔진 출력이 일부분 제한

될 수있습니다

.

차량 주행 조건 및 대기온에 따라 요소수

(

레아

)

해동시간은 변동이 가능합니다

.

요소수

(

우레아

)

해동 완료 후에는 엔진 출력

이 정상적으로 발휘됩니다

.

배터리의 손질

기온이 내려 갈수록 배터리 용량도 저하 되므

로 배터리는 항상 완전 충전 상태로 유지 하

십시오

.

5

5-31

시동 및 주행

운행전의 점검

한랭시에는 다음 항목을 운행전 점검에 추가

하여 실시해 주십시오

.

1

.

차의 아래를 살펴보고 하체에 부착된 얼음

조각을 부품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주의하

여 제거해 주십시오

.

2

.

엔진 시동시 가속 페달의 작동이 원활한지

확인해 주십시오

.

3

.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에 얼어 붙어 있는

지 점검해 주십시오

.

4

.

눈길 운행시 펜더 뒷쪽에 부착된 눈

/

얼음

은 조향 핸들의 작동을 방해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자주 점검하고 제거

해 주십시오

.

5-32

도어 동결시의 처리

도어가 동결된 경우는 무리하게 열려고 하면

도어 주위의 고무가 벗겨지거나 갈라질 수가

있으므로 뜨거운 물로 얼음을 녹여 주십시오

.

녹인 뒤 수분을 완전히 닦아주십시오

.

겨울철 주차 요령

옥외에 주차시는 차의 앞방향이 해가 뜨는

방향으로 주차해 주십시오

.

와이퍼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와이

퍼암을 세워 놓으십시오

.

주차는 평지에 하시고 고임목을 설치 하십

시오

.

도로 상태에 따라 예기치 못한 상황

(

사고

및 기타

)

에 대비하여 바퀴가 구르지 않는

방향으로 조향 핸들을 돌려 주십시오

.

휠하우스 내측에 눈이 붙었을때는 야간에

빙결되어 조향 핸들이 회전되지 않을 염려

가 있으므로 제거해 놓으십시오

.

경 고

시동시에는 반드시 변속레버를 중립위치

로 하십시오

.

차가 갑자기 움직여 사고발생

할 우려가 있습니다

.

스노우 타이어

차에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할 경우

,

동일 사

이즈의 타이어인지 확인하고 차량마다 타이

어가 견딜 수 있는 중량이 다르므로 규격에

맞는 타이어인지 확인하십시오

.

모든 기상조

건에서 차량 조향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는 스노우 타이어를 네바퀴에 모두 장착하십

시오

.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고 건조한 도로

를 주행하면

,

원래 사양의 타이어보다 마찰력

이 작아 제동 거리가 길어질 수 있으니 주의

하십시오

.

,

날씨가 맑은 경우에도 항상 조심하면서

운전하십시오

.

경 고

스노우 타이어의 규격과 형태는 차량의 표

준 타이어와 동등해야 합니다

.

그렇지 않을

경우

,

차량의 안전성과 조향성능에 악영향

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

5

5-33

시동 및 주행

타이어 체인

후륜 구동 차량이므로 타이어 체인은 뒷 타

이어에 장착하십시오

.

타이어 규격에 맞는 체인을 사용하여 차체

를 보호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본 차량에 부

적합한 체인을 사용할 경우에는 차체를 손

상시키므로 반드시 적절한 체인을 사용하

시고

,

장착은 체인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설

명서를 참조하여 차체에 손상이 가지 않도

록 주의하십시오

.

눈길

,

빙판길 외에는 체인의 사용을 삼가

하시고

,

체인 장착시에는 체인 제작사에서

추천하는 규정속도 이하 또는 30 km/h

이내

로 주행 하십시오

.

급커브

,

급브레이크 등의 과격한 주행은 가

급적 피하십시오

.

래디얼 타이어는 구조상 옆면이 얇기 때문

에 체인을 사용하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

로 가능한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하십시오

.

알루미늄 휠 장착 차량은 체인을 사용하면

휠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스

노우 타이어를 사용하십시오

.

주 의

일반 체인 장착시 체인과 서스펜션 부품

과의 간섭으로 체인 연결 고리가 손상 될

수도 있으니 반드시

KS

SAE

급 규격

을 만족하는 체인을 사용하십시오

.

체인 규격이 맞지 않거나 잘못 장착한

경우는 차량의 제동 라인

,

서스펜션

,

체 및 바퀴 등을 훼손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체인이 차량을 때리는 소

리가 들리면 즉시 차를 멈추고 다시 조

여 주십시오

.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고 0

.

5

~

1

km

정도

주행한 후에는 차체손상 여부 및 안전을

확인해야 하며 느슨할 경우에는 다시 조

여 주십시오

.

경 고

전륜 타이어에는 체인을 사용하지 마십

시오

.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십시오

.

노상에서 타이어 체인 장착은 교통이 복잡

하지 않고 평탄한 곳에서 실시하십시오

.

비상경고등 및 비상삼각대 등을 이용하

여 후방차량에 충분한 주의를 주고

,

전한 상태에서 실시해 주십시오

.

튀어나온 곳 또는 움푹패인 곳을 주행하

거나 급격한 조향 핸들의 조작은 타이

어 체인의 손상과 차체에 심한 흔들림

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운전하

십시오

.

5-34

안전 운행

운행 중 시동 스위치를

ON

이외에는 절대

로 돌리지 마십시오

.

출발전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주십시오

.

운행 중에 조향 핸들을 최대한 돌린 채로 10

초 이상 있지 마십시오

.

파워 스티어링 펌프

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

또한 가속 페달을 과

도하게 밟지 마십시오

.

급하게 조향 핸들을 조작하거나

,

급브레이크

를 사용하지 마시고 여유를 가진 안전운행을

하십시오

.

급선회나 지그재그 운전은 차량이 전복될수

가 있어 대단히 위험합니다

.

주행 중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즉시 안전

한 장소에 정차하고 조치를 취하여 주십시오

.

각부의 잡소리

,

진동

,

가속상태

,

냄새

,

조향 핸

들 조작 및 브레이크 작동상태등 이상을 느끼

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고 이상유무를

점검하여 주십시오

.

만일 운전 중에 연료가 떨어져 엔진의 시동이 정

지되었을 때는 연료 계통에 에어가 들어 있어 연

료 보충만으로는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

.

연료 계통의 에어빼기를 실시해 주십시오

.

주행 중 만일 엔진의 시동이 정지된 경우는 당

황하지 말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서 감속하

여 안전한 장소로 정차한 후 점검해 주십시오

.

또한 조향 핸들이 상당히 무겁게 되므로 강한

힘으로 조작하여 주십시오

.

주행 중에 타이어가 펑크나 파열 되었을 때는

조향 핸들을 단단히 잡고 서서히 브레이크 페

달을 밟아 속도를 줄여 주십시오

.

급 브레이크를 걸면 조향 핸들이 고정되어 위

험합니다

.

좌 또는 우회전 시는 후륜이 전륜 보다는 회

전 반경의 내측으로 들어갑니다

.

사이드 미러

등으로 안전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

도로의 가장자리 끝단은 지반이 약하여 무너

지기 쉬우므로 도로의 가장자리로 주행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십시오

.

차량을 후진시킬 때는 차량의 뒷쪽 및 좌우의

안전을 충분히 주의하여 주십시오

.

높이 제한이 있는 도로의 주행에 주의하여 주

십시오

.

5

5-35

시동 및 주행

비의 경우는

비로 도로면이 미끄러울때에 급브레이크를

걸면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주의 해주십시오

.

비가 오기 시작할 무렵에는 가장 미끄러지기

쉬워 위험합니다

.

커브를 돌면서 브레이크를

걸면 미끄러져 방향을 잃게 되며 타이어 마

모 정도에 따라 커브와 제동시 미끄러지는

차이가 있습니다

.

(

빙결로

)

의 경우는

타이어 체인이나 스노우 타이어 등을 사용하

십시오

.

산악지역을 주행할 때는 도로정보에 주의하

여 체인이나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십시오

.

속도를 낮춰 급브레이크를 밟지 않는 것도 좋

은 운전임을 명심하십시오

.

악천후시

,

험로에서의 주행

자갈길이나 진창길등은 저단 기어로 가속 페달

을 일정하게 밟고 도중에 기어 변속이나 가속은

피해 주십시오

.

요철도로에서는 속도를 낮추고 차체 아래에 충

격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안개의 경우는

미등 및 안개등을 점등시키고 중앙선 혹은

앞차의 미등을 표시로 하여 저속으로 주행하

여 주십시오

.

안개지역을 벗어날 경우는 안개등을 꼭 꺼

주십시오

.

반대편 차량운행에 방해가 됩니다

.

5-36

고속도로의 주행

고속도로에서는 평범한 운전 실수도 대형사고로

연결됩니다

.

운행전 유의하여 점검을 실시해 주십시오

.

특히 타이어 제동 장치

,

공기 압력

,

냉각수

,

,

엔진 오일

,

팬 벨트에 대해서 충분히 점검

을 실시해 주십시오

.

계속적인 고속 주행은 엔진 이외에도 무리가

생깁니다

.

여유를 갖고 주행 하십시오

.

또 속도감이 없게 되므로 항상 속도를 확인하

십시오

.

급하게 조향 핸들을 조작하거나

,

급브레이크는

대단히 위험하므로 절대로 피해 주십시오

.

차간 거리는 충분히 유지하십시오

.

차간 거리

는 적어도 주행하고 있는 속도와 동일한 만큼

거리를 유지하십시오

.

80 km/h

에서는 80 m

상입니다

.

고속일수록 연료가 많이 소모됩니다

.

속도를

줄이고 연료는 여유를 두고서 주행하십시오

.

100 km/h

주행시의 연비는 40 km/h

주행시의

약 1

.

5

~

1

.

7배 정도가 더 소비됩니다

.

고속도로는 80 km/h

정도로 주행하는 것이 경

제적인 주행입니다

.

고속 주행시 커브길은 충분히 속도를 낮춰 주

십시오

.

고속 급선회하는 일은 대단히 위험합

니다

.

비가 올 때 고속주행하면 타이어가 노면으로

부터 뜨게되어

(

하이드로 플래이닝 현상

)

향 핸들이나 브레이크가 전혀 효과가 없게 되

는 수가 있습니다

.

꼭 속도를 낮추어 운전하

여 주십시오

.

알아두기

하이드로 플래이닝 현상 (Hydro planing)

자동차가 물이 고인 노면을 고속으로 주행

할 경우 물의 저항으로 타이어가 부상하여

엷은 수막 위를 활주하는 현상입니다.

5

5-37

시동 및 주행

화물적재 방법

화물을 균등하게 쌓도록 해 주십시오

.

전후 또는 한쪽으로만 치우치게 쌓는 것은 축

중의 불균형에 따라 제동시에 차륜고장을 일

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

운행시 안정을 위해 화물의 중심이 낮게 되도

록 적재함과 함께 확실하게 고정하여 주십시오

.

화물을 덮어 씌울때 루프 윗면에 올라 타지

않도록 하여 주시고 에어클리너 공기 흡입구

로 덮개가 흡입되어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시

켜 주십시오

.

경 고

적재함 밧줄 고정 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단단히 고정하십시오

.

특수공구를 이용하여 무리한 힘을 가할

시 훅크의 변형 및 절손으로 신체에 상

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운전석에서 적재함으로 이동시 손잡이

를 단단히 잡고 스텝

(step)

을 밟을 때는

미끄러지지 않게 주의하십시오

.

미끄러져 신체에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과적 주행시

적재 중량을 준수하고

,

적재물을 고정하여 주행

중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십시오

.

화물이

떨어지면 뒷 차량에게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습

니다

.

또한 과적 시에는 타이어의 편마모

,

연비저하 및

엔진

,

변속기

,

구동장치

,

현가장치

,

조향장치

,

체의 내구 수명 단축으로 인해 차량의 손상을 발

생 할 수 있으므로 적재 중량을 반드시 준수하십

시오

.

특히 과적으로 인해 발생된 문제에 대해서

는 보증기간 내의 차량이라도 무상수리가 불가

능하므로 적재 중량을 반드시 준수하십시오

.

5-38

경 고

과적 시에는 커브길 급주행 시 차량 전

복의 위험이 있으므로 적재 중량을 준수

하십시오

.

과적 상태에서 브레이크 작동 시에는 브

레이크의 밀림 및 브레이크 계통의 과열

이 발생되어 브레이크 제동력이 약해

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 의

과적을 하면 차량의 지상고가 낮아짐으로

인해 후진 시 지면 돌출물과 추돌 시에는 스

페어 타이어 파손 등의 차량 손상이나

,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적재 중량을 반드

시 준수하십시오

.

경제적인 운행

연료 소모량은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달라

집니다

.

차량 운행 시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 연료

비 및 수리비를 절감하시기 바랍니다

.

워밍업은 짧게 하십시오

.

또한 워밍업시

,

고속

공회전은 삼가 하십시오

.

그러나 추운 날씨에

는 워밍업을 위한 공회전을 좀더 길게 하십시

.

기다리는 시간에는 엔진을 정지하십시오

.

경제속도로 주행하십시오

.

출발은 천천히 하고 급출발

,

급가속

,

급브레이

크를 삼가 하십시오

.

차량은 항상 잘 정비된 상태로 유지 하십시오

.

에어컨은 필요시만 사용하십시오

.

도로조건이 나쁜길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

비포장도로 주행시 차체의 하부 부품이

을 입을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 하십시오

.

손상

불필요한 화물을 싣지 마십시오

.

정기적으로 검사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부품

의 수명이 증가하고 비용도 절감됩니다

.

항상 지정된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

급정차를 피하기 위하여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십시오

.

연료의 절감은 물론 브레이크

라이닝

,

패드의 과마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브레이크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운행하지 마

십시오

.

연료의 과소모는 물론이고 브레이크의

손상을 가져옵니다

.

적절한 휠 얼라이먼트는 연료를 절감시키고

,

타이어가 빨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5

5-39

시동 및 주행

최고속도 제한장치

최고속도 제한장치는 11인승 이상 승합차 및 차

량 총 중량이 3

.

5톤을 초과하는 화물자동차

,

수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며

,

에서 정하는 최고속도

(

승합자동차

:

110 km/h,

물자동차

,

특수자동차

:

90 km/h)

이하로 제한하는

장치입니다

.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이고

,

연비 향상 및

차량 정비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차량 속도가 제한속도에 도달하면 가속페달

을 밟아도 더 이상 속도가 올라가지 않으므로

무리하게 가속 페달을 밟지 마십시오

.

5-40

경 고

최고속도 제한장치는 법규에 따른 의무 장

착 장치로서 임의로 해제하는 경우 법의 저

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비상시 응급 조치

주행 중 경고

........................................................................

6

-

2

비상경고등

.......................................................................

6

-

2

비상시 응급조치

..................................................................

6

-

2

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

6

-

2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

(

비상 삼각대

) ...............................

6

-

3

교차로

/

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

6

-

3

주행중 시동이 꺼진 경우

...................................................

6

-

4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

6

-

4

주행중 펑크시

...................................................................

6

-

4

화재 발생 시

.....................................................................

6

-

5

견인시의 주의사항

............................................................

6

-

5

엔진시동이 안걸릴 경우

.......................................................

6

-

5

시동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때

............................................

6

-

5

시동 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

6

-

6

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

6

-

6

전기장치 고장

......................................................................

6

-

7

퓨즈박스

...........................................................................

6

-

7

퓨즈 박스 위치

..................................................................

6

-

8

퓨즈

/

릴레이 라벨

..............................................................

6

-

8

퓨즈의 교환

......................................................................

6

-

8

메인 퓨즈

..........................................................................

6

-

9

에어 히터 회로의 퓨즈

....................................................

6

-

10

엔진 오버히트

(

과열시

) .......................................................

6

-

10

타이어 펑크시의 조치

.........................................................

6

-

11

O.V.M

공구

.....................................................................

6

-

11

잭 사용 방법

...................................................................

6

-

12

타이어 교환방법

................................................................

6

-

14

타이어의 탈거

.................................................................

6

-

14

타이어의 장착

.................................................................

6

-

15

스페어 타이어

.................................................................

6

-

16

차량 견인

...........................................................................

6

-

17

견인트럭으로 견인시

......................................................

6

-

17

일반차량으로 견인시

......................................................

6

-

18

와이어 각도

....................................................................

6

-

19

사고 및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6

-

20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6

-

21

소화기 비치

.......................................................................

6

-

21

폭설시 행동요령

...............................................................

6

-

22

1

6

비상시 응급 조치

주행 중 경고 비상시 응급조치

주간 100 m

야간 200 m

비상경고등

다른 차량에 대한 경고 표시로 비상시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경고등 버튼을 눌러 사용

하십시오

.

비상경고등은 시동 상태와 상관 없이 작동하며

,

모든 방향지시등이 일제히 점멸합니다

.

다시한번 누르면 해제됩니다

.

비상경고등이 점멸하는 동안 방향지시등은 작동

하지 않습니다

.

주 의

배터리의 방전과 다른 차량 운전자의 혼돈

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 시에만 사용하십

시오

.

6-2

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주행 중 노상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도로

변에 차를 정지시키고 비상경고등을 켜서 제

2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는 차량 후

(

주간 100 m,

야간 200 m)

에 고장차량을 확

인할 수 있는 비상용 삼각판을 설치하도록 되

어 있습니다

.

주 의

터널내에서의 정차는 위험하므로 터널을

벗어나서 정차하여 주십시오

.

고장부위를 점검하여 수리 가능할 때는 타차

량 통행에 주의하여 작업하십시오

.

수리 불가능시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여 주십시오

.

고속도로에서는 비상 전화로 지정 서비스센

터에 연락하여 지시를 따라주십시오

.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

(

비상 삼각대

)

사용 방법

·

·

차량 출고시 본 취급설명서와 함께 키트

박스에 넣어져 지급된 고장 자동차 정지

표지판

(

비상 삼각대

)

를 항상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보관하십시오

.

도로 교통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장 자동

차 정지표지판

(

비상 삼각대

)

은 주행 전에

반드시 휴대 여부 및 위치를 확인하십시

.

설치 방법

케이스에서 비상 삼각대를 꺼내 좌

/

우 날개를

올려 삼각형으로 맞추어 서로 교차되게 연결

홈에 고정시키십시오

.

비상 삼각대 하단에 위치한 네개의 다리를

/

우로 펼쳐 넘어지지 않도록하여 차량 후방

(

주간 100 m,

야간 200 m)

에 고장 차량을 확인

할 수 있는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십시오

.

주 의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 ( 비상 삼각대 ) 을 설

치하고자 할 경우 통행 차량에 주의하여 안

전하게 설치하십시오 .

교차로

/

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에서 시동이 꺼졌

을 때는 변속레버를

N

(

중립

)

에 위치시킨 후 주

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차를 밀어

내거나 다른 차량으로 견인하여 안전한 장소까

지 이동시키십시오

.

경 고

긴급할 때는 열차에 알려 사고를 방지하십

시오

.

6

6-3

비상시 응급 조치

주행중 시동이 꺼진 경우

적절한 조치로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십시오

.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나빠지므로 평상시보다

브레이크 페달을 힘껏 밟으십시오

.

동력 조향 장치

(

파워 스티어링 장치

)

가 작동되지

않아 조향 핸들 조작이 매우 무거우므로 평소 보

다 조향 핸들을 강하게 조작하십시오

.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완전히 밟고

,

엔진 브레이크

(

기어 저

단 변속

)

와 주차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속도를 줄여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주십

시오

.

정차 후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여 주십시오

.

경 고

브레이크 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상태에

서는 절대로 운행하지 마십시오 .

제동거리 증가로 인한 충돌 및 추돌사고

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고속으로 주행중일 경우 주차브레이크

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

차량 뒷부분이 회전 또는 전복되어 인체

상해 또는 차량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니 ,

반드시 속도를 줄인 후 사용하십시오 .

주행중 펑크시

주행중 펑크시에는 비상경고등을 켠 후 핸들

을 꼭 잡고 차를 도로 가장자리로 안전하게

유도 하십시오

.

이때 브레이크를 밟는 것보다

엔진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속도가 떨어지면

가볍게 브레이크를 밟아 정지하는 것이 좋습

니다

.

동승자는 통행하는 차에 주의하여 내리도록

하십시오

.

되도록 경사없는 평평하고 안전한 장소에 정

차시키십시오

.

타이어 교환방법을 참조하시

어 타이어를 교환하여 주십시오

.

타이어 교환이 불가능한 경우 가까운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여 지

시에 따르십시오

.

6-4

견인시는 최고속도

30 km/h

이내 서로 신호를

!

엔진시동이 안걸릴 경우

5 m 이내

25 m 이내

화재 발생 시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엔진을 정지시

킨 후 소화기 등으로 진화시켜 주십시오

.

소화기는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에 가장 효과

적인 필수품입니다

.

소화기 사용 방법

1

.

소화기 윗쪽의 안전핀을 뽑아 냅니다

.

2

.

노즐을 화재가 난 곳으로 향하게 합니다

.

3

.

레버를 꽉 쥐고 분사구를 화재가 난쪽으로

향하여 비로 쓸듯이 불을 끕니다

.

견인시의 주의사항

고장 또는 사고로 견인할 때는 되도록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또는 견인 전문 업체

를 이용하십시오

.

타 차량에 도움을 받아 견인 시는 본 책자의 견인

내용을 참조하여 안전하게 견인 하십시오

.

,

인하는 차량보다 견인되는 차량이 더 무거운 차

량의 견인은 하지 마십시오

.

시동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때

배터리의 방전 상태

,

배터리 단자의 연결 상

태를 점검하십시오

.

이모빌라이저 정상 여부를 점검하십시오

.

6

6-5

비상시 응급 조치

시동 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

을때

연료량을 점검하십시오

.

주 의

계속해서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는 긴급 출

동 지원센터에 연락하여 응급조치를 받으

십시오 . ( 책자 뒷부분의 보증수리 안내편을

참조하십시오 .)

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타차량의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여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

점프 스타트는 잘못하면 대단히 위험하므로 되

도록 전문가에게 의뢰 하시기 바랍니다

.

1

.

보조배터리가 24

V

인지 확인하십시오

.

2

.

방전된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끄십시오

.

3

.

방전 배터리의 양극

(+)

①과 보조 배터리의 양

(+)

②을 점프 케이블로 연결 하십시오

.

4

.

보조 배터리의 음극

(-)

③과 방전된 차량의 차

체④에 점프 케이블을 연결 하십시오

.

배터리의 단자에는 절대 연결하지 마십시오

.

5

.

타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할 경우는 타 차량의

시동을 먼저 걸어 몇 분 기다리십시오

.

6

.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거십시오

.

7

.

엔진 시동이 되면 음극

(-)

에 연결된 점프 케이

블을 먼저 분리한 다음

,

양극

(+)

끼리 연결된

점프 케이블을 분리 하십시오

.

8

.

점프 케이블은 절연클립이 있는 고부하용 점

프 케이블

(

60㎟이상

)

을 사용하십시오

.

6-6

경 고

점프 스타트 중에 점프 케이블의 양극 (+)

과 음극 (-) 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서로 닿을 경우 , 불꽃이 튀어 위험합니다 .

배터리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불꽃에 의

해 폭발할 수 있는 가스가 발생되므로

배터리로부터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

방전된 배터리가 얼었거나 배터리액의

양이 적으면 점프 스타트 시 배터리의

파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

보조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점프 케

이블로 연결할 때는 방전된 배터리의 음

극 (-) 단자를 직접 연결하지 마시고 배

터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견고한 금속에

접지 시키십시오 . 직접 연결시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

전기장치 고장

경 고

배터리에는 부식력이 강한 묽은 황산액

이 있으므로 배터리액이 신체나 옷 , 차

체에 묻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

만약 배터리액이 눈이나 신체에 묻었으

면 즉시 오염된 옷을 벗고 그 부위를 깨

끗한 물로 약 15분 정도 씻어낸 후 전문

의사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 구급차에 실

려갈 경우 부드러운 천이나 스폰지에 물

을 묻혀 계속 그 부위를 닦아내십시오 .

보조 배터리는 반드시 24 V 로 하십시

오 . 전압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 배터리

파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

퓨즈박스

각종의 램프가 점등되지 않는 경우나 전기계통

의 장치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는 퓨즈가 단선된

경우가 있습니다

.

퓨즈 박스의 위치

,

퓨즈에 대한

각각의 장치를 스스로 조치할 수 있도록 알아 두

면 편리합니다

.

6

6-7

비상시 응급 조치

주 의

퓨즈

,

메인퓨즈는 꼭 순정부품을 사용하

십시오

.

퓨즈 단선의 원인을 모를 때 또는 어느

것이라도 단선된 경우는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아

주십시오

.

부착되어 있는 퓨즈와 동일 용량의 퓨즈

를 사용해 주십시오

.

( (

정상

) ( (

단선

)

퓨즈 박스 위치

퓨즈 박스는 동승석 쪽 인스트루먼트 패널 아래부

분에 있는 퓨즈박스 커버를 탈거하면 있습니다

.

퓨즈 / 릴레이 라벨

퓨즈 박스 커버를 들어 올리면 커버의 안쪽에 있

습니다

.

퓨즈의 용량 및 명칭은 차량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퓨즈 박스 커버 안쪽에 부착되어 있

는 라벨을 참조 하십시오

.

퓨즈의 교환

각 퓨즈에 대한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는 퓨

즈가 단선된 것입니다

.

그 때는 다음과 같이 처리

해 주십시오

.

1

.

시동 스위치를

LOCK

위치로 합니다

.

2

.

퓨즈를 빼냅니다

.

3

.

퓨즈 확인후 퓨즈가 단선되었다면 같은 용량

의 예비 퓨즈와 교환해 주십시오

.

6-8

메인 퓨즈

메인퓨즈는 배터리에 연결된 전기회로에 과부하

가 걸리면 녹아 끊어져 전체 와이어링 하니스 손

상을 방지합니다

.

일렉트릭 박스 커버를 탈거하면 메인 퓨즈가 있

습니다

.

각각의 퓨즈는 스프링 와셔 및 너트를 사

용하여 고정하는데 적정한 토크로 조여주는 것

이 중요합니다

.

만일 너트를 충분히 조여 주지 않으면 열이 발생

할 수도 있고

,

너무 조이면 뒤틀리거나 균열이 발

생할 수 있습니다

.

만일 퓨즈가 단락되면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전기 시스템

유무를 점검받아 주십시오

.

주 의

퓨즈를 교환하여도 곧 끊어지는 경우는

배선 계통에 결함이 있는 것이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

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라디오

,

시계와 관련된 퓨즈를 교환한

경우에는 시간 및 방송국 선택을 재조정

해야 합니다

.

퓨즈를 제거하기 위해 드라이버나 금속

물체를 이용하지 마십시오

.

합선 등으로

인해 전기 장치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

습니다

.

올바른 토크로 조이십시오

.

꼭 스프링 와셔를 함께 사용하십시오

.

퓨즈는 꼭 박스 커버에 표시된 용량의

순정부품을 사용하십시오

.

경 고

차량의 전기 배선을 추가 또는 임의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

같은 용량의 퓨즈로 교환하고 다른 용량

의 퓨즈로는 절대로 교환하지 마십시오 .

만일 , 높은 용량의 퓨즈로 교환시 전기

배선 손상의 원인 및 화재의 위험이 있

습니다 .

6

6-9

비상시 응급 조치

에어 히터 회로의 퓨즈

엔진의 예열에 사용할 때 에어 히터 회로에는 안

전을 위해 히터 릴레이 퓨즈가 설치되어 있습니

.

엔진 시동시 지시등의 호박색이 점등되었을

때는 이 퓨즈를 점검하고 단선되어 있을 때는 교

환해 주십시오

.

주 의

퓨즈를 교환할 때는 안전을 위해 배터리

(-)

단자를 빼고나서 교환해 주십시오

.

엔진 오버히트

(

과열시

)

수온계의 바늘이 적색 부분을 가리킬 때는 엔진

냉각수가 과열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

바늘이 적색 부분에 가까이 가면 즉시 다음의 조

치를 취하여 주십시오

.

1

.

가능한 빨리 도로옆 안전한 곳에 주차합니다

.

2

.

변속레버를 중립위치에 놓고 주차 브레이크

를 당깁니다

.

에어컨이 켜져 있으면

OFF

키십시오

.

3

.

냉각수나 뜨거운 증기가 냉각수 탱크에서 흘

러 나오면

,

엔진을 정지시키고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여 주십시

.

냉각수가 흘러나오지 않으면

,

엔진을 계

속 돌게 하고 엔진을 식히십시오

.

엔진이 회

전되면서 냉각수 온도게이지가 떨어지지 않

으면 엔진을 정지시키고 냉각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기다리십시오

.

4

.

엔진을 충분히 냉각시킨 다음

,

엔진 냉각수의

양을 점검하여 부족하면 라디에이터 호스와

의 연결부위

,

히터 호스와의 연결부위

,

라디

에이터 워터 펌프 등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십

시오

.

누수나 다른 문제가 없다면 냉각수를

보충하십시오

.

그러나 만일

,

누수나 엔진 오

버히트를 일으킬 만한 문제가 발견되면 운행

을 삼가하시고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의 점검을 받으십시오

.

냉각수는 부동액과 물을 적정비율로 혼합하

여 사용하십시오

.

부동액의 비율이 너무 높거

나 낮을 경우는 효과가 없습니다

.

엔진 오버히트가 자주 있으면 냉각 장치 전체

를 점검

정비하십시오

.

냉각수 부족으로 엔진이 과열되었을 때

급하게 차가운 냉각수를 넣으면 엔진에

균열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천천히 조금씩

보충하여 주십시오

.

차를 세운 뒤 엔진시동을 즉시 끄지 마

십시오

.

수온이 급상승하여 엔진이 고착

될 수 있습니다

.

주 의

엔진과 라디에이터가 뜨거울 때는 냉각수

탱크 캡을 분리하지 마십시오

.

엔진과 라디

에이터가 과열되었을 때 냉각수 탱크 캡을

열면 냉각수가 분출되어 화상을 입을 수 있

습니다

.

6-10

타이어 펑크시의 조치

O.V.M

공구

각각의 공구 위치

,

공구의 종류

,

잭 사용 방법 등

을 확실하게 숙지해 놓으십시오

.

O.V.M

공구위치

② ③ ④

O.V.M (ON VEHICLE MATERIAL) 공구

① 공구 백

② 스패너

(

10

×

12

)

③ 스패너

(

14

×

17

)

④ 스패너

(

19

×

22

)

⑤ 드라이버

(

,

)

⑥ 휠 너트 렌치

⑦ 플라이어

(

200㎜

)

⑧ 조정 렌치

(

250㎜

)

⑨ 오일 잭

&

너트 렌치 핸들

⑩ 잭

⑪ 스페어 휠 캐리어 핸들

6

6-11

비상시 응급 조치

잭 핸들

올릴 때 내릴 때

잭 사용 방법

올릴 때

밸브를 우측으로 돌려 조이고 나서 잭 핸들을

소켓에 끼워 상하로 움직입니다

.

잭을 대는 위치가 높을 때는 잭 받침부 잭머

리 를 좌측으로 돌려 빼냅니다

.

내릴 때

잭 핸들을 사용하여 밸브를 좌측으로 돌리면

내려 갑니다

.

사용후는 완전히 아래로 누른 후 밸브를 우측

으로 돌려 보관하여 주십시오

.

경 고

잭을 들어 올릴 때는 위험하기 때문에 엔진

의 시동을 걸거나 차의 아래로 들어가지 않

도록 해 주십시오 . 차량과 잭사이에 이물질

( 기름 / 먼지 ) 등이 없도록 하십시오 .

차량이 잭에서 이탈하면 심각한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지정된 위치 이외에는 잭을 사용하지 마

십시오

.

장시간 잭을 들어 올려 놓을때는 안전

을 위해 블록

,

각재등으로 차량을 지지

하여 주십시오

.

확실하게 고임목을 받쳐

주십시오

.

잭은 평탄하고 지면이 단단한 장소를 택

해 사용하고 필요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

도록 해 주십시오

.

반드시 지정된 잭 포인트에 사용하십시오

.

동일한 차종에 장착된 잭만을 사용하십

시오

.

잭은 지면 및 차량의 수직 방향으로 작

동할 수 있게 하십시오

.

사선 방향으로

작동하면 잭 이탈로 인해 심각한 상해

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6-12

잭의 설치위치

잭을 설치하는 위치는 그림과 같습니다

.

앞바퀴 - 프론트 액슬의 아래

뒤바퀴 - 리어 액슬 하우징의 아래

작동요령

잭을 받쳐야 할 차체가 높은 경우는 잭 받

침부

(

잭머리

)

를 미리 왼쪽으로 돌려 위로

적당히 뽑아 올립니다

.

휠 너트 렌치 연결대 끝부분의 홈을 잭 릴

리스 스템에 끼워 오른쪽으로 돌려 잠급

니다

.

이상의 준비작업 후 연결대를 잭 펌프에

끼워 조용히 상하로 작동시킵니다

.

노면이나 타이어가 주저앉은 상태로 인해

차체가 낮아 잭을 받칠 수 없을 경우에는 교

환해야 할 타이어를 블록등의 보조지점 위

로 운전해 올린후 작업하시면 가능합니다

.

잭 에어빼기 작업

잭을 최저상태로 누른 후 오일이 충분한지를 점

검하시고 만약 부족하면 오일주입 캡을 열어 유

압 오일을 캡 높이까지 보충하십시오

.

밸브를 열어 4회이상 펌핑한 후 밸브를 잠그시면

됩니다

.

6

6-13

비상시 응급 조치

타이어 교환방법

타이어의 탈거

(

1

)

안전을 위해 다음 준비를 실시하여 주십시

.

교환할 타이어와 대각선 상의 타이어에

고임목을 받칩니다

.

:

우측 후륜을 교환할 때는 좌측 전륜에

고임목을 받칩니다

.

잭을 확실하게 꼭 대어 주십시오

.

만일 펑크에 의해 노상에서 타이어를

교환할때는 교통의 방해가 되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평탄하고 지

면이 단단한 곳을 선택합니다

.

또한 비상 경고등이나 고장표시판으로 뒷

차에 주의를 주고 모든 사람은 차에서 내리

게 하여 주십시오

.

(

2

)

잭을 들어 올리기 전에 대각선 순서로 소켓

렌치로 외측 휠 너트를 약간 돌립니다

.

너트는 풀기만 하고 탈거해서는 안됩

니다

.

주 의

소켓 렌치는 휠 너트를 안까지 깊숙하게

걸어 주십시오

.

얇게 걸면 벗겨져 위험

합니다

.

타이어 교환 후 조기 자리잡기에 의해

조임 토크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50

~

100

km

주행 후 반드시 규정의 조임

토크로 휠 너트를 재조임해 주십시오

.

(

3

)

타이어가 지면에서 약간 뜰 때까지 서서히

잭을 들어 올립니다

.

휠 너트를 뺀뒤 타이

어를 탈거합니다

.

(

4

)

더블 타이어를 탈거할때는 너트를 풀어 외

측 타이어를 탈거하고 나서 일단 내려 놓고

내측 타이어를 탈거합니다

.

6-14

타이어의 장착

(

1

)

휠 볼트

,

너트의 나사부 및 디스크 휠의 장

착면을 청소하여 주십시오

.

오염되어 있는 너트를 풀어 냅니다

.

사부가 손상되어 있는것

,

디스크 휠에

변형이나 균열이 있는 것은 순정부품으

로 교환하여 주십시오

.

(

2

)

휠 볼트가 디스크 휠 볼트 구멍의 중앙으로

되도록 타이어에 설치하고 덜컹거림이 없는

정도로 휠 너트를 가체결 합니다

.

너트 체결

시 너트의 넓은 면이 타이어 휠측입니다

.

(

3

)

잭의 밸브를 왼쪽으로 돌려 타이어를 서서

히 내려 놓습니다

.

(

4

)

휠 너트를 그림의 순서로 2

~

3회 나누어 규

정의 조임 토크로 조입니다

.

/

후륜 조임토크

:

33

.

7

~

39

.

8 kgf.m(

330

~

390

N.m)

(

5

)

후륜

(

더블

)

타이어는 내측 타이어를 장착하

고 나서 다시 한번 잭을 들어 올려 외측 타

이어를 장착합니다

.

내측 타이어와 외측 타이어의 에어 밸브

(

공기주입구

)

위치가 어긋나게 해 주십시오

.

주 의

차량 출고 후 1

,

000

km

주행 후 반드시 재

조임을 실시하고 매 5

,

000

km

마다 점검하

십시오

.

6

6-15

비상시 응급 조치

스페어 타이어

타이어 휠 하단에 있는 고정 핸들

(

나비너트

)

을 왼쪽으로 돌려 분리합니다

.

스페어 휠 캐리어 렌치 스티어링 휠을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구멍에 끼우고 렌치 스티어링

휠을 왼쪽으로 돌리면 타이어가 내려 갑니다

.

장착할 때는 디스크 휠의 측을 위로 하여 놓

고 디스크 휠의 구멍 렌치 스티어링 휠을 오른

쪽으로 돌려 감아 올립니다

.

타이어를 감아 올린후 반드시 고정핸들

(

나비

너트

)

을 이용하여 타이어를 고정 하십시오

.

타이어가 약간 올라간 후 행거가 확실하게 디

스크 휠의 구멍에 들어가 체인이 꼬여 있는지

확인하면서 감아 올립니다

.

타이어를 감아 올린후 다시 손으로 힘껏

(

약 30㎏의 힘

)

조여 레버가 왼쪽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합니다

.

고정핸들

(

나비너트

)

을 이용하

여 타이어를 다시한번 고정하여 주십시오

.

이어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여

주십시오

.

스페어 타이어의 점검관리는 잊어버리는 수

가 많습니다

.

공기압

,

외상에 주의하여 주십

시오

.

6-16

주 의

스페어 타이어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인

체인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반드시 고정

핸들

(

나비너트

)

을 체결하십시오

.

스페어

타이어가 흔들리는 상태로 주행을 하면

스페어 타이어가 떨어져 후방의 차량과

충돌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는 경우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정

비하여 주십시오

.

차량 견인

고장차의 견인은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 또는 견인전문업체를 이용하십시오

.

어쩔 수 없이 일반차량으로 견인할 때는 일반차

량 견인 방법을 참고 하십시오

.

견인트럭으로 견인시

가장 좋은 견인방법은 차량전체를 들어올려

견인하는 것이며

,

두바퀴를 이용 견인시에는

반드시 뒷바퀴쪽을 들어올려 견인하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시동 스위치를

ACC

위치에 놓은 후 견인합니다

.

6

6-17

비상시 응급 조치

주 의

두 바퀴 견인 이용시에는 범퍼 및 하부

부품 손상에 주의하십시오

.

절대 앞바퀴

를 들어 올려서 전진 방향으로 견인하지

마십시오

.

구동되는 뒷바퀴를 땅에 대고 차량 앞부

분을 들어올려 견인하면 변속장치에 손

상을 줄 수 있습니다

.

견인 시 범퍼 및 하부부품 손상에 주의

하십시오

.

일반차량으로 견인시

로프로 견인시

(

1

)

견인후크에 로프를 단단히 고정시킵니다

.

(

2

)

변속레버를 중립 위치에 놓습니다

.

경 고

견인 후크는 일시적인 짧은 거리의 견인 및

구조시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시 견인

의 목적은 없습니다

.

용도 이외로 사용할

경우 사고의 우려가 있습니다

.

주 의

다른 부위에 연결하여 견인하는 경우 차체

손상 및 변형의 우려가 있으므로 필히 견인

후크에 연결하십시오

.

6-18

25 m 이내

5 m 이내

한변이

30 cm

이상의

(

3

)

차간거리를 그림과 같이 유지하고 중앙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흰천을 부착합니다

.

로프는 5 cm

이내로 하고 중앙에 흰천

(

30 cm

넓이

)

을 묶어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십시

.

(

4

)

운전자 상호간에 연락을 하면서 견인합니

.

견 인 하 는 차 량 보 다 견 인 되 는 차 량 이

무거운 차량의 견인은 피하십시오

.

브레이크 제동 성능이 평소보다 나빠지므로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평소보다 힘껏

밟으십시오

.

파워 스티어링 휠 장착 차량은 동력 조향 장치

(

파워 스티어링 장치

)

가 작동되지 않게 되면 조

향 핸들 조작이 매우 무거워 지므로 평소보다

조향 핸들을 강하게 조작하십시오

.

긴 경사길을 내려올 때는 브레이크가 과열되

어 제동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자주

차량을 정지시켜 브레이크를 식히십시오

.

주 의

긴급한 상황 이외에는 급가속 또는 급정차

는 절대 삼가십시오

.

와이어 각도

견인 후크의 와이어 각도는 그림 범위내로 사

용하여 주십시오

.

또 급격한 힘이 걸리는 방법

(

예를 들면 홈에

빠진 차를 견인하는 것등

)

으로 하면 후크가

파손될 수가 있습니다

.

고장차는 엔진의 시동을 걸어 놓아 주십시오

.

시동이 꺼져 있으면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

게 되고

,

또 조향 핸들은 무겁게 됩니다

.

6

6-19

비상시 응급 조치

주 의

바퀴가 도랑 등에

견인하지 마십시오

.

빠진 경우 무리하게

견인하는 차량보다 견인되는 차량이

거운 차량의 견인은 피하십시오

.

브레이크 제동 성능이 평소보다 나빠지

므로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평소

보다 힘껏 밟으십시오

.

파워 스티어링 휠 장착 차량은 동력 조

향 장치

(

파워 스티어링 장치

)

가 작동되

지 않게 되면 조향 핸들 조작이 매우 무

거워 지므로 평소보다 조향 핸들을 강하

게 조작하십시오

.

긴 경사길을 내려올 때는 브레이크가 과

열되어 제동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

므로 자주 차량을 정지시켜 브레이크를

식히십시오

.

고장차의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는

는 견인 전용차로 견인해주십시오

.

경우

주 의

기어 변속

합니다

.

레버를 중립 위치로 합니다

.

엔진 스위치를

ACC

또는

ON

으로

견인되는

엔진의

속도는

시동이

30

꺼져

km/h

이하로

있으면

합니다

.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쁘게 됩니다

.

가능한 한 엔진

의 시동을 걸어 두십시오

.

변속기나 차동기의 고장인 경우는 견인

차로 뒷 바퀴를 매달아 견인해 주십시오

.

자동차 중량보다 무거운 고장차나 도랑

에 빠진 차를 견인하거나

,

경사 견인은

로프가 끊어지거나 후크가 파손될 수 있

으므로 절대로 삼가해 주십시오

.

고속도로에서 차량 견인은 금지되어 있

으니 견인 전용차로 견인해 주십시오

.

차량 견인시 견인되는 차량은 공차상태

로만 견인하십시오

.

차량 적재된 상태로

견인시 견인장치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사고 및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사고를 일으키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에는 인명

제일을 고려해 다음 조치를 하십시오

.

1

.

후속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상경고등을 켜

고 다른 차에 방해가 되지 않는 안전한 장소

(

도로 옆

,

공터

)

에 차를 세워 주십시오

.

2

.

부상자를 구호하여 구급차를 요청합니다

.

3

.

가까운 경찰서에 연락하십시오

.

4

.

경찰관 도착 후에는 지시에 따라 주십시오

.

5

.

경미한 사고라도 꼭 의사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

경 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사고차로부터 연료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

이때는 인화

·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을 정지시키고 현장에서

는 담배불 등의 화기를 멀리하십시오

.

6-20

소화기 비치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엔진을 정지시킨

후 소화기등으로 진화 하십시오

.

진화 등의 응급

조치를 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사람들의 접근을

막고 경찰서나 소방서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

를 하십시오

.

소화기는 화재발생시 초기진화에 가장 효과가

있는 생활 필수품입니다

.

만약의 경우 화재시 운전자가 즉시 사용할 수 있

도록 운전자 가까이에 소화기를 항시 비치하셔

야 합니다

.

소화기 위치

표준 캡

,

슈퍼 캡

:

운전석 뒤편 1개

더블 캡

:

승객석 좌측 1개

6-21

6

비상시 응급 조치

폭설시 행동요령

라디오를 항상 청취하고 고속도로 안내전화 1588

-

2504를 이용합시다

.

커브길

,

고갯길

,

교량 등에는 감속운전을 하십시오

.

부득이 이석시 연락처를 반드시 남겨 두십시오

.

차량방치

차간

및 갓길

안전거리를

수시로 차량

주차는

확보하고

주변의 눈을

제설작업에

브레이크

치워 배기관

지장을

사용을

(

머플러

초래하니 삼가십시오

자제하십시오

)

이 막히지

.

않도록

.

하십시오

.

고속도로 콜센터 전화 및 권역별 라디오 주파수 안내

고속도로 안내전화

:

1588

-

2504

,

031

-

710

-

7240

~

5

,

031

-

710

-

7251

~

6

재난시 라디오 주파수

구 분

KBS 표준

MBC

F4U

표준FM

SBS (지역민방)

교통방송

서 울 대 전 대 구 부 산 광 주 군 산 원 주 강 릉

97

.

3

91

.

9

94

97

.

.

7

5

101

95

.

.

3

3 103

88

.

.

9

7 90

91

.

.

5

5

96

99

.

.

9

1

97

98

.

.

1

9

98

94

.

.

9

3

95

.

9

107

.

7

92

.

5

95

.

7

96

.

5

99

.

3

95

.

9

99

.

9

93

.

9

101

.

1

94

.

3 92

.

7 96

.

3

90

.

1 105

.

1 106

.

1

95

.

1 102

.

9 103

.

9 94

.

9 97

.

3 102

.

5 105

.

9 105

.

5

[NSC(

국가안전보장회의

)

권장 대국민 행동 요령

]

6-22

정기 점검

엔진룸

.................................................................................

7

-

3

엔진부의 명칭

...................................................................

7

-

3

일상점검 항목

......................................................................

7

-

4

정기점검

..............................................................................

7

-

5

점검 정비

..........................................................................

7

-

5

정기점검 일람표

...............................................................

7

-

7

가혹조건

.........................................................................

7

-

10

엔진 오일

...........................................................................

7

-

11

점검

................................................................................

7

-

11

보충

................................................................................

7

-

11

교환

................................................................................

7

-

13

엔진오일 필터

....................................................................

7

-

13

교환

................................................................................

7

-

13

냉각수

...............................................................................

7

-

15

점검 및 보충방법

............................................................

7

-

17

라디에이터 누수점검

......................................................

7

-

17

냉각수 교환방법

.............................................................

7

-

18

변속기 오일

.......................................................................

7

-

19

점검

................................................................................

7

-

19

리어액슬 기어오일

.............................................................

7

-

20

점검 및 보충

...................................................................

7

-

20

에어 클리너

.......................................................................

7

-

21

엘리먼트의 교환 방법

.....................................................

7

-

21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

7

-

23

필터의 점검

....................................................................

7

-

23

필터의 교환

....................................................................

7

-

23

연료필터

............................................................................

7

-

24

메인필터 교환

.................................................................

7

-

24

프리연료필터 교환

.........................................................

7

-

25

연료필터 물빼기

.............................................................

7

-

26

연료필터 공기 빼기

.........................................................

7

-

26

SQL(Small Quantity Learning,

미소분사 학습

)

기능

.........

7

-

27

SQL

기능 사용 방법

.......................................................

7

-

27

요소수

(

우레아

) ..................................................................

7

-

28

서플라이 모듈 메인 필터 교환

.........................................

7

-

28

파워 스티어링 오일량 점검

.................................................

7

-

29

오일점검 및 보충

............................................................

7

-

29

파워 스티어링 호스

.........................................................

7

-

29

윈도 와셔액

.......................................................................

7

-

29

보충

................................................................................

7

-

29

1

7

7

정기 점검

와이퍼 블레이드 및 암 점검

................................................

7

-

30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방법

...............................................

7

-

31

브레이크

...........................................................................

7

-

33

점검

................................................................................

7

-

33

클러치 페달

.......................................................................

7

-

33

점검

................................................................................

7

-

33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점검 및 보충

..................................

7

-

34

주차 브레이크

....................................................................

7

-

35

점검

................................................................................

7

-

35

조향 핸들

...........................................................................

7

-

36

점검

................................................................................

7

-

36

배터리

...............................................................................

7

-

36

타이어

...............................................................................

7

-

38

타이어의 교체시기

..........................................................

7

-

39

타이어 외관

....................................................................

7

-

40

타이어 위치교환

.............................................................

7

-

40

타이어 공기 압력

............................................................

7

-

41

각종 벨트 장력

...................................................................

7

-

41

그리스 주유부분

................................................................

7

-

42

그리스 윤활

....................................................................

7

-

42

퓨즈의 교체

.......................................................................

7

-

43

퓨즈

/

릴레이 라벨

............................................................

7

-

44

전구의 위치 및 용량

...........................................................

7

-

45

전구의 위치

....................................................................

7

-

45

전구의 용량

....................................................................

7

-

46

전구의 교환

.......................................................................

7

-

47

실내등 전구의 교체

.........................................................

7

-

47

안개등

/

주간 주행등

.........................................................

7

-

48

전조등

/

방향지시등

..........................................................

7

-

48

사이드 마커 램프 교환

....................................................

7

-

49

번호판등 램프 교환

.........................................................

7

-

49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

미등

/

정지등

,

후진등

,

방향지시등

) .

7

-

50

배출가스 규제와 차량관리

..................................................

7

-

50

매연관리

.........................................................................

7

-

50

배출가스 저감장치

..........................................................

7

-

52

에어 클리너

....................................................................

7

-

53

엔진룸

엔진부의 명칭

표준캡 , 슈퍼캡

더블캡

1. 엔진 오일 수준 게이지

2. 엔진 오일 필러 캡

3. 파워 스티어링 오일 탱크

4. 엔진 오일 필터

5. 라디에이터 캡

6. 냉각수 보조 탱크

7

7-3

정기 점검

일상점검 항목

일상 점검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 매일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행하는 점검을 말하며 이는 안전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이고 운전자의 의무이

기도 합니다

.

반드시 실시하십시오

.

캡을 상승시키고

차의 외관에서

점 검 항 목

이상 유무 확인

엔 진

변 속 기

기 타

엔 진

서 스 펜 션

바 퀴

점 검 내 용

전일 운전시 이상이 있던 부분은 정상인가

시동이 용이하고 연료

,

엔진오일

,

냉각수가 충분한가

누수

,

누유는 없는가

구동벨트의 장력은 적당하고 손상된 곳은 없는가

변속기 오일량은 적당한가

누유는 없는가

파워 스티어링액

(

엔진룸

)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가

배기가스의 색깔은 깨끗하고 유독가스 매연의 배출이 없는가

스프링의 연결부위에 손상

,

균열이 없는가

타이어의 공기압은 적당한가

타이어의 이상마모 또는 손상은 없는가

휠너트

(

또는 볼트

)

의 조임은 충분하고 손상은 없는가

램 프

점멸이 확실하고 파손되지 않았는가

운전석에 앉아서

등 록 번 호 표

기 타

엔 진

조향 핸들

브 레 이 크

변 속 기

실 내 / 외 미 러

경 음 기

와 이 퍼

각 종 계 기 및 스 위 치

번호표가 파손되지 않았는가

브레이크 및 클러치액

,

와셔액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가

연료는 충분하고 시동은

흔들림

,

유동이 없는가

용이한가

조작이 수월한가

페달의 유격이 적당한가

브레이크의 작동이 양호한가

주차 브레이크의 당김량은 적당한가

클러치의 유격은 적당한가

변속레버의 조작이 용이한가

비침 상태가 양호한가

작동이

작동이

양호한가

양호하고

작동이 양호한가

와셔액은 충분한가

7-4

정기점검

점검 정비

자동차는 시간이 경과하고 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노후됩니다

.

당사에서 추천하는 정기점검 주기표에 따라 점검

정비하여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주행중의 갑작스

런 고장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나십시오

.

점검 정비를 할 때는 반드시 현대 순정 부품을 사

용하시고 차량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장비를 갖

춘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

시하십시오

.

만일

,

순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지정된 정비

공장이 아닌 곳에서 점검 정비하여 발생하는 클

레임은 보증수리 기간이라도 보증수리를 받을

수 없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자세한 사항은 보증

서를 참고하십시오

.

또한

,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자동차 소유자는 자

동차 신규등록일로 부터 해당 기간이 경과되면

반드시 점검 및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주 의

잘못된 점검 정비는 고장의 원인이 됩

니다

.

본 취급설명서에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

은 비교적 운전자가 손쉽게 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

그러나

,

보증기간 내라도 운전자의 잘못

된 점검 정비로 인한 클레임은 보증수리

를 받을 수 없음에 유념하십시오

.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이 어렵고 이해되

지 않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엔진룸 청소시 물세척은 차량의 전기계통

에 이상을 초래하여

,

정상적인 차량운행

이 불가능할 수 있으니 이를 금하십시오

.

경 고

점검 정비를 할 때는 반드시 세심한 주

의를 기울여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

록 하십시오 .

인공 심장 등 인공 장기 사용자는 엔진

작동 중 엔진 가까이 접근하지 마십시

오 . 인젝터 등 전자제어 장치의 고전류

에 의한 이상 작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점검 정비할 때의 주의사항

경사가 없는 평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

키를

LOCK

또는

ACC

로 한 후 수동변속기

장착차량은

1단

(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이

필요할 때는 중립

)

에 위치시킨 후 주차 브레이

크 레버를 당겨 놓으십시오

.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을 해야 할 때가 아

니면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

점검 정비는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실시하

십시오

.

7

7-5

정기 점검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는 반드시 리프터를 사

용하십시오

.

리프터없이 차량 아래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

우에는 반드시 타이어에 고임목이나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확실히 타이어를 고정하고

작업하십시오

.

불안정하게 타이어를 고정할

경우 약한 충격에도 차량이 움직여 상해나 사

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고 점검 정비하십

시오

.

주 의

배터리 , 전기 배선에는 전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에 유념하여 퓨즈 , 메인퓨즈가

단선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

엔진룸 점검 , 정비시 연료 관련 부품 위

에 무거운 물건이나 무리한 힘 또는 충

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

연료 계통 ( 연료라인 및 연료 분사장치

등 ) 정비시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 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실시하십시오 .

경 고

엔진부를 점검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정

지시키고 엔진이 식은 후에 실시하십시

오 .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엔진을 시동시키고 밀폐된 장소에서 점

검 정비할 때는 배기 가스에 중독될 수

있으니 반드시 환기시키십시오 .

잭으로 차량을 받친 상태에서 차량 밑으

로 들어가지 마십시오 . 잭으로 부터 차

량이 미끄러지면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엔진 시동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에는 옷자락 , 시계 , 반지 등은 제거하여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십시오 . 구동벨트 ,

공구 등이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연료장치나 배터리 근처에서는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경 고

배터리의

-

단자를 연결할 때는 주의

하십시오 .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

하거나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하

지 마십시오 .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배터리 , 점화 케이블 , 전기 배선을 만질 때

는 미리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십시오 .

전류가 흐르고 있어 감전될 수 있습니다 .

엔진이 구동중일 때 회전하는 라디에이

터 냉각팬에 손이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냉각팬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차량은

엔진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라도 작동할

수 있습니다 .

냉각팬의 작동은 심각한 부상의 원인

이 될 수 있으므로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 정비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시동 스위치에서 키를 빼십시오 .

7-6

정기점검 일람표

(

1

)

배출가스 제어 항목

:

점검

,

조정

,

보충

,

조임

:

교환

:

청소 혹은 배출

엔진

엔진

오일

오일 필터

연료필터교환

점 검 내

메인

프리

필터

필터

점 검 주 기

최초 1 , 000㎞ 최초 5 , 000㎞ 매 10 , 000㎞ 매 20 , 000㎞ 매 40 , 000㎞ 매 60 , 000㎞ 매 100 , 000㎞

통상조건

:

매 60

,

000 km

또는 12개월 마다 교환

,

가혹조건

:

매 30

,

000 km

또는 6개월 마다 교환

최초 20

,

000 km

교환 후 매 40

,

000 km

마다 교환

(

가혹 조건은 교환 주기 단축

)

최초 20

,

000 km

교환 이후 매 40

,

000 km

또는 엔진 경고등 점등 및 주기적 점멸 교환

최초 20 , 000 km 교환 후 매 40 , 000 km 마다 교환 ( 가혹 조건은 교환 주기 단축 )

통상조건

:

매 100

,

000 km

마다 교환

,

가혹조건

:

매 5만 km

마다 교환

요소수

(

우레아

)

시스템 요소수 펌프 메인 필터

연료 탱크내 불순물 배출

연료 호스 점검

냉각수 점검 및 교환

매 20

,

000 km

마다 점검

- LLC-

10

:

매 10년 또는 200

,

000 km

마다 교환

(

공장 출고시

)

- LLC-

2

:

매 2년 또는 40

,

000 km

마다 교환

라디에이터 캠 상태 정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교환

(V-

리브드

)

벨트

공기

,

냉각수

,

연료 및 오일 누수 점검

밸브 간극 점검 및 조정

매니폴드

,

엔진 지지부 등의 볼트 재조임

엔진 작동상태

(

시동

,

공회전 상태

,

가속상태

,

최고속도

)

예열 플러그 기능 점검

인터쿨러부의 오일 빼기

배기가스 점검

매 6개월 또는 60

,

000 km

마다 교환

100

,

000 km

점검 이후

,

매 10

,

000 km

마다 점검

,

이상시 교환

운행전 점검

○ ○

50

,

000 km

마다 배출

(

동절기가 시작되기 전인 11월경에도 배출하십시오

.)

주의 1

.

연료 부족시 고압펌프에 손상을 초래하여 배출가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2

.

검증되지 않은 연료

(

첨가제 등

)

는 주유하지 마십시오

.

3

.

연료관련 점검

/

교체 주기는 국내석유사업법에 명시된 경유

/

휘발유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됩니다

.

메인 연료필터는 사양에 따라 필요 없는 차량도 있습니다

.

비 고

일일 점검

히터 내장형

히터 내장형

부동액

45

~

50

%

유지

운행전 점검

가혹시 수시점검

운행전 점검

소음 발생시 점검

일일 점검

7-7

7

정기 점검

(

2

)

일반 점검 항목

점 검 내 용

수동 변속기 오일

클러치페달 유격 및 기능점검

클러치액 교환

변속기 레버 헐거움

T

060

S

5

, T

060

S

6

리어액슬

(

디프런셜

)

오일

프로펠러 샤프트 커플링 조임상태

프론트액슬 및 리어액슬 균열 및 변형점검

프론트

,

리어 휠허브 베어링 손상 및 유격점검

휠 스터드 볼트

,

너트 조임 및 상태점검

타이어 위치 교환

전 차륜 정열상태 점검

(

사이드슬립

)

판스프링

U-

볼트

리프

(

)

스프링의 손상점검

현가장치의 손상 및 헐거움 점검

쇽업소버의 오일 누유 또는 손상점검

파워스티어링 오일 점검 및 교환

조향 핸들 유격 및 링케이지 헐거움

(

엔진 구동상태에서

)

조향각 점검 및 스톱퍼 볼트 재조임

:

점검

,

조정

,

보충 조임

:

교환

:

청소 혹은 배출

점 검 주 기

최초 1 , 000㎞ 최초 5 , 000㎞ 매 10 , 000㎞ 매 20 , 000㎞ 매 40 , 000㎞ 매 60 , 000㎞ 매 100 , 000㎞

150

,

000 km

마다 교환

,

50

,

000 km

마다 오일 레벨 점검 및 누유 확인

페달 작동 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수정

최초 10

,

000 km,

이후 매 1년 또는 40

,

000 km

마다 교환

25

,

000 km

마다 점검

매 5

,

000 km

마다 점검

(

타이어 교환 후 50

~

100 km

주행 후 재조임

)

매 15

,

000 km

위치교환

20

,

000 km

마다 재조임

(

교환 후 1

,

000 km

재조임

)

매 5

,

000 km

마다 점검

매 5

,

000 km

마다 점검

매 5

,

000 km

마다 점검

100

,

000 km

마다 교환

비 고

수시점검

7-8

점 검 내 용

브레이크 액 및 클러치 액 교환

브레이크 계통 에어 및 누유 점검

브레이크 드럼 라이닝 간극 및 마모 상태 점검

디스크 로터 표면 상태 확인

디스크 브레이크 디스크 및 패드 점검

주차 브레이크 기능

(

제동력

)

점검

주차 브레이크 드럼 및 라이닝 마모상태

각 보디 샤시 부분

(

적재함 포함

),

프레임 볼트 재조임

에어컨 점검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에어컨 냉매 수준

시동 모터 기능 점검

발전기 기능 점검

(

테스트기 사용

)

전기 배선과 접속부분

(

)

손상

,

헐거움 점검

각종 램프 점멸 상태

헤드 램프 정렬상태 점검 조정

배터리 전해액 점검

각 진공호스

배기파이프 머플러의 기능 손상

,

헐거움 점검

:

점검

,

조정

,

보충 조임

:

교환

:

청소 혹은 배출

점 검 주 기

최초 1 , 000㎞ 최초 5 , 000㎞ 매 10 , 000㎞ 매 20 , 000㎞ 매 40 , 000㎞ 매 60 , 000㎞ 매 100 , 000㎞

매 20

,

000 km

마다 교환

비 고

일상 점검

매 5

,

000 km

마다 점검

마찰재

(

디스크 패드

)

교환 시 마다 점검

5

,

000㎞ 마다 재조임

(

가혹시 수시점검

)

1

~

2개월에 한번 작동하여 냉기정도 확인

1년 또는 30

,

000 km

마다 교환

(

토출량 감소시 사전 점검

)

성능 저하시 점검 후 보충

배터리 액

LOWER

이하시 교환

매 12개월 마다 점검

매 5

,

000 km

마다 점검

매 5

,

000 km

마다 점검

▶ 시간과 주행 거리중 먼저 도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교환 또는 점검

·

정비를 하십시오

.

운행전 점검

7

7-9

정기 점검

가혹조건

:

점검

,

조정

,

보충 조임

:

교환

:

청소 혹은 배출

점 검 내 용

엔진 오일

엔진 오일 필터

V-

리브드 벨트

각 보디 샤시 부분

(

적재함 포함

),

프레임 볼트 재조임

점 검

방 법 점 검 주 기

최초 5

,

000 km

교환후

,

매 30

,

000 km

또는 6개월 마다 교환

최초 5

,

000 km

교환후

,

매 30

,

000 km

또는 6개월 마다 교환

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

이상이 있으면 교환

필요시 수시점검

가혹 시란

:

1

)

짧은 거리를 반복 운행 시 2

)

장시간 공회전 또는 장거리 저속 운행 시 3

)

잦은 정지 및 출발 등을 반복 도로 조건 운행 시

4

7

)

)

산길

먼지

,

,

오르막

진흙

,

,

내리막

비포장

,

주행

자갈

,

해변

5

)

트레일러

거친로

견인

또는

소금

6

)

섭씨

성분이

32도 이상의

뿌려진

온도에서

도로를 운행

교통

시를

체증이

말합니다

.

심한 곳 운행 시

▶ 장치별 특성으로 인해 일부 장치가 동일한 점검 기간내에 있다 하더라도 점검 또는 교환의 거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

.

▶ 시간과 주행 거리중 먼저 도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교환 또는 점검

·

정비를 하십시오

.

비 고

7-10

엔진 오일

양 호

점검

매일 운행전에 오일량이 레벨게이지에 표시된

범위안에 있는가를 점검합니다

.

점검은 평탄한

장소에서 엔진의 시동을 걸기 전에 다음 요령으

로 실시합니다

.

(

1

)

레벨 게이지를 빼내어 묻어있는 오일을 닦습

니다

.

(

2

)

다시 깊숙이 레벨 게이지를 꽂습니다

.

(

3

)

다시 한번 빼내어 오일량을 점검합니다

.

부족

한 경우는 엔진 오일을 보충시켜 주십시오

.

주 의

오일 온도가 충분히 올라가지 않은 상태에

서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켜 오일 수준을 검

사한 경우

,

엔진 내부에 부착된 오일이 오일

팬 안으로 떨어지지 않아 오일 수준이 적게

체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보충

레벨 게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오일의 위치가 규

정의 범위 이하인 경우는 오일 필러 캡을 열고 엔

진 오일을 보충합니다

.

오일 보충후 다시 한번 오일 레벨을 점검합니다

.

7

7-11

정기 점검

주 의

평탄한 장소에서 실시해 주십시오

.

오일 보충시 주입구로 먼지등이 들어가

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

.

오일의 양은 규정의 범위를 초과해 들어

가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

.

오일 보충후의 점검은 15분 이상 지나고

나서 실시합니다

.

바로 점검하면 적게

표시되어 지나치게 많이 들어 갈 수 있

습니다

.

오일을 보충할 때는 주입구로 이물질 등

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오일

F

선 이상까지 보충하면 엔진 고장

을 일으키게 되므로

F

선 이상 보충하

지 마십시오

.

오일량의 점검중에

F

선 이상 오일을

보충했을 때나 이상을 느꼈을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을 의뢰하십시오

.

주 의

오일 레벨 게이지를 닦을 때에는 반드시

깨끗한 헝겊으로 닦으십시오

.

이물질이

혼입되면 엔진이 고장날 수 있습니다

.

엔진오일은 주행거리가 증가하면서 오

일도 소모됨에 따라 가혹운전시는 특히

수시로 오일량을 점검하여 부족하면 보

충하십시오

.

엔진오일이 부족한 상태에서 차량을 계

속 주행하면 고착되어 엔진 고장의 원인

이 됩니다

.

주 의

엔진오일은 엔진내부의 윤활 및 냉각작

용을 하여 엔진 성능 향상과 수명연장의

역활을 합니다

.

그리고 밸브의 가이드와

스템 및 피스톤과 실린더 라이너를 윤활

시킨 오일이 연소실로 빨려들어가 연소

후 증발하여 엔진오일이 소모됩니다

.

한 고속

,

고부하

,

급가감속 운전

,

장시간

공회전 및 교통체증에 따른 빈번한 정

,

출발과 같이 차량을 운행하면 주행

거리에 비해 많은 양의 엔진오일이 소모

됩니다

.

그러므로 일상 점검시 게이지의 최소선

부근에 왔을 때 보충해야합니다

.

7-12

교환

엔진 오일 교환시는 오일필터와 동시에 교환

하십시오

.

1

.

엔진 정지후 오일이 따뜻한 동안에 오일팬과

오일 필터의 드레인 플러그를 풀고 오일을 배

출 합니다

.

2

.

오일이 더 이상 흘러 나오지 않으면 드레인

플러그의 와셔를 새것으로 교환 후 시계 방향

으로 드레인 플러그를 10

~

11 kgf

·

m

로 조인

,

오일 주입구로 엔진 오일을 급유 합니다

.

3

.

엔진을 수분간 공회전 운전하여 오일이 새지

않는가를 확인합니다

.

4

.

엔진을 멈추고 15분 이상 기다렸다가 오일 레

벨 게이지로 유량을 점검합니다

.

엔진을 멈추고

즉시 점검하면 오일 레벨은 적게 나타납니다

.

주 의

교환된 폐엔진오일을 하수도나 도로에

함부로 버리면 환경법에 저촉되어 법적

제재조치를 받습니다

.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블루핸즈에 보내서 폐기

또는 재활용케 하십시오

.

점검 및 교환시 주변에 남은 오일은 잘

닦아내어 오일 누유가 없는지 꼭 점검하

여 주십시오

.

경 고

엔진오일의 계속적인 접촉은 피부암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실험용

쥐에 의한 실험을 통해 발견되었습니다 .

비누와 물로 씻어 피부를 보호하십시오 .

엔진오일이 어린이 손에 닿지 않도록 하

십시오 .

주행 직후에는 엔진오일이 고온이므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약간의 시

간이 흐른 후에 온도가 내려가면 실시하

십시오 .

엔진오일 필터

O

오일

필터

O

오일

필터 캡

오일 필터

교환

오일필터 여과지 어셈블리는 세척해 재사용할

수 없습니다

.

엔진 회전이 높을 때 경고등이 점등되는 것은 필

터의 막힘입니다

.

주행거리와 관계 없이 교환하

여 주십시오

.

1

.

엔진오일 필터는 최초 5

,

000 km

에서 교환하고

,

매 60

,

000 km

또는 12개월마다 교환합니다

.

7

7-13

정기 점검

2

.

필터렌치로 오일 필터 캡을 돌려서 탈거합니

.

오일 필터 여과지와 오일 필터 여과지 하단

에 있는 작은

O

링을 신품으로 교환 합니다

.

3

.

오일필터 캡 장착부위를 깨끗이 닦아내고 캡

부의

O

링을 신품

O

링으로 교환 후 오일

을 가볍게 바른 다음 규정된 토크로 조여 장

착합니다

.

규정토크

:

2

.

3

~

2

.

8

Kg

·

m

4

.

엔진 시동을 걸고 배출 플러그나 필터 부위에

엔진오일이 새는지 점검합니다

.

5

.

시동을 끄고 엔진오일 수준을 점검한 후 부족

시 보충합니다

.

주 의

교환된 폐엔진오일을 하수도나 도로에

함부로 버리면 환경법에 저촉되어 법적

제재를 받습니다

.

반드시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나 블루핸즈에 보내서 폐기 또

는 재활용케 하십시오

.

오일필터 여과지 및

O

링은 반드시 순

정부품을 사용하십시오

.

부적절한 오일

필터 장착은 오일 누유 및 엔진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오일 보충시 주입구로 먼지 등이 들어가

지 않도록 하십시오

.

이물질이 혼입되면 엔진이 고장의 원인

이 될 수 있습니다

.

오일 필터 교환시 오일이 주변부품에 떨

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주변 전장

(

시동 모터

,

발전기

,

센서류 등

)

이 오일

오염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경 고

엔진오일의 계속적인 접촉은 피부암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실험용

쥐에 의한 실험을 통해 발견되었습니다

.

비누와 물로 씻어 피부를 보호하십시오

.

엔진오일이 어린이 손에 닿지 않도록 하

십시오

.

주행 직후에는 엔진오일이 고온이므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약간의 시

간이 흐른 후에 온도가 내려가면 오일

을 교환하십시오

.

7-14

경 고

뜨거운 오일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

의 하시고

,

보호 안경 및 보호장갑은 착

용하십시오

.

엔진 각부에 엔진 오일을 흘린 채로 운

행을 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끗이 닦아 주십시오

.

주 의

오일필터는 반드시 순정부품을 사용하

십시오

.

부적절한 오일 필터 장착은 오일 누유

및 엔진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냉각수

경 고

엔진 작동중에 라디에이터 캡을

열지 마십시오 . 분출되는 뜨거운

냉각수에 의해 상해를 입을 수 있

습니다 .

엔진 시동을 끄고 엔진이 식을 때

까지 기다리십시오 . 이때에도 두

꺼운 헝겊으로 캡을 감싸 천천히

조심스럽게 여십시오 .

냉각수 혼합 비율

주위온도

(℃)

냉각수 혼합비율

부동액 물

15

-

25

-

35

-

45

35 %

40

%

50

%

60

%

65 %

60

%

50

%

40

%

차량 출고시 부동액 혼합비율은 45

%

입니다

.

7

7-15

정기 점검

주 의

냉각수 부동액 농도가 60

%

를 초과하거

나 35

%

미만일 경우

,

엔진 내부의 부식

및 오버 히트 가능성이 있습니다

.

냉각수 보충시나 후에는 부동액의 혼합

비율을 점검하십시오

.

엔진 라디에이터 캡 또는 냉각수 보조

탱크 캡을 열거나 냉각수를 주입할 때

냉각수가 흘러 내릴 경우 엔진 하부 등

다른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부

직포

,

두꺼운 헝겊 등으로 캡 주위를 감

싼 뒤 천천히 캡을 열고 냉각수를 보충

하십시오

.

보조탱크에 냉각수가 없을 때는 냉각수

보조 탱크 캡을 열고 냉각수를 보충하십

시오

.

반드시 자사 사계절 순정 부동액을 사용

하십시오

.

부적절한 부동액 사용시 엔진

냉각계 부품에 부식이나 침전을 생성 또

는 손상으로 엔진과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냉각수 주입 후에는 냉각수 주입구를 닫고 냉

각수의 누수가 없는지 확인 하십시오

.

냉각수 보충시에는 반드시 혼합비율로 혼합

된 지정된 사양의 냉각수를 보충하시고

,

냉각

수의 누수가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십시오

.

또한 며칠 후에 냉각수 보조 탱크의 냉각수

양을 다시 한번 점검 하시고 필요하면 보충하

십시오

.

주 의

냉각수가 없는 상태로 운전하면 워터펌프

의 고장 및 엔진 소착 등의 원인이 되므로

절대로 주행하지 마십시오

.

부동액 혼합비율이 너무 높거나 낮아도 냉각

성능이 저하됩니다

.

냉각수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 부동

액이 60

%

이상 또는 35

%

이하로 포함된 용

액은 사용하지 마십시오 .

물은 수도물 또는 증류수를 사용하십시오

.

짠물이나 지하수 등의 경수는 절대로 사용하

지 마십시오

.

부동액

,

방청제 및 시판되는

LLC

등의 혼용을

피하십시오

.

알코올계 또는 메탄올계의 냉각수를 그대로 또는

규격의 냉각수와 섞어서도 사용하지 마십시오

.

엔진 부품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어 동

결과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틸렌

-

글리콜

성분의 냉각수로 보호되어야 합니다

.

보충 후 냉각수 보조 탱크 및 라디에이터 캡

은 확실히 닫으십시오

.

보충 후에도 냉각수의 감소가 현저할 때는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을 받으십시오

.

7-16

점검 및 보충방법

잔량을 빼낸 후 또는 수량 감소에 의해 주행

중 경고등이 점등된 경우 먼저 냉각수 보조

탱크 상부의 캡을 열어

F

위치까지 보충하십

시오

.

주 의

냉각수의 점검 및 보충은

탱크를 통하여 해 주십시오

.

냉각수 보조

냉각수량의

해 주십시오

.

점검은 수온이 낮을 때 실시

주 의

수온이 낮을때 냉각수가 냉각수 보조 탱크

F

L

사이에 있어야 하며

,

수온이 높

을때 수위가

F

이상인 것은 정상입니다

.

보충할 냉각수는 혼합비율이 같은 것을

사용하여 주십시오

.

다른 종류의 부동액과 혼용하면 침전물

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절대 혼합하여

사용하지 마십시오

.

라디에이터 누수점검

라디에이터

,

라디에이터 호스등에서 누수가

있는가를 점검합니다

.

또 차를 세워 놓은 지면에 물이 누수된 흔적

이 있는가를 점검합니다

.

누수가 있을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블

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아 주십시오

.

주 의

냉각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경우에는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냉각수 보조 탱크에 냉각수가 없을 때는

캡을 열고 냉각수를 보충하십시오

.

냉각수가 없는 상태로 운전시 워터펌프

의 고장 및 엔진 고착등의 원인이 되므

로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

7

7-17

정기 점검

냉각수 교환방법

차량을 평탄한 곳에 주차하고 엔진이 냉각된 상

태에서 교환하십시오

.

교환주기는

정기점검

을 참조하십시오

.

(

1

)

히터의 온도조정 레버를 고온측으로 하십시오

.

(

2

)

라디에이터 압력 캡을 여십시오

.

경 고

수온이 높을 때 라디에이터 캡을 열지 마십

시오

.

분출 되는 뜨거운 냉각수에 의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

3

)

라디에이터 및 엔진의 각 드레인 플러

그를 풀어 냉각수를 배출 시키십시오

.

(

4

)

드레인 플러그를 조이고 나서 라디에이터 냉

각수 주입구로 수도물

(

온수가 좋음

)

을 넣어

엔진의 시동을 걸고 아이들 운전으로 수온을

90

이상으로 올린뒤 약 10분동안 운전하여

배출시킵니다

.

배출한 물이 더러울 때는 투명

하게 될 때까지 물세척을 반복하십시오

.

(

5

)

라디에이터 냉각수 주입구에 부동액을 주

입하고 주입구까지 수도물을 추가로 주입

하십시오

.

(

6

)

라디에이터 압력 캡을 연 채로 엔진의 시동

을 잠시동안 걸어 냉각계통의 에어 빼기를

충분히 실시하십시오

.

(

7

)

엔진의 시동을 끄고 냉각수의 수준을 확인

하십시오

.

(

8

)

라디에이터 압력 캡을 확실하게 잠그십시오

.

(

9

)

냉각수 보조 탱크에 표시되어 있는

F

위치

까지 부동액을 주입하고 수도물을 추가로

넣어 탭을 확실하게 닫으십시오

.

주 의

부동액 교환 및 보충시 환경을 위해 바

닥에 흘리지 않도록 주의해 주십시오

.

라디에이터의 막힘이나 냉각수의 오염

이 심한 것은 엔진의 과열을 초래하여

수명이 급격히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므

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서 점검을 받아 주십시오

.

7-18

변속기 오일

드레인 플러그

점검 플러그

점검

1

.

차량을 들어올리고 적절한 지지를 해 놓으십

시오

.

차량을 안전하게 들어 올릴 수 없으면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을 의뢰하십시오

.

주 의

변속기 오일 교환 후 운행하기 전에 위

밍 후 운행을 하십시오

.

오일 교환 후 곧

바로 출발시 변속기에 고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주 의

중립 상태에서 1

,

200 rpm

이상 엔진을

가속시킬때는 클러치 페달을 밟고 가속

하십시오

.

경 고

차량을 들어올릴 때는 , 항상 차량의 잭

사용지점이나 들어 올리는 4지점 모두

안전하게 지지되어야 합니다 .

안전하게 지지대를 대지 않은 경우에는 ,

차량의 어느 한쪽이 지지대에서 떨어져

심각한 부상 또는 사망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변속기 오일측정시 라디에이터 , 배기시

스템등이 매우 뜨거우므로 오일을 측정

하는 동안 화상을 입지 않도록 매우 조

심해야 합니다 .

2

.

시동을

OFF

시킵니다

.

3

.

적당한 렌치로 주유플러그를 시계방향으로 돌

려서 푼 다음 손가락으로 돌려서 탈거합니다

.

4

.

L

자형 게이지를 오일주입구에 넣어 바로 밑

부분까지 오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5

.

부족하면 규정오일을 천천히 그 수준까지 주

입합니다

.

5

.

손으로 주유플러그를 돌려 잠근 후 렌치를 이

용하여 꽉 조입니다

.

7

7-19

정기 점검

리어액슬 기어오일

평탄한 장소에서 시동을 끈후 약 5분이 경과한

(

오일이 충분히 냉각된 후

)

에 점검하십시오

.

점검 및 보충

1

.

점검 플러그를 풀어 리어액슬 기어오일 수

준을 점검합니다

.

2

.

리어액슬 기어오일 수준이 주입구에서 아

래로 14 mm

이내가 아니면 필히 자사 추천

품으로 보충하십시오

.

경 고

운행중에는 오일의 온도가 높게 올라가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오일이 충분

히 냉각된 후에 점검하십시오 .

리어액슬 기어오일의 교환 및 보충에는

별도의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

바랍니다 .

7-20

에어 클리너

에어 클리너 필터는 동승석쪽 앞타이어 뒤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

엘리먼트의 교환 방법

1

.

에어클리너 커버 외측의 와이어 클램프 4개를

풀어 주십시오

.

2

.

커버를 분리하고 엘리먼트의 손잡이를 잡아

당겨서 탈거하십시오

.

7

7-21

정기 점검

주 의

엘리먼트를 흔들거나 압축공기로 청소

하지 마십시오

.

엘리먼트가 변형되어 효

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

엘리먼트를 순정부품만 사용하십시오

.

시중구매 유사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엔

진 내부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엘리먼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엔진을 작

동하지 마십시오

.

이는 먼지 유입으로 과

도한 엔진 마모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짧은 교환주기

(

잦은 엘리먼트 교환

)

엘리먼트를 교환할 경우 먼지 유입으로

과도한 엔진 마모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7-22

3

.

에어클리너 바디와 커버의 내면을 헝겊으

로 깨끗이 닦아 내십시오

.

신품 엘리먼트를 조립하기 전에 청소 상태

를 확인하십시오

.

4

.

신품 엘리먼트의 가스켓의 상태를 손으로

눌러서 확인하고 접착 상태

,

파손 상태를

확인 후 조립하십시오

.

5

.

커버가 바디에 확실히 안착 되었는지 확인

하고 와이어 클램프 4개를 확실히 체결하

여 주십시오

.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필터의 점검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는 매 1년 또는 30

,

000 km

마다 정기적으로 교환하고 대기오염이 심한 도

시지역이나 먼지가 많은 비포장도로 등을 장기

간 운행하는 경우에는 수시로 점검하여 조기에

교환하십시오

.

직접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

로 교환하고 이때 다른 부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

록 주의하십시오

.

필터의 교환

1

.

조수석 쪽 클래쉬 패드 로워 판넬 고정 스크류

2개를 탈거하고 로워 판넬을 탈거하십시오

.

2

.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받침대 커버의 끝의 잠

금장치

(

1

)

를 돌린 상태에서 잡아 당겨 빼내십

시오

.

3

.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2개를 순서대로

(

2

,

3

,

4

)

빼서 방향에 주의하여 교환하십시오

.

4

.

조립은 분해의 역순입니다

.

7

7-23

정기 점검

주 의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의 화살표 표시가 ( )

아래로 향하도록 장착하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 소음이 발생하고 필터의 성

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연료필터

벤트 플러그

메인필터 교환

필터는 세척해 재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

필터 렌치를 사용해서 메인필터 어셈블리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분리 합니다

.

주 의

히터가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필터를 교

환할 때 히터장치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

의 하십시오

.

2

.

신품 필터를 교환하고 규정 토크로 체결 하

십시오

.

규정토크

:

1

.

6

~

2

.

0 kgf.m

3

.

필터 교환 후 메인필터에 있는 벤트 플러그

를 풀고 연료가 채워질 수 있도록 프리필터

에서 프라이밍 펌프를 충분히 펌핑하십시오

.

주 의

공기빼기를 할때 메인필터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연료 프리필터에서 공기빼기를

하면 됩니다

.

4

.

잠시 시동을 걸고 메인필터 주의에 연료가

새는지 확인하십시오

.

7-24

플라이밍

펌프

프리연료필터 교환

연료필터 어셈블리는 세척해 사용할 수는 없

습니다

.

물빼기 플러그

1

.

바울

(BOWL)

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려

분리합니다

.

잘 안풀릴 때는 필터 렌치를 사용하여 주십

시오

.

2

.

조립할 때는 바울

(BOWL)

에 신품 오일을

엷게 도포하고 헤드의 실면에 가스켓트가

접촉하고 나서 3

/

4

~

1회전

(

1

.

68

~

1

.

86 kgf·m)

조여 주십시오

.

3

.

에어 빼기를 실시합니다

.

4

.

필터의 에어빼기 후 플라이밍 펌프가 잘 눌

리지 않을 때까지 수차례 펌핑하여 엔진 측

의 연료 라인에서도 에어빼기를 하십시오

.

5

.

시동 후 연료 누출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

주 의

넘쳐 흐른 경우는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

.

잘 닦아 주십시오

.

연료필터 교환주기는 반드시 지켜주십

시오

.

히터가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필터를

교환할 때 히터장치에 손상이 가지 않도

록 주의 하십시오

.

7

7-25

정기 점검

연료필터 물빼기

물빼기

펌프 하단의 바울

(Bowl)

을 수시로 점검하여

야 하며

,

바울에 물이 절반 정도 고이면 다음

요령으로 물을 빼내십시오

.

1

.

물빼기용 플러그를 절반정도 돌려 수분을

빼냅니다

.

주 의

완전히 다 풀지 않아도 물이 빠져 나오

므로 플러그를 다 풀지 않도록 주의하십

시오

.

동절기에 수분이 과다 함유된 이상 연료

를 사용할 경우

,

연료필터 바울 하단에

소량의 수분

(

물방울 형태

)

이 확인 될 수

있습니다

.

이럴 경우 연료 탱크 하단의

드레인 콕을 열어 반드시 수분을 제거해

야 합니다

.

연료탱크 내 수분이 빙결되

면 연료펌프 및 엔진이 손상될 수 있습

니다

.

2

.

물이 빠져나오고 디젤유가 흘러나올때 다

시 플러그를 손으로 조입니다

.

조임토크

:

0

.

03

~

0

.

05 kgf·m

메인필터

벤트

주 의

물빼기용 플러그에서는 연료도 동시에 배

출됩니다

.

작업시 주위에 담배 등 불꽃을 접근 시키지

마십시오

.

프리필터

플라이밍

연료필터 공기 빼기

연료가 떨어져 엔진이 멈춘 경우

,

연료라인 정

비시 또는 연료 필터 교환 후에 연료를 보충해

도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수가 있습니다

.

이런 경우는 연료 계통에 공기가 유입된 것으

로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공기빼기를 반드시

하십시오

.

1

.

메인 필터의 벤트 플러그를 풉니다

.

2

.

연료 속에 기포가 나올 때까지 차량측 프

리필터의 플라이밍 펌프를 반복하여 작동

시킵니다

.

3

.

공기빼기용 플러그를 조입니다

.

연료가 떨어진 경우 이외에도 연료 필터 교환

후에는 필히 연료 필터의 공기빼기 작업을 실

시해야 합니다

.

7-26

주 의

연료필터 교환시는 필히 자사

의 연료필터를 사용하십시오

.

순정부품

공기 빼기용 플러그나 연료 필터 등에서

연료 누설이 없는가를 확인합니다

.

주위에 흘린

지 마십시오

.

연료를 잘 닦아 주십시오

.

작업시 주위에 담배 등 불꽃을 접근시키

SQL(Small Quantity Learning,

미소분사 학습

)

기능

차량의 주행 거리 증가 및 차량 사용 환경이 열악

한 경우

,

인젝터의 연료 분사량 변화로 엔진 소음

이 증가 할 수 있습니다

.

이와 같은 경우

SQL

능을 사용 인젝터의 미소 분사량을 재학습하여

문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SQL

기능 사용 이후에도 문제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SQL

은 하기의 표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

RPM

1500

1250

1000

SQL

기능 사용 방법

1

.

엔진 시동을 다시 겁니다

.

2

.

공회전 상태에서 배기브레이크를

ON/OFF

조작을 5회 실시 후

,

브레이크 페달을

ON/

OFF

조작을 10회 하십시오

.(

10번 반복해서

밟으십시오

.)

이 과정을 30초 이내에 실시하

십시오

.

3

.

최대 15분 가량 엔진

RPM

이 변동하며

SQL

기능이 동작합니다

.

4

. SQL

기능 마무리 단계가 되면 공회전 상태

로 돌아옵니다

.

5

.

시동을 끄고 30초 이후 다시 시동을 걸면

SQL

이 완료됩니다

.

650

SQL

시작

1000

RPM

25

MPa

1000

RPM

65

MPa

1250

RPM

105

MPa

1500

RPM

170

MPa

1500

RPM

200

MPa

최대 15분 소요

SQL 종료

7

7-27

정기 점검

요소수

(

우레아

)

주 의

상기 조작을 30초

기능이 동작 합니다

.

이내에 끝내야

SQL

특별한 문제가 없는 차량에서

SQL

기능

을 사용할 경우 오히려 엔진부조

,

소음

등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SQL

의 기능이 완료되기 전에 브레이크

페달이나 가속 페달을 밟으면

SQL

작동

이 해제되어 공회전 상태로 돌아옵니다

.

이 경우

, KEY OFF

30초 후에 다시

KEY ON

하면

SQL

을 재동작 시킬 수

있습니다

.

,

정확한

SQL

학습을 위해

공회전 상태에서

SQL

값 초기화

해야

하므로

,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를 방문하여 점검 받으시

기 바랍니다

.

서플라이 모듈 메인 필터 교환

1

.

시동을 끈 상태

(

OFF)

에서 2분 경과 후 교

환 하십시오

.

요소수 시스템이 작동하여 시스

템 내부에 있는 요소수

(

우레아

)

를 비우기 위

한 기능이 약 2분간 작동되며

,

이때 모터 작동

음이 발생합니다

.

2

.

필터 캡 아래에 캡을 열 때 흘러 나오는 요소수

(

우레아

)

를 받을 수 있는 적당한 통을 놓으십시

.(

배출된 요소수는 재사용하지 마십시오

.)

3

.

27 mm

렌치를 사용해서 필터 캡을 탈거하고

캡 내부 및 서플라이 모듈측의 캡이 장착되는

표면은 깨끗한 물로 씻어 내십시오

.

4

.

이퀄라이징 엘리먼트

(A)

와 메인필터

(B)

를 교

환 합니다

.

5

.

필터캡 장착부에 이물질이 있는지 재확인 하

고 필터캡을 재조립합니다

.

조임 토크

:

2

.

05

~

2

.

55 kgf.m

주 의

교환시 서플라이 모듈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필터캡 조립 후에 요소수

(

우레아

)

가 새

지 않는지 점검합니다

.

서 플 라 이 모 듈 메 인 필 터 는 매

100

,

000

km

마다

,

가혹시 매 50

,

000

km

마다 반드시 교환하십시오

.

7-28

파워 스티어링 오일량 점검

오일점검 및 보충

(

1

)

리저버 탱크의 캡을 뺀 후 캡의 수준 게이지

에 묻은 오일을 깨끗히 닦은 다음 장착합니

.

(

2

)

캡을 다시 탈거하여 수준게이지에 표시된 위

치에 오일이 묻었는가를 점검합니다

.

(

3

)

최소선 이하일 때는 규정 오일을 최대선까지

보충하십시오

.

윈도 와셔액

주 의

오일저장 탱크가 비어 있을 때는 엔진을

시동시키지 마십시오

.

오일을 보충할

도록 하십시오

.

때는 먼지가 들어가지 않

오일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조향 핸들이 무

겁게 되거나 이상한 소리가 발생합니다

.

규정품 오일을 사용치 않으면 성능이

하되며 내부장치가 손상됩니다

.

파워 스티어링 호스

파워 스티어링 호스는 각 연결부위에서 오일의

누유여부

,

호스자체의 심한 손상

,

꼬임 등을 매일

점검하십시오

.

보충

와셔액 점검 및 보충 시 그림과 같이 키를 이용하

여 잠금장치를 해제 한 다음 키 홈에 키를 넣어

덮개를 열어 주십시오

.

와셔탱크에는 항상 좋은 품질의 와셔액이 채워

져 있어야 하며 와셔액양의 유무를 자주 점검하

여 보충해야 합니다

.

하절기에는 수도물을 사용해도 되지만 동절기에

는 얼지 않는 와셔액을 사용하십시오

.

7

7-29

정기 점검

주 의

와셔액이 없을 때 와셔 모터를 작동하면 모

터가 파손됩니다

.

경 고

엔진 냉각수 또는 부동액을 와셔액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

엔진 냉각수가 유리

에 뿌려지면 시야를 가려 위험하고 차체

와 도장에 손상을 줍니다

.

와셔액에는 알코올 성분이 함유되어 있

어 인화성이 강하므로 화염 또는 불꽃

을 멀리 하십시오

.

또한 유독성이 있으

므로 마시지 마십시오

.

와이퍼 블레이드 및 암 점검

와이퍼 암

이물질에 의한 앞 유리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오염은 앞 유리 와이퍼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

마찰음이 생길 수 도 있습니다

.

오염의 공통적인 원인으로는 벌레

,

수액

,

일부 상업

용 자동 세차기에 의한 뜨거운 왁스 칠 등입니다

.

만약 와이퍼 블레이드로 앞 유리가 잘 닦이지 않

으면

,

앞 유리와 블레이드 고무 표면을 깨끗한 물

과 깨끗한 수건 등을 이용하여 잘 닦아 내십시오

.

와이퍼로 앞 유리를 더욱 더 깨끗하게 닦기 위해

서는 앞 유리에 묻어 있는 발수 코팅제

,

왁스

,

(

먼지털이개로 앞 유리를 닦는 경우 포함

)

을 주기적으로 상품화 된 유막 제거제를 별도로

준비하여 닦아 내면 더욱 더 효과적입니다

.

주 의

앞 유리 세척 시 비눗물 및 합성세제를

이용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경화되거

,

와이퍼 작동 시 마찰이 심해 와이퍼

의 떨림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

겨울철 앞 유리와 블레이드가 빙결된 상

태로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블레이드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빙결 상태를

녹인 후 사용하십시오

.

와이퍼 블레이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

하여 휘발유

,

등유

,

페인트

,

신나 또는 기

타 솔벤트 류의 액체 등을 앞 유리에 사

용하지 마십시오

.

7-30

와이퍼 블레이드를 더욱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

는 먼지가 많은 지역 또는 비포장 지역을 운행했

거나

,

장기간 운행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앞 유리와 와이퍼 블레이드를 닦으

십시오

.

또한 와이퍼를 장기간 미 작동 시 와이퍼

블레이드의 변형으로 인해 심한 떨림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

(

2회

/

)

으로 와이퍼

를 작동시키십시오

.

와이퍼

블레이드

고정레버

앞 유리와 블레이드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에

도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안전운행을 위

하여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서 전문 상담을 하십시오

.

-

선이 남거나 깨끗하지 않을 때

-

소음이 발생하거나 떨릴 때

-

잔물이 스며들 때

-

장기간 사용하지 않았을 때

-

블레이드가 변형되어 부분적으로 유리면과

접촉하지 않을 때

-

와이퍼 암 장력이 약할 때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방법

탈거

1

.

와이퍼 암을 세워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환

할 수 있도록 준비하십시오

.

2

.

한손으로 블레이드를 잡고 또 한손으로 블

레이드 고정레버를 누르면서 블레이드를

아래로 당겨서

,

고정장치로부터 분리 하십

시오

.

3

.

블레이드 아랫쪽을 위로 살짝 올리고

,

블레

이드를 위로 당겨서 빼내십시오

.

7

7-31

정기 점검

장 착

1

.

새로운 와이퍼 블레이드를 그림과 같이 고

정레버 홈에 와이퍼 암을 맞추어 수평이 되

도록 아래로 내려 주십시오

.

주 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분리된 상태에서 와

이퍼 암이 유리창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

십시오

.

유리창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

차량별로 와이퍼 블레이드 사양이 다르

므로 교환시 주의하십시오

.

와이퍼가 오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2

.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로 끝까지 올려 고정

레버가 와이퍼 암과 체결되도록 장착하십

시오

.(

소리가 들리는 것을 확인하십시

.)

7-32

브레이크

바닥과의 간극

점검

브레이크 작동 상태

도로에서 서행하여 브레이크 테스트를 실시

하고 작동상태가 적당한가

,

편제동은 없는가

기타 이상 마모는 없는가를 점검하여 주십시

.

페달을 밟은 경우 바닥과의 간극

엔진의 시동을 걸어 페달을 강하게 밟고 페달

과 바닥과의 간극을 점검합니다

.

약 60㎏의 힘으로 밟은 경우 바닥과의 간극이

65㎜이면 정상 입니다

.

바닥과의 간극이 적은 경우나 반발력이 없는

경우

(

스폰지현상

)

는 브레이크 액의 누유

,

기의 혼입에 의한 브레이크의 작동 불량이나

편제동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아 주십

시오

.

클러치 페달

바닥과의 간극

점검

페달의 유격

1

.

평지에서 주차브레이크를 완전히 당긴후

시동을 끄고 클러치 페달을 수회 밟아 진공

압을 해제합니다

.

2

.

클러치 페달을 손으로 가볍게 저항을 느낄

때까지 눌러 유격을 점검합니다

.

이 때 유

격은 8

~

11㎜이면 양호합니다

.

유격이 범위를 벗어나면 조정해야 하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바랍니다

.

7

7-33

정기 점검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점검 및 보충

페달을 밟았을 때 바닥과의 간극

엔진을 아이들링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레

버를 완전히 당긴뒤 클러치 페달을 밟고 기어

변속 레버를 4속으로 한 후 클러치 페달을 서

서히 떼어 클러치가 연결되기 직전에 클러치

페달의 간격을 점검합니다

.

페달을 완전히 밟았다가 뗄 때의 간격은 30㎜

이상이면 양호합니다

.

규정치보다 적은 경우

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조정을 받아 주십시오

.

주 의

간극이 너무 적으면

,

차가 급출발 할 수가

있으므로 주의하여 주십시오

.

브레이크 액 탱크 안의 브레이크 액량을 점검합

니다

.

MIN

MAX

선의 사이에 있으면 양호합니다

.

MIN

수준 이하인 경우는 뚜껑을 열어 브레이크

액 탱크의 캡을

MAX

수준까지 브레이크 액을

보충해 주십시오

.

주 의

브레이크 오일 사용은 자사에서 추천한

오일을 사용하며 오일 보충시에는 동급

오일을 사용 하십시오

.

브레이크 액의 감소가 두드러진 경우는

즉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서 점검을 받아 주십시오

.

차체나 플라스틱 부품에 브레이크 액이

묻었을 경우에는 헝겊으로 닦은 후 물로

세척해 주십시오

.

그 상태로 있으면 변색 혹은 균열의 원

인이 됩니다

.

보충후는 캡을 확실하게 조여 주십시오

.

오일 탱크 안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

록 주의해 주십시오

.

또 탱크에 이물질이 침전되어 있는 경우

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서 점검

,

세척을 하십시오

.

브레이크 액은 습기등에 의해 열화되므

로 꼭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

핸즈에서 교환해 주십시오

.

7-34

주차 브레이크

표준캡

,

슈퍼캡

더블캡

점검

주차 브레이크의 유격

레버를 힘껏 당긴 경우 주차 브레이크 레버

유격이 지나치게 많거나 적지 않은가를 점검

합니다

.

약 20 kg

의 힘으로 당긴 경우 이 때 나는 소리

(

딱딱

)

를 세어 8

~

9 노치이면 양호합니다

.

차 브레이크 레버 유격이 규정된 범위이내가

아닌 경우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

핸즈에서 정비를 받아 주십시오

.

주차브레이크 작동상태

내리막길에서 정지상태가 유지되는가를 점검

합니다

.

내리막길이 없을 때는 저속 상태로

레버를 당겨 작동상태를 점검합니다

.

7

7-35

정기 점검

조향 핸들

25 mm

점검

유격 , 이완 , 덜거덕 거림의 점검

1

.

조향 핸들을 똑바로 직진 방향으로 하여 가

볍게 좌우로 흔들어 유격

(

저항을 느낄 때

까지의 움직임

)

을 점검합니다

.

조향 핸들

움직임이 25㎜이하이면 정상입니다

.

주 의

유격이 규정 한도를 초과하면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에서 수리를 받으십시오

.

2

.

조향 핸들을 잡고 상하

,

좌우로 움직여 덜

거덕 거림이 없는가 점검해 주십시오

.

3

.

틸트 레버는 확실하게 조여 주십시오

.

조작 상태의 점검

차를 서행하면서 조향 핸들이 흔들리거나 쏠

리지 않는지 또 조작이 무겁거나 리턴 불량이

아닌가 점검합니다

.

배터리

배터리 및 터미널부의 연결상태를 일일 점검 하

십시오

.

배터리 터미널 및 윗부분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

하십시오

.

터미널부의 오염 및 부식이 많이 진행되었으

면 와이어 브러시 또는 샌드 페이퍼 등으로 닦

아 내십시오

.

배터리 터미널 탈거시 시동 스위치가

ON

ACC

위치에 있으면 차량에 부착된 각종

전기장치에서 발생한 강한 충격 전압이 전자

부품에 유입되어 내부회로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시동키를 빼거나

OFF

위치

에 놓은 후에 배터리 터미널을 탈거하십시오

.

7-36

경 고

배터리액은 강한 황산 용액이어서 유독

성 및 부식성이 강하므로 신체나 차체

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차체에

묻은 경우 즉시 물로 씻어 내십시오

.

신체에 묻은 경우 즉시 깨끗한 물로 최소

15분 이상 씻어낸 후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으십시오

.

배터리 충전시에는 폭발성 가스가 생성되

므로 환기가 잘되는 장소에서 시행하시고

담배불이나 불꽃 등을 금지하십시오

.

담뱃불과 모든 기타 화염 또는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

배터리 셀에는 인화성이

높은 수소 가스가 항상 있고

,

이는 불이

붙으면 폭발할 수도 있습니다

.

경 고

배터리는 부식성이 높은 유황성 산을 함유

하고 있으므로 어린이들 손에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배터리 산이 피부나 눈

,

,

페인

트 부분에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

전해액이 눈에 들어가면 최소한 15분

동안 흐르는 깨끗한 물로 닦아내고 즉

시 의료 조치를 받으십시오

.

의료 조치

를 받을 때까지 스폰지 또는 헝겊에 물

을 적셔 계속 닦아내십시오

.

전해액이 피부에 닿으면 닿은 부분을 깨

끗이 씻어 내고 즉시 의료 조치를 받으

십시오

.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

배터리 근처에서

일할 때는

,

보안경을 착용하십시오

.

쇄된 공간에서 작업할 경우는 항상 환기

를 하십시오

.

경 고

플라스틱 케이스로 된 배터리를 들어 올

릴 때 케이스에 압력을 과하게 가하면

,

배터리 산이 분출되어 사람이 다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분리기로 들어 올리거나 손으로

맞잡고 들어 올리십시오

.

배터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는 배터리를 충전하지 마십시오

.

동안에

7

7-37

정기 점검

주 의

배터리를 취급할 때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

십시오

.

배터리 단자를 분리할 때는 반드시

-

측부터 분리하고

,

장착할 때는

-

측을

최후에 연결하십시오

.

타이어

주 의

배터리의 효율은 저온에서 현저히 저하

됩니다 . 한랭시 차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

을 때는 분리하여 실내에 보관하십시오 .

배터리의

+

단자와

-

단자를 역으로

접속하지 마십시오 . 극성을 반대로 연결

하면 과다하게 전류가 흘러 발전기의 다

이오드와 차체 배선이 손상됩니다 .

배터리의 장착이 불완전하면 주행 중의

진동으로 케이스와 극판을 손상시킵니

다 . 배터리 코드의 단자와 접속부 둘레

에 그리스를 도포하면 산의 침투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

배터리는 항상 완전 충전상태로 유지하

십시오 . 특히 한랭 시 비중이 낮으면 동

결되어 배터리 케이스의 파손을 발생시

킬 우려가 있습니다 .

반드시 규정된 전압의 배터리를 사용하

십시오 . 그렇지 않으면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지나치게 높다 지나치게 낮다

타이어의 수명 연장 및 안락한 승차감을 위해 매

일 차량 주행전에 타이어 공기압 및 마모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

주행 직후에 타이어는 열로 인하여 규정된 공기

압을 초과하게 됩니다

.

반드시 식었을 때 점검하십시오

.

7-38

주 의

래디얼 타이어와 바이어스를 혼용하지

말아 주십시오

.

조종 안전성이 나쁘게

되어 차량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타이어는 반드시 규격품을 사용하고 규

정된 공기압을 유지 하십시오

.

공기압 조정시에 과다하게 압력을 넣으

면 위험합니다

.

마모 한도 표시

타이어의 교체시기

타이어에는 트레드의 마모 한도를 나타내는 마

모 한도 표시

(Wear Indicator)

가 있는데 타이어

옆면에 있는 또는

표시 방향으로 홈

(Groove)

속에 볼록 솟은 부분을 가리킵니다

.

이어가 마모되어 이것이 드러나면 교환하여야

합니다

.

고속도로 운행시의 자동차용 타이어 마모 한

(

타이어의 남은 홈 깊이

)

마모한계

3

.

2 mm

비 고

고속도로 운행시 대한 타이어

공업 협회의 권장 사항

경 고

타이어 공기압이 규정치보다 심하게 낮

을 경우 ( 10 psi 이상 낮을 경우 ) 타이어

에 심한 과열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특히 더운 날 , 고속주행시 더할 수 있습

니다 . 이럴 경우 트레드가 분리되거나 ,

타이어간 불규칙 현상이 나타나서 차량

의 제어가 힘들어 지고 심각한 상해나

사망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타이어 공기압 과다 또는 거친 주행 , 조

향 문제 , 타이어 트레드 중앙부의 과도

한 마모 , 도로 위험으로부터 다칠 가능

성이 있습니다 .

낡은 타이어는 파열 , 제동력 상실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

마모된 타이어로 주행하면 제동효과 , 조향

력 , 마찰력을 상실하여 매우 위험합니다 .

7

7-39

정기 점검

주 의

다른 사이즈나 타입의 타이어를 사용하

면 승차감

,

조향

,

최저 지상고

,

타이어와

차체 간격 및 속도계 정밀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동시에 모든 타이어를 교환하는 것이 최

선입니다

.

이것이 가능하지 않거나 불필

요한 경우

,

앞 또는 뒤의 타이어를 함께

교환하십시오

.

하나만을 교환하면 차량

조향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다른 사이즈의 휠을 사용하면

,

휠 및 베어

링 수명

,

브레이크 및 제동력

,

조향성

,

최저

지상고

,

차체와 타이어의 간격

,

스노우 체

인 간격

,

속도계의 정밀도

,

전조등 각도 및

범퍼 높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

니다

.

( (

) ( (

)

타이어 외관

타이어 접지면의 둘레와 양측면에 균열

,

손상

이 없는가를 점검합니다

.

타이어 접지면의 둘레와 양측면에 못

,

돌 기

타 이물이 박혀 있거나 끼여 있지 않는가를

점검합니다

.

타이어 편 마모 등 이상 마모가 없는가를 점

검합니다

.

타이어 위치교환

타이어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 시

키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은 순서로 매

15

,

000 km

주행시마다 타이어 위치를 교환

하십시오

.

7-40

타이어 공기 압력

공기압 조정시에 과다하게 압력을 넣으면 위

험합니다

.

타이어는 필히 규정된 공기압을 유지토록 하

십시오

.

스페어 타이어의 공기압은 약간 높게 하여 놓

고 교환할 때 조정하여 주십시오

.

주 의

더블 타이어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공기

압의 차가 나지 않도록 하십시오

.

에어 밸브 캡은 꼭 닫아 주십시오

.

타이어 규격

205

/

75

R

17

.

5

-

10

PR

① ②③ ④ ⑤

① 205

:

단면폭

(mm)

② 75

:

편평비

(%)

R: R:

래디얼

X:

바이어스

④ 17

.

5

:

림직경

(

인치

)

⑤ 10

PR:

타이어 강성

타이어 표준 공기압은 제원편을 참조하십시오

.

각종 벨트 장력

벨트 장력을 정확히 조정하여야 벨트의 수명이

연장되며 벨트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벨트의 장력은 자동적으로 조정이 되

므로 별도 조정을 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

주 의

각종 벨트 조정시는 필히 시동이 꺼진 상태

에서 장력을 점검하여야 합니다

.

7

7-41

정기 점검

그리스 주유부분

그리스 니플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나 오물을 깨

끗이 닦고 나서 지정된 그리스를 주유하여 주십

시오

.

그리스 주유시 와이어링이나 고무호스 등

주위에 부착된 그리스는 잘 닦아 주십시오

.

주 의

그리스를 주입할 때는 모든 베어링 컵으로

부터 새 그리스가 밀려 나와 비칠때까지 주

입 합니다

.

그리스 윤활

1

2

,

3

1 2

,

3

번호 부품명

1 프론트

/

리어 휠 허브 베어링

2 좌측 및 우측 상부 킹 핀

3 좌측 및 우측 하부 킹 핀

4

리어 스프링

7-42

4 1 4

4 1 4

그리스 제원 주유 주기

NLGI #

2 매 30

,

000 km

NLGI #

2 매 10

,

000 km

또는 3개월

NLGI #

2 매 10

,

000 km

또는 3개월

NLGI #

2 매 10

,

000 km

또는 3개월

퓨즈의 교체

차량의 전기장치는 전기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퓨즈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기 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우선 퓨즈 단선 여부를 점검하십시오

.

만일

,

퓨즈가 단선되면 그 퓨즈가 보호하고 있는

모든 전기장치는 작동되지 않으니

,

퓨즈를 교체

하십시오

.

퓨즈는 실내 및 외부에 몇 개의 퓨즈박스에 분할

설치되어 있으므로

,

각 박스의 퓨즈 라벨을 확인

하여 작동하지 않는 장치의 퓨즈 위치를 확인하

시고 반드시 규정된 용량의 퓨즈만을 사용하십

시오

.

주 의

퓨즈를 제거하기 위해 드라이버나 금속

물체를 이용하지 마십시오

.

합선 등으

로 인해 전기 장치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

퓨즈 교체 후에도 계속 퓨즈가 단선되면

전기장치의 다른 과부하가 있으니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정비

를 의뢰하십시오

.

규정용량의 퓨즈를 사용치 않거나

,

철사

구리선 또는 은박지 등을 사용하면 전기

,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관련 전기장

치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

니다

.

주 의

퓨즈 및 릴레이 교체는 시동을

OFF

하고

모든 전기장치의 스위치를 끈 후

,

배터

(-)

단자를 분리한 상태에서 안전한 장

소에서 교체하십시오

.

퓨즈 및 릴레이 교체시 확실하게 꽂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불완전하게 꽂혀 있을 경우 접촉불량으

로 인해 차량 내부의 전기장치 및 배선

이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 할 수 있습

니다

.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 있는 퓨즈

,

레이 및 터미널을 임의로 분해

/

조립하지

마십시오

.

불완전한 체결 및 잘못된 조

립 토크는 화재의 원인이 될수 있으므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

퓨즈 및 릴레이가 꽂히는 터미널에 드라

이버나 임의 개조용 배선을 꽂지 마십시

.

접촉 불량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

7

7-43

정기 점검

경 고

차량의 전기 배선을 추가 또는 임의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

같은 용량의 퓨즈로 교체하고 다른 용량

의 퓨즈로는 절대로 교체하지 마십시오

.

만일

,

높은 용량의 퓨즈로 교체시 전기

배선 손상의 원인 및 화재의 위험이 있

습니다

.

알아두기

퓨즈 라벨 표기 정보

차량 전장품 사양 적용에 따라 퓨즈 라벨에

표기되어 있는 전장품이 미 장착될 수 있습

니다.

퓨즈 / 릴레이 라벨

실내 ( 퓨즈 패널 ) 실외 ( 메인 퓨즈 )

퓨즈의 용량 및 명칭은 차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퓨즈

/

릴레이 박스 커버 안쪽에 부착되어 있는 퓨즈 라벨을

참조하십시오

.

7-44

전구의 위치 및 용량

전구의 위치

9

10

11

3 4

1

.

헤드램프

2

.

안개등

,

주간주행등

3

.

차폭등

4

.

방향지시등

(

)

5

.

보조 방향지시등

6

.

실내등

7

.

형광등

8

.

번호판등

9

.

후진등

10

.

미등 및 정지등

11

.

방향지시등

(

)

12

.

사이드 마커 램프

주 의

전구는 비규격품 사용시 화재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규격품 전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

전구 교환시 반드시 스위치를

OFF

하십시오

.

방향지시등을 임의로 추가 장착하는 경우 방향지시등 제어기

(

블링커 유니트

)

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추가 장착을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

7-45

7

정기 점검

전구의 용량

램 프 종 류

헤 드 램 프

방 향 지 시 등

사이드 마커 램프

차 폭 등

리어

콤비네이션램프

방향지시등

후 진 등

번호판등

정지등

&

미등

실 내 등

형 광 등

안 개 등

주간 주행등

보조 방향지시등

수량

2

2

1

2

2

2

4

(

6

)

2

1

1

2

2

2

용 량

75

/

70

21

21

21

/

5

10

21

5

5

10

18

70

21

21

전구 교환시 맨손으로 반사경 또는 전구를 만지지 마십시오

.

장갑이나 패키징을 사용하십시오

.

손에 묻은 그리스나 오일 등의 불순물이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반사경 기능을 손상 시킬 수 있습니다

.

특히 발열량이 큰 헤드램프 전구 취급시 주의하십시오

.

7-46

전구의 교환

A

타입

룸램프

A

타입

맵램프

B

타입

룸램프

형광등

실내등 전구의 교체

1

.

주차 브레이크를 걸어놓고

,

시동을 끄십시오

.

2

.

커버를 분리하십시오

.

3

.

전구를 그대로 당겨 분리하십시오

.

4

.

새 전구로 교체하신 후 커버를 장착하십시오

.

5

.

대형 실내등 전구교체는 가까운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의뢰하십시오

.

주 의

드라이버를 끼워 커버를 분리할 때 커버가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

7

7-47

정기 점검

안개등

주간주행등

안개등 / 주간 주행등

1

.

시동 스위치를

[OFF]

위치에 놓고 캡을 들어

올리십시오

.

2

.

안개등 베젤의 커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

려서 탈거 하십시오

.

안개등은 점검 커버가 있는 차량은 캡을 들어

올리지 않고 점검 카버를 탈거하고 안개등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

3

.

배선 컨넥터를 분리 하십시오

.

4

.

안전 스프링을 눌려 전구를 탈거하고 단락되

었으면 동일 용량의전구를 교환하십시오

.

5

.

장착은 탈거의 역순입니다

.

전조등

전조등

/

방향지시등

전조등

1

.

시동 스위치를

[OFF]

위치에 놓고 캡을 들어

올리십시오

.

2

.

전조등 베젤의 커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

려서 탈거 하십시오

.

3

.

배선 컨넥터를 분리 하십시오

.

4

.

안전 스프링을 눌려 전구를 탈거하고 단락되

었으면 동일 용량의전구를 교환하십시오

.

5

.

장착은 탈거의 역순입니다

.

7-48

방향지시등

방향지시등

1

.

센터 그릴

(

1

)

를 탈거하십시오

.

2

.

사이드 그릴

(

2

)

및 로워 가니쉬를 탈거하십시오

.

3

.

코너 판넬

(

3

)

을 탈거하십시오

.

4

.

방향지시등 램프

(

4

)

를 교환하십오

.

5

.

장착은 탈거의 역순입니다

.

사이드 마커 램프 교환

1

.

램프 후면의 컨넥터를 분리하십시오

.

2

.

단락된 동일용량의 전구를 교환하십시오

.

3

.

장착은 탈거의 역순입니다

.

방향지시등 램프 교환은 절차가 복잡하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교

환하시기 바랍니다

.

OQT0 75050

번호판등 램프 교환

1

.

+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스크류 2개를 탈거

하십시오

.

2

.

배선 컨넥터를 분리 하십시오

.

3

.

배선 컨넥터 하우징을 돌려서 전구를 탈거하

십시오

.

4

.

단락되었으면 동일 용량의 전구로 교환 하십

시오

.

5

.

장착은 탈거의 역순입니다

.

7

7-49

정기 점검

미등 및

정지등

방향지시등

미등 및

배출가스 규제와 차량관리

매연관리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주요한 공해요소는 흑색

연기

(

매연

)

로서 이 매연농도가 하기 규정된 규제

치를 초과하는 경우 법적인 제재조치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

미등

/

정지등

,

후진등

,

방향지시등

)

1 .

스크류를 2개 탈거하고 램프 커버를 탈거 하

십시오

.

2 .

단락된 동일 용량의 전구를 교환 하십시오

.

3

.

장착은 탈거의 역순입니다

.

구 분

광투과식

매연 농도

20

%

이하

,

과급기

(

터보차저

)

나 중간냉각기

(

인터쿨러

)

부착한 엔진

(

자동차

)

의 경우 5

%

를 가산한

(

25

%

이하

)

매연농도를 적용 받게 됩니다

.

7-50

매연농도 측정은

검사모드로

규정된

실시하게

광투과식

됩니다

.

무부하급가속

1

.

무부하급가속검사모드 측정방법

(

1

)

엔진은 충분한 예열 상태에서 측정되어야

하며

,

에어컨 또는 서리제거장치 등 작동하

지 않아야 합니다

.

(

2

)

예비 무부하급가속

-

배기관내 축적되어 있는 매연을 배출하기

위한 모드로

,

매연 측정 전 반드시 실시하

여야 합니다

.

-

측정 대상자동차의 정지가동상태

,

기어 중

립인 상태에서 급가속하여 최고 회전속도

도달 후 2초간 회전시키고

,

공회전 상태로

5∼6초간 둔다

.

이와 같은 과정을 3회 반복

실시합니다

.

(

3

)

측정기의 시료채취관을 배기관의 중앙에

오도록 하고

,

5 cm(

광투과식

)

정도의 깊이로

삽입합니다

.

(

4

)

엔진의 최고 회전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4초이내로 하고 그 시간 이내에

시료를 채취하여야 합니다

.

2

.

매연 농도의 산출방법

-

3회 연속 측정한 매연농도를 산술평균하여

소수점 이하는 절사한 값을 최종측정치로

합니다

.

이때 3회 측정한 매연농도의 최대

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

%

를 초과하거나

최종 측정값이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에 부

적합한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1회씩 더 측

정하여 최대 10회까지 측정하면서 매회 측

정시마다 마지막 3회의 측정치를 산출하여

마지막 3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

%

이내이고

,

측정값의 산술평균값도 운

행차배출허용기준 이내이면 측정을 종료

하고 이를 최종 측정값으로 합니다

.

-

만약

,

10회까지 반복 측정하여도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

%

를 초과하거나 마지막

3회

(

8회

,

9회

,

10회

)

측정값의 산술평균값

이 운행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면 측정

을 종료하고 이를 최종 측정값으로 합니다

.

3

.

매연 관리 방법

(

1

)

에어클리너가 막히면 다량의 매연이 발생

되므로 매뉴얼에 따라 에어클리너 엘리먼

트를 교환해야 합니다

.

단 비포장 도로등 가

혹한 조건에서 주행하는 차량은 오염상태

에 따라 주기를 단축하여 교환을 실시하여

주십시오

.

(

2

)

밸브 간극 및 타이밍 점검 및 조정

밸브 간극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공기량의

부족을 초래하여 매연이 발생됩니다

.

(

3

)

노즐 점검 및 수정

노즐의 변형 및 분무상태등을 점검하고 필

요시 교환을 합니다

.

(

4

)

적재 적량 이상으로 적재하면 엔진에 무리

를 주어 매연 증가의 요인됨과 아울러 엔진

수명이 단축됩니다

.

(

5

)

정기점검과 조정 차량의 배출가스를 위하

여 매10

,

000 km

마다 배출가스 점검 정비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7

7-51

정기 점검

(

6

)

점검시 매연이 발견되면

,

매연발생 원인부

품을 교체하고 엔진 정상상태가 확인되면

,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 필터

장치

)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

(

카본

)

을 자사

직영서비스 또는 블루핸즈에서 수동재생하

여 배출가스저감장치 문제 발생 여부를 반

드시 확인하십시오

. (DPF

점검 주기

,

8만 km

또는 1년

)

(

7

)

매연필터장치

(DPF)

2회 점검 시

, DPF

의 잔

류재 청소를 실시해 주십시오

.

(

2년 또는 16만 km.

사용 조건

,

사용 엔진오

일에 따라 잔류재 청소주기는 달라질 수 있

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잔류재 청소

를 실시해 주십시오

.)

지정되지 않은 일반 엔진오일을 사용할 경

, DPF

의 잔류재 청소 주기가 짧아지게

되고 연비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상기사항을 불이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재조

치 또는 기타 불이익에 대해서 제작자는 책임

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4

.

매연 저감을 위한 운전자 숙지사항

(

1

)

주행하기 전에 엔진을 충분히 웜업하고 가

능한한 정속으로 운행하도록 하십시오

.

(

2

)

과적

,

과속을 피하고 부득이 과적상태에서

운전해야 할 경우 과다한 가속 페달 사용을

지양하십시오

.

(

3

)

급가속

,

급정지를 피하고 운전중 엔진의 회

전수

rpm

은 녹색표시 구간의 위치로 하고

또한 적당한 변속 위치를 설정하여 운전되

도록 습관화 하십시오

.

(

4

)

각종 부품과 오일은 반드시 규격품을 사용

하고 각 차량의 취급 설명서를 참고하여 수

시로 점검하십시오

.

배출가스 저감장치

다음 사항을 꼭 지키십시오

.

정상적으로 판매되는 연료만 사용하십시오

.

엔진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등 엔진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되면 차량 운행을 하지 마십시오

.

엔진의 갑작스런 출력저하

,

비정상적인 소음

유발

,

엔진시동의 어려움 및 배기장치계에 이

상 소음이 발생될 때는 즉시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

연료가 없을 때가지 주행하지 마십시오

.

저연료 수준으로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시

.

연료가 떨어지면 엔진 실화가 일어나서 촉

매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7-52

엔진을 10분 이상 빠르게 공회전하거나

,

정상

공회전을 20분 이상 하지 마십시오

.

차량 주행중에 절대로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

밀어 시동 걸기

,

언덕길에서 내려오며 시동걸

기를 하지 마십시오

.

차량의 무리한 고속 주행을 하지 마십시오

.

촉매 장치를 탈거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성능

이 다된 촉매장치로 운행하지 말고 철저한 정

기 점검 및 교환을 하십시오

.

엔진이나 배기제어 시스템의 어떤 부품도 개

조 하거나 함부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

주 의

이런 주의사항이 지켜지지 않으면 촉매

장치 및 차량 손상이 초래될 수 있습니

.

또한 이로 인해 보증을 받지 못할 수

도 있습니다

.

연료 부족 경고등 점등 후 차량을 계속

주행하면 촉매장치

,

연료 장치 등에 이

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항상 연료의

양이 충분한지 확인 하십시오

.

경 고

차량을 잔디

,

낙엽

,

종이

,

카펫트

,

기름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 위에 주차 또는 정차시

키지 마십시오

.

특정 조건하에서 뜨거운

배기가스나 배기관에 의해 발화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특히

수동재생시는 매연의 재생을 위하여 고열

(

600

이상

)

이 발생되오니 반드시 실외에

서 주변 인화물 여부

(

특히

,

건초

)

를 확인

,

실시 하십시오

.

엔진 작동 중 또는 시동을 끈 직후에는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고온이므로 사람

의 신체가 배출가스 저감장치에 닿지 않

게 하십시오

.

화상위험이 있습니다

.

또한 배출가스 저감장치 주변의 방열판

을 제거하거나 언더실링이나 방청코팅

을 하지 마십시오

.

특정 조건에서 화재

의 위험이 있습니다

.

경 고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탈거 및 소음 과다

발생은 정비 명령 및 고발의 대상이 되

,

배기관의 고열

,

고압으로 인한 화재

및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반드시 정상적인 배기음이 나도록 하십

시오

.

에어 클리너

에어 클리너는 수시로 점검하여 상태에 따라 교

환하십시오

.

7

7-53

덤프 취급 방법

2

.

5톤 덤프

...........................................................................

8

-

2

3

.

5톤 덤프

...........................................................................

8

-

3

취급주의

..............................................................................

8

-

4

장치 사용요령

......................................................................

8

-

9

고장 진단

...........................................................................

8

-

12

정기점검

............................................................................

8

-

17

유압 작동유 점검 및 교환 ...................................................

8 20

윤활

...................................................................................

8

-

27

테일게이트 자동 잠금 장치 조정

.........................................

8

-

30

8

덤프 취급 방법

2

.

5톤 덤프

8-2

1 2 10 7 6

1

. PTO(

동력 인출장치

)

2

.

드라이브 샤프트

3

.

유압 펌프

4

.

호이스트 실린더

5

.

유압호스

6

.

리프트 플레이트

7

.

텐션 로드

8

.

덤프 레버

9

.

서브 프레임

10

.

안전봉

11

.

적재함

12

.

덤프 힌지

13

.

바디 로크

3

.

5톤 덤프

1 2 10 14 12

1

. PTO(

동력인출장치

)

2

.

드라이브 샤프트

3

.

유압펌프

4

.

호이스트 실린더

5

.

유압호스

6

.

리프트 플레이트

7

.

텐션 로드

8

.

덤프 레버

9

.

서브 프레임

10

.

안전봉

11

.

적재함

12

.

덤프 힌지

13

.

바디 로크

(

3

.

5톤 덤프

)

14 . 테일게이트 자동잠금 장치

8

8-3

덤프 취급 방법

취급주의

과적 또는 편중 적재하지 마십시오 .

주행 중 차량 파손 또는 전복 등으로 심각한 인

체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차량의 용도 이외에 사용하지 마십시오

.

덤프 용도

:

건설 골재 수송

적재함의 조기 마모 및 파손 등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덤프 레버는 덤프 작동할 때만 사용하십

시오 .

덤프 레버 오조작에 의한 덤프 상승으로 심각한

인체 상해 및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할 수있습니다

.

8-4

덤프 작동시 적재함 주위에 사람 또는 장

애물이 없음을 확인한 후 작동하십시오 .

적재물 또는 적재함에 깔려 심각한 인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적재함이 고압선에 걸려 감전될 수 있습니다

.

적재함이 장애물과 부딪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적재함을 상승시킨 상태로 운행하지 마

십시오 .

적재함이 고압선에 걸려 감전될 수 있습니다

.

적재함이 주변 장애물과 충돌하여 파손 또는

전복될 수 있습니다

.

경사진 곳에서 적재물을 하역하지 마십

시오

.

차량 각 부위 및 유압기기의 비틀림에 의한 차량

파손 또는 전복 등으로 심각한 인체 상해 및 재산

상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8-5

8

덤프 취급 방법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적재함을 하강

또는 갑작스런 정지를 하지 마십시오 .

호이스트 실린더 및 유압장치의 파손으로 운전자

에게 충격이 전달되어 심각한 인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운행 중 적재물이 떨어지거나 비산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비산물에 의해 후방 차량 파손 및 주변 사람이 다

칠 수 있습니다

.

위험 방지 조치를 하지 않은 상태로 적재함

아래에 머무르지 마십시오 .

적재함 하강으로 인하여 심각한 인체 상해가 발

생할 수 있습니다

.

8-6

차량 운행 또는 덤프 상승시 적재함에 머

무르지 마십시오 .

적재함에서 떨어져 심각한 인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엔진 구동상태에서 샤시 밑으로 들어가

지 마십시오 .

프로펠라 샤프트 및 드라이브 샤프트가 회전 하

고 있어 심각한 인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 습니

.

차량 아래에 들어갈 때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

동시 키고 타이어에 안전 받침대를 고인 후 엔

진 시동을 끄고 키를 뽑은 상태에서 피트를 이

용하십시오

.

유압장치를 임의로 조정 또는 조작하지

마십시오

.

규정된 용량 초과로 인한 유압장치 파손 및 오작

동으로 심각한 인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8-7

8

덤프 취급 방법

스텝

(

계단

)

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짐을 조심

하십시오 .

떨어져서 심각한 인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스페어 ( 예비 ) 타이어를 확실히 고정한 상

태로 주행하십시오

.

주행 중 스페어

(

예비

)

타이어가 떨어져 후방 차량

의 안전운행을 저해하여 운전자의 심각한 인체 상

해 및 기타 재산상의 손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PTO

스위치

PTO

스위치를

ON

상태로 운행하지

마십시오 .

계속된 유압 펌프 회전에 의한 과부하로 유압 펌

프 또는 유압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8-8

차량의 어느 부위든 용접 작업 또는 구멍

가공 등의 임의 변경을 하지 마십시오

.

전자제어장치 고장 및 균열

,

호이스트 실린더 손

상 등 중대한 차량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부득이 용접 작업을 할 경우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 하십시오

.

장치 사용요령

경 고

본 취급설명서를 숙지하고 덤프 작동 방

법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하십시오 .

잘못된 덤프 레버 조작에 의해 심각한

인체 상해 및 차량 파손이 발생할 수 있

습니다 .

적재함 상승

1

.

엔진 시동을 거십시오

.

8-9

8

덤프 취급 방법

2

.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아 주십시오

.

3

. PTO

스위치를 눌러서

PTO

를 작동시키십

시오

.

4

.

클러치 페달을 서서히 놓아 주십시오

.

8-10

5

.

덤프 레버

(

스위치

)

상승

위치로 하십시오

.

6

.

적재함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가속 페달을

서서히 밟아 덤핑 속도를 조절하십시오

.

주 의

덤핑시 엔진 회전 속도가 1

,

200 rpm

를 넘지 않

도록 하십시오

.

-

과부하로 인하여 유압 펌프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7

.

적재함이 최고 높이에 도달하면 상승은 자

동적으로 멈추어 집니다

.

적재함 하강

1

.

덤프 레버를

하강

위치로 하십시오

.

2

.

이 때 엔진의 회전과는 무관하며

,

적재함 자

중에 의해 저절로 내려옵니다

.

작동도중 적재함을 멈출 때

1

.

덤프 레버를

정지

위치에 두면 적재함은 하강

중 멈추어집니다

.

2

.

같은 방법으로

PTO

스위치 작동상태에서 레버

정지

위치에 두면 적재함이 상승 중 멈추어

집니다

.

3

.

만약 적재함을 오랜 시간 들어 올려진 상태로

두어야 할 경우

PTO

스위치를

OFF

상태에

서 덤프 레버를

정지

위치에 놓아 주십시오

.

운행시 덤프 레버의 위치

운행 전

PTO

스위치가

OFF

되었는지 확인한

후 덤프 레버

(

스위치

)

를 하강위치에 놓고 운행하

십시오

.

주 의

PTO 스위치

OFF

시 반드시 클러치 페달

을 밟고 작동 하십시오 .( 수동변속기 )

- PTO 기어부가 손상될 수 있으며 단속이

원활치 않을 수 있습니다 .

8

8-11

덤프 취급 방법

고장 진단

고장진단 방법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반적인 고장진단에 대한

원인과 조치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확실한 고장원

인을 진단하기 전에 부품을 교환하거나 분해

,

립 하지 마십시오

.

이상 발생

적재함 상승 불량

조정장치의 적절한 작동 여부 점검

유압 오일 적정 여부 점검

기어 펌프 셀렉터 밸브 개방 여부 점검

압력 저항 불균일

유압장치에서의 오일 누유 점검

체크밸브 내 이물질 침입 여부 점검

실린더 파열 및 변형 여부

구조적 원인 파악

적절하게 수리 또는 교환

8-12

상 태

적재함 상승불량

드라이브 샤프트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 회전 불량

원 인

조정장치 적절한 작동 여부

기어 펌프 셀렉터 밸브 열림 불량

실린더 내부 결함 및 오일 누유

기어 펌프 작동 불량

기어 펌프 사이드 플레이트 마모

기어 펌프 반달키 부러짐

밸브 작동 불량

유압유 부족

유압유 누유

PTO

시프트 로드 작동 불량

PTO

축 반달키 부러짐

조 치

컨트롤 와이어 및 로드 조정

기어 펌프 스톨 점검 및 조정

분해

,

점검 및 수리 또는 교환

기어 펌프 수리 또는 교환

축 점검 및 반달키 교환

체크밸브 점검

유압 오일량 점검

,

부족시 보충

오일씰 점검 및 각 부 재조임

컨트롤 와이어 조정

, PTO

배치 및 와이어 점검

축 점검 및 반달키 교환

8

8-13

덤프 취급 방법

상 태

빈 적재함은 상승되나 적재시

상승 불량 또는 상승 불가

상승시 적재함 점프 현상

적재함 상승시 펌프 작동음 과다

적재함 상

하강시 실린더로부터

유압유 분출

상승된 적재함 하강 불능

8-14

원 인

실린더 내부 결함 및 오일 누유

실린더 변형 및 간극 과다

기어 펌프 손상

유압유 부족

공기 유입

회전부 윤활 불량 또는 마모

오일에 이물질 유입

유압 오일 부족 및 공기 유입

유압유 점도 과다

유압유 과다

공기 유입

유압유 과다

셀렉터 밸브 열림 불충분

피스톤 균열

조정장치 작동불량

조 치

실린더 분해 및 수리

실린더 전체 교환

기어 펌프 교환

(

펌프 부품 교환

)

유압유 보충

오일 누유부 점검

/

재조임

,

공기 빼기 작업

윤활 및 수리 또는 마모 부품 교환

파이프 오일 통로 청소

,

유압유 교환

유압 오일 보충

,

공기 빼기 작업

추천 유압유로 교환

오일 배출

(

적정량 유지

)

공기 빼기 작업

오일 배출

(

적정량 유지

)

기어 펌프 에어 작동부 점검 및 펌프 교환

피스톤 교환

컨트롤 와이어 및 로드 연결부 조정

상 태

적재함이 완전히 내려지지 않는다

.

하강 중인 적재함이 하단부에서 멈춤

적해함 상승시 펌프 작동음 과다

적재함 상

하강시 실린더로부터

유압유 분출

구동축 역회전 및 적재함 하강

원 인

피스톤 로드 휨

실린더 변형

피스톤 균열

회전부 저항 과다

큐션밸브 작동 불량

큐션밸브 막힘

실린더 변형

스풀 열림 불량

유압유 점도 과다

파이프 내 이물질

실린더 및 회전부 작동 불량

유압장치 막힘

체크밸브 결함

이물질 유입

조 치

로드 교환

실린더 전체 교환

피스톤 교환

분해 및 수리 또는 교환

분해 및 조립 또는 교환

분해 및 이물질 제거

실린더 전체 교환

기어 펌프 에어 작동부 점검 및 펌프 교환

추천 유압유로 교환

분해

,

세척 및 유압유 교환

윤활 부위 수리 또는 교환

분해

,

점검 및 수리

분해

,

점검 및 교환

유압유 교환 및 세척

8

8-15

덤프 취급 방법

상 태

구동축 멈춤 상태에서 적재함 하강

적재시 적재함 하강

테일게이트와 사이드 게이트가 열리고 잘 닫히지 않음

(

후크 불량

)

원 인

유압유 부족

피스톤링 및

'U'

패킹 마모 또는 교환

실린더 변형

펌프 체크밸브 결함

유압장치 누유

오일 품질 저하 및 기계 내부에서 누유

펌프 체크밸브 결함 및 이물질 유입

후크 변형

로드 늘어짐 및 부적절한 조정

테일게이트 및 사이드 게이트 중앙부 휨 및 변형

자동 로크 벨 크랭크와 핀 간의 간극 과다

조 치

유압유 교환

분해

,

점검 및 교환

실린더 전체 교환

펌프 분해 및 교환

유압장치 점검 및 수리

오일 점도 점검

,

필요시 교환

각 부 분해 및 세척

후크 조정 및 수리

후크 작동 점검 및 조정

수리 또는 교환

수리 또는 교환

8-16

정기점검

준비사항

주 의

적재함을 상승 상태에서 점검 또는 정비할 때

는 반드시 위험 방지 조치 후 작업하십시오

.

재함 하강으로 인하여 심각한 인체 상해가 발

생할 수도 있습니다

.

1

.

점검 및 정비를 하기 전에 반드시 튼튼한 나

무지주와 안전 받침대를 적재함을 받쳐주고

,

타이어에 고임목으로 고정 하십시오

.

2

.

작업에 필요한 부위를 깨끗이 세척하십시오

.

캡은 커버로 덮어서 실내가 더러워지지 않도

록 하십시오

.

3

.

공구

,

지그 및 측정 공구 등을 작업 용도에 맞

도록 준비하십시오

.

8

8-17

덤프 취급 방법

정기점검 일람표

장 치 결 함

구동장치

유압장치

PTO

장치

드라이브 샤프트

유압 펌프

유압호스 및 파이프

원 인

오일 분비

비정상적인 소음

체결볼트의 재조임

오일 누유

체결볼트의 재조임

베어링 헐거움 및 스냅링의 기능

스플라인부 헐거움

오일 분비

비정상적인 소음

체결볼트의 재조임

오일 분비

고무호스 외관의 긁힘

고무호스 변질 및 균열

파이프 플렌지 볼트의 재조임

조인트의 재조임

오일탱크 오일량

8-18

매 일

기 간

매 3개월

비 고

분해정비

재조임 및 패킹 교환

베어링 및 스파이터 교환

스플라인 교환

재조임 및 패킹

/

씰 교환

공기 빼기 실시 후 이상시

펌프 교환

재조임 및 패킹 교환

고무호스 교환

유압 오일 보충

장 치 결 함 원 인

유압장치

바디

호이스트 실린더

바디 및 서브프레임

라이너

적재함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균일 또는 오일 누유

오일 분비

적재함 상승시 점프하는 식으로 됨

실린더 압력 저하

실린더 로드 외주면 긁힘 및 로드 변형

전체 외관 긁힘 및 변형

각 연결부 헐거움 및 마모

힌지핀과 로크 볼트의 비정상 상태

용접부나 힌지의 균열

바디메인프레임의 뒤틀림 및 휨

각 힌지부의 마모나 휨

'U'

볼트 및 마운팅 볼트의 재조임

균열 또는 마모

균열 또는 마모

각 로드 및 잠금력의 조정

각 힌지부의 마모나 휨

각 힌지부 작동 불량

비정상적 작동 및 변형 악세서리류 안전장치

1

.

매일점검은 엔진 시동을 걸기 전에 점검하십시오

.

2

.

후크 하단부 주위 및 가이드롤러 경사면의 오염물을 매일 제거하십시오

.

매 일

기 간

매 3개월

비 고

교환 또는 수리

재조임 및 패킹 교환

오일 보충

피스톤 패킹 및 링 교환

교환

교환

재조임 또는 수리

정비 또는 교환

정비 또는 용접

수리

메탈핀의 교환

교환

교환

조정

정비

정비

정비 또는 교환

8

8-19

덤프 취급 방법

유압 작동유 점검 및 교환

주 의

유압 작동유는 항상 레벨 게이지의 적정선

을 유지해야 합니다 .

점검

누유 검사

1

.

부품의 연결 또는 조립 부위에서 누유가

발생되면 재조임 하십시오

.

2

.

오일이 너무 많이 누유되면 오일링과 같은

씰링 부품류를 교환하십시오

.

오일 펌프의 검사

1

.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 상태 점검

2

.

회전시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소음 발생 여부

점검

3

.

펌프 케이스 볼트의 풀림 상태 점검

4

.

덤프 레버의 작동시 상승

,

하강 위치가 정상

적으로 작동되는지 점검하십시오

.

8-20

유압 작동유의 보충

1

.

오일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고 레벨 게이지를

확인하여 유량을 점검한 후 적당량이 있는지

확인 하십시오

.

2

.

유량이 너무 부족하면 유압 작동유를 규정량

만큼 보충하십시오

.

유압작동유 제원

-

규격

: I.S.O VG #

32 내마모성 유압작 동유

-

추천오일

:

Hyspin AWS

32

(CASTROL), Nuto

H

32

(ESSO), Hydrasil

32

(GULF),

DTE

24

(MOBIL), Tellus

32

(SHELL)

주 의

오일 주입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

의 하십시오

.

공기빼기는 오일을 주입한 후에 반드시

실시하십시오

.

공기빼기 작업 후에 여러 차례 덤핑 작

업이 원활하게 되는지 반드시 점검하십

시오

.

일반적으로 배관 내에 공기가 들어가 있

으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

습니다

.

-

덤프 바디가 도중에 올라가지 않음

.

-

덤프 바디가 상승 중에 진동 발생

.

-

덤프 바디가 상승하다가 덜컥거리면서

하강

.

이러한 것은 일반적으로 작동유가 규정

량보다 적어서 공기가 흡입되어 있든지

,

또는 규정량만큼 있어도 장기간 사용 중

배관 접속부 등이 풀려 공기가 흡입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량만큼의 작동유를

넣고 정기적으로 배관 연결부의 풀림을

점검하여 수리하십시오

.

유압 작동유에 물유입 검사

유압 작동유의 색깔이 우유색으로 변색되어

있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를방문하여 점검을 받으시고

,

작동유전체를

교환하십시오

.

8-21

8

덤프 취급 방법

교환주기

작동유를 정기적으로 교환하여 덤핑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

그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

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최초

최초이후

3개월 또는덤핑 500회 이후

1년마다 또는 덤핑 2

,

000회 마다

오일 교환은 경과시간이나 덤핑 횟수 중 먼

저 도달한 것을 기준으로 교환하십시오

.

주 의

근거리 작업에 의한 덤핑 횟수 과다 사용시

유압작동유 온도가 70도를 넘지 않도록 휴

지 시간을 갖도록 하십시오 . 덤프 상승이 안

될수 있으며 , 유압장치 수명의 단축 원인이

됩니다 .

유압 작동유 부족 현상

다음과 같은 현상은 유압 작동유가 부족하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유압 작동유를 규정량

만큼 보충하여 주십시오

.

유압 펌프로부터 소음 과다

·

·

적재함이 원활히 상승되지 않음

·

적재함 상승시 점프 현상

·

적재함이 상승 후 떨리거나 단계적으로 덜

거럭 거리면서 내려오는 현상

2

.

5톤 덤프

작동유 점검

1

.

덤프 바디를 최대상승시켜 안전봉과 안전

지주로 받쳐주십시오

.

2

.

펌프를 정지상태로 하십시오

.

3

.

급유구

(A)

를 풀고 유면이 규정 높이에 있

는지

(

레벨게이지 눈금 범위 내

)

를 확인하

십시오

.

4

.

작동유가 부족한 경우에는 규정량만큼 보

충하십시오

.

규정량 이상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작동유가 과다하게 보충되

면 덤프 바디가 하강하지 않으며

,

또한 유

압기기에 악영향을 줍니다

.)

8-22

호이스트 실린더

언로드

밸브 ( 폐 )

8 mm 이상이

안 되도록

언로드

밸브

(

)

작동유 배출

1

.

덤프 바디를 그림과 같이 언로드 밸브가

열리는 위치까지 최대 상승시킨 뒤 덤프

바디 양쪽을 지주로 받쳐주십시오

.

2

.

엔진을 회전하고

,

유압작동으로 덤프 바디

를 한번 더 상승시켜 최대 상승 위치에 이

르면 엔진을 가속시키십시오

.

피스톤이 실

린더 헤드에 접촉하도록 유지하고 이 상

태에서 재빨리 지주로 바디 양단을 견고

하게 받치십시오

.

주 의

실린더 피스톤이 최대 상승 위치까지 약 8㎜

이상이 되면 언로드 밸브가 닫혀 있어서 작

동유를 배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주의하

십시오

.

호이스트 실린더

플러그

(A)

플러그

(C)

3

.

엔진을 정지시키고 급유 플러그

(A)

와 플러

(B)

를 푸십시오

.

기어 펌프의 밑에 폐유

받는 용기를 놓고 드레인 플러그

(C)

를 풀

어 실린더 내의

작동유를 배출시키십시오

.

8

8-23

덤프 취급 방법

급유

작동유가 완전히 배출되면 바로

(B), (C)

러그를 잠그십시오

.

덤프 레버를

상승

위치

에 놓고 작동유 탱크의 급유구

(A)

에다 새로운

작동유

를 넣으십시오

.

엔진을 시동시키고 작

동유가 줄어든 만큼 보충하십시오

.

주 의

이 경우 급유하는 양에 비해 펌프의 회전속

도가 높으면 배관 내에 다량의 공기가 흡입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펌프 회전속

도로 맞추어 주십시오

.(

클러치를 조작하여

회전조절을 하십시오

.)

또는 급유량을 많게

하여 항상 탱크 내에 작동유가 남아 있는 상

태가 되도록 계속 보충하십시오

.

1

.

유압 배관전체에 작동유가 들어가 유면 오일

레벨 게이지의 규정 범위 내의 위치에 이르면

펌프를 정지하십시오

.

2

.

공기빼기를 하십시오

.

공기빼기가 완료되어

탱크 내의 오일이 규정량 이하일 때 보충하십

시오

.

공기빼기

공기빼기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

1

.

덤프 레버를

상승

위치로 하십시오

.

2

.

덤프 바디를 최대상승 위치

(

언로드 밸브

열림 상태가 되도록

)

로 하십시오

.

3

.

테일빔의 플러그

(A)

를 헐겁게 푸십시오

.

유압 작동유량

:

약 11ℓ

급유가 끝난 뒤 엔진을 저회전 상태로 3

~

5분

간 공회전시키면 공기빼기를 하는 동안 남아

있는 공기는 저절로 빠집니다

.

공기빼기가 끝

나면 플러그

(A)

를 체결하십시오

.

마지막으로

덤프 작동을 2

~

3회 실시하여 덤프가 정상으

로 작동되는지 확인하십시오

.

이 때 정상으로

작동되지 않을 때는 공기빼기를 다시 실시하

십시오

.

8-24

주 의

일반적으로 배관 내에 공기가 들어가 있

으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

습니다

.

-

덤프 바디가 도중에 올라가지 않음

.

-

덤프 바디가 상승 중에 진동 발생

.

-

덤프 바디가 상승하다가 덜컥거리면

서 하강

.

이러한 것은 일반적으로 작동유가 규정

량보다 적어서 공기가 흡입되어 있든지

,

또는 규정량만큼 있어도 장기간 사용 중

배관 접속부 등이 풀려 공기가 흡입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량만큼의 작동유를

넣고 정기적으로 배관 연결부의 풀림을

점검하여 수리하십시오

.

플러그

(A)

오일레벨

게이지

플러그

(A)

플러그 (B)

플러그

(C)

3

.

5톤 덤프

작동유 점검

1

.

덤프 바디를 최대상승시켜 안전봉과 안전

지주로 받쳐주십시오

.

2

.

펌프를 정지상태로 하십시오

.

3

.

급유구

(A)

를 풀고 유면이 규정 높이에 있

는지

(

레벨게이지 눈금 범위 내

)

를 확인하

십시오

.

4

.

작동유가 부족한 경우에는 규정량만큼 보

충 하십시오

.

규정량 이상이 되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

작동유가 과다하게 보충

되면 덤프 바디가 하강하지 않으며

,

또한

유압기기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

작동유 배출

1

.

덤프 바디를 그림과 같이 포펫 밸브가 열

리는 위치까지 최대상승시킨 뒤 덤프 바

디 양단을 지주로 받쳐주십시오

.

2

.

엔진을 회전시켜

,

유압 작동으로 덤프 바

디를 한 번 더 상승시켜 최대상승 위치에

이르면 엔진을 가속하십시오

.

피스톤이 실린더 헤드에 접촉하도록 유지

하고 이 상태에서 재빨리 지주로 바디 양

쪽을 견고하게 받쳐주십시오

.

3

.

엔진을 정지시키고 급 플러그

(A)

를 푸십

시오

.

기어 펌프의 하부에 폐유받는 용기

를 놓고 드레인 플러그

(B)

를 풀어내어 실

린더 내의 작동유를 배출시키십시오

.

8-25

8

덤프 취급 방법

급유

오일이 완전히 배출되면 바로

(B)

플러그를 잠

그십시오

.

덤프 레버를

상승

위치에 놓고 작

동유 탱크의 급유구

(A)

에 새로운 작동유를

넣으십시오

.

엔진을 시동시키고 작동유가 줄

어든만큼 보충하십시오

.

주 의

이 경우 급유하는 양에 비해 펌프의 회전속

도가 높으면 배관 내에 다량의 공기가 흡입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펌프 회전속

도로 맞추어 주십시오 . ( 클러치를 조작하여

회전 조절을 하십시오 ) 또는 급유량을 많게

하여 항상 탱크 내에 작동유가 남아 있는 상

태가 되도록 계속 보충하십시오 .

1

.

유압 배관전체에 작동유가 들어가 유면 오일

레벨 게이지의 규정 범위 내의 위치에 이르면

펌프를 정지하십시오

.

2

.

공기빼기를 하십시오

.

공기빼기가 완료되어

탱크 내의 오일이 규정량 이하일 때 보충하십

시오

.

공기빼기

공기빼기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

1

.

덤프 레버를

상승

위치로 하십시오

.

2

.

덤프 바디를 최대상승 위치로 하십시오

.

3

.

로드 커버의 플러그

(C)

를 헐겁게 푸십시오

.

유압 작동유량

:

약 10ℓ

급유가 끝난 뒤 엔진을 저회전 상태로 3

~

5분

간 공회전 시키면 공기빼기를 하는 동안 남아

있는 공기는 저절로 빠집니다

.

공기빼기가 끝나면 플러그

(C)

를 체결하십시오

.

마지막으로 덤프 작동을 2

~

3회 실시하여 덤

프가 정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하십시오

.

때 정상으로 작동되지 않을 때는 공기빼기를

다시 실시하십시오

.

8-26

주 의

일반적으로 배관 내에 공기가 들어가 있

으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

습니다

.

-

덤프 바디가 도중에 올라가지 않음

.

-

덤프 바디가 상승 중에 진동 발생

.

-

덤프 바디가 상승하다가 덜컥거리면서

하강

.

이러한 것은 일반적으로 작동유가 규정

량 보다 적어서 공기가 흡입되어 있든

,

또는 규정량만큼 있어도 장기간 사

용 중 배관 접속부 등이 풀려 공기가 흡

입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량만큼의 작

동유를 넣고 정기적으로 배관 연결부의

풀림을 점검하여 수리하십시오

.

윤활

그리스

(

전차종

)

오일명

중급 보통 그리스

규격

NLGI NO.

1

비고

보통샤시그라스

-

덤핑 메카니즘의 회전 및 슬라이딩 부의 마모

방지

,

확실한 록킹 및 효율적인 작업과 결함

방지를 위해 윤활을 철저히 하십시오

.

-

신차일 경우 매주 윤활을 하고 다음 그림과 같

은 부위에 급유를 빼놓지 않고 그리스 주입 등

윤활을 하십시오

.(

사용하던 차량

:

매일 급유

)

-

주유하기 전에 주차브레이크를 확실하게 작

동시키고 바퀴 앞뒤로 고임목을 고여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십시오

.

-

그리스 도포 위치

1

.

가이드바디 접촉부

2

.

테일게이트 자동잠금장치 롤러 접촉부

3

.

그리스 니플이 장착된 모든 부위

(

그리스

주유장치 그림참조

)

8

8-27

덤프 취급 방법

2

.

5톤 덤프

8-28

그리스 주입위치

1

.

바디 로크

2

.

브라켓트

(

좌우

)

3

.

크로스 해드 샤프트

(

좌우

)

4

.

테일빔 브라켓트

(

좌우

)

5

.

드라이브 샤프트

6

.

가이드 롤러

(

좌우

)

7

.

테일게이트 후크판

8

.

덤프 힌지

9

.

텐션로드

(

상부

)

3

.

5톤 덤프

8 3 7

그리스 주입위치

1

.

바디 로크

(

좌우 2개소

)(

3

.

5톤 덤프

)

2

.

드라이브 샤프트

(

2개소

)

3

.

테일게이트 자동잠금 장치

(

좌우 6개소

)

4

.

호이스트 실린더

(

:

1개소

,

:

좌우2개소

)

5

.

텐션 로드

(

좌우 4개소

)

6

.

리프트 플레이트

(

좌우 2개소

)

7

.

덤프 힌지

(

좌우 2개소

)

8

.

안전봉

(

좌우 2개소

)

9

.

테일게이트 힌지

(

좌우 2개소

)

8

8-29

덤프 취급 방법

테일게이트 자동 잠금 장치 조정

테일게이트 자동 잠금 장치 점검 및 조정은 적재

함이 비어 있을 때 실시하십시오

.

2

.

5톤 덤프

유격 발생시

테일게이트는 덤프 바디가 내려오면 자동적

으로 양단의 후크가 잠겨지나 장기간 사용으

로 후크와 테일게이트 사이에 간격이 생겨 테

일게이트가 완전히 잠겨지지 않는 경우가 있

습니다

.

이와 같은 경우에 다음과 같이 조절

하십시오

.

A B C

7 4 3

조절 방법

1

.

우선 리턴 스프링

(D)

을 풀어주십시오

.

2

.

다음으로 턴버클

(G)

양단의 로크 너트

(E)

를 푸십시오

.

3

.

턴버클

(G)

을 돌려 로드길이를 줄여 후크

(F)

와 테일게이트 브라켓트와의 간격을

없애주십시오

.

4

.

간격이 없어지고 나면 양쪽의 로크 너트

(E)

를 조인 후 리턴 스프링

(D)

을 다시 장

착하십시오

.

A.

가이드 플레이트

B.

롤러

D.

리턴 스프링

G.

턴버클

C.

쇽업쇼버

E.

로크 너트

F.

후크

3

.

5톤 덤프

조절 방법

1

.

리턴 스프링을 풀어주십시오

.

2

.

스프링 실린더 끝단 로크 너트를 푸십시오

.

3

.

스프링 실린더를 돌려서 후크와 테일게이

트 브라켓트와의 간격을 없애 주십시오

.

4

.

간격이 없어지고 나면 로크 너트를 조인후

리턴 스프링을 다시 장착하십시오

.

1

.

롤러 가이드

(

가이드 바

)

3

.

로크 너트

6

.

스프링 실린더

4

.

로드

7

.

스프링

2

.

암 어셈블리

5

.

후크

8-30

차량 정보

주요부 치수

.........................................................................

9

-

2

타이어 표준 공기압

..............................................................

9

-

2

주유 일람표

(LUBRICATION CHART) .................................

9

-

3

정기교환 부품

(

고무류 및 스위치

) .........................................

9

-

5

차대번호

(VIN) ....................................................................

9

-

6

엔진번호

..............................................................................

9

-

6

9

차량 정보

주요부 치수

구분

전장

(mm)

전폭

(mm)

전고

(mm)

축간 거리

(mm)

(

휠 베이스

)

2.5톤

표준캡 단축

고상

2.5톤 표준캡 중축

고상 저상

5

,

370

2

,

080

2

,

345

(

2

,

490

)

2

,

850

6

,

210

2

,

080

(

2

,

180

)

2

,

345

(

2

,

490

)

3

,

400

6

,

210

2

,

080

(

2

,

180

)

2

,

345

(

2

,

490

)

3

,

400

2.5톤 슈퍼캡 중축

고상 저상

6

,

510

2

,

080

(

2

,

180

)

2

,

345

(

2

,

490

)

3

,

600

6

,

510

2

,

080

(

2

,

180

)

2

,

345

(

2

,

490

)

3

,

600

3.5톤 표준캡

고상

단축

고상

중축

5

,

370 6

,

720

2

,

180

2

,

360

(

2

,

505

)

2

,

850

2

2

,

360

(

2

,

505

)

3

,

,

180

850

3.5톤

슈퍼캡

고상

장축

7

,

020

2

,

180

2

,

360

(

2

,

505

)

3

,

950

2.5톤

더블캡

6

,

210

2

,

080

(

2

,

180

)

2

,

275

3

,

400

타이어 표준 공기압

차종

2

.

5톤

3

.

5톤

타이어 규격

195

/

75

R

16

205

/

75

R

17

.

5

205

/

75

R

17

.

5

215

/

75

R

17

.

5

공기압 kgf/㎠(PSI)

5

.

7

(

80

)

6

.

7

(

95

)

6

.

7

(

95

)

7

.

0

(

100

)

덤프

2.5톤

5

,

270

2

,

025

2

,

315

2

,

850

3.5톤

5

,

380

2

,

060

2

,

290

2

,

850

9-2

주유 일람표

(LUBRICATION CHART)

종 류

연료탱크 용량

형식/용량(ℓ)

100ℓ

150ℓ

(

3

.

5톤 장축 표준캡

/

슈퍼캡

)

요소수

(

우레아

)

용량

엔진 오일

변속기

T

T

15ℓ

전체

:

14

.

0

(

오일필터 포함

)

주1

)

(

오일 팬

:

13

.

5

)

060

060

S

S

5

6

PTO

미적용

PTO

적용

PTO

미적용

PTO

적용

4

.

5

4

.

9

5

.

0

5

.

4

부동액 16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휠 베어링

파워스티어링 오일

리어액슬

0

.

568

소요량

1

.

2

6

.

2

주1

)

엔진 오일 용량은 일반적인 오일 교환시 주입되는 용량 기준입니다

.

오 일 규 격

API

분류

CJ-

4급 이상

, SAE

분류 10

W-

40

API

분류

GL

4급

, SAE

75

W

85

(

합성유

)

에틸렌글리콜계 알루미늄 라디에이터용 부동액

ETHYLENE GLYCOL BASE COOLANT ALUMINIUM RADIATOR

극동제연

,

동아특수

:

브레이크 3종

, BRAKE FLUID DOT

3

NIGL NO

2

PSF-

3

API

분류

GL

5급

SAE

분류 80

W-

90

9

9-3

차량 정보

구분

점검

오일 교환 시기

보충

오일규격 오일양

휠베어링

트라이언 플레인 베어링

브레이크

변속기 컨트롤

캠 샤프트

1개월

교환

24 , 000㎞

LIG-

2

상당품

소요량

클러치 쉬프트 24

,

000㎞

BJM-

2

(MS

511

-

7

)

소요량

캡힌지 브라켓트

캡 커넥팅 암

도어힌지

1개월

RTX

상당품

소요량

6개월

전륜 휠 베어링 오일을 교환할때는 반드시 허브캡은 새제품으로 교환하여 장착하십시오

.

작업 요령

주유

:

그리스 니플의 먼지나 오염된 것을 깨끗이 닦고 나

서 주유하십시오 .

(

그리스 주유편을 참조하십시오

.)

클러치 쉬프트에 지나치게 많이 주유하면 클러치가 미끄

러지는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 주십시오

.

주유

:

그리스 니플의 먼지나 오물을 제거

하고 나서 하십시오

.

9-4

정기교환 부품

(

고무류 및 스위치

)

정기교환부품

브레이크 밸브 팩킹 및 고무부품

마스터 실린더피스톤컵 및 기타 고무부품

휠 실린더 피스톤 컵 및 더스트 씰

밸브 팩킹 및 고무부품

브레이크 호스

로드 센싱 밸브 컵 및 기타 고무부품

제동장치 고무부품

히터 호스

진공 호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내부의 고무제품 및 호스 교환

연료 호스 교환

에어컨 호스 교환

제동등 스위치

브레이크 액 저장 탱크 튜브

매1년

매2년 매3년

비고

9-5

9

차량 정보

차대번호

(VIN)

엔진번호

차량의 등록시나 차량의 소유권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모든 법적인 사항에 사용되는 차대번호

(VIN : Vehicle ldentification No.)

의 위치는 우

측 메인 프레임 앞바퀴 쪽에 타각되어 있습니다

.

차체에 타각되어 있는 차대번호와 자기인증

라벨의 차대번호는 자동차 등록증에 기록되어

있는 차대번호와 일치해야 합니다

.

차체에 타각된 차대번호는 육안으로 쉽게 확

인 할 수 있도록 점검 관리 하셔야 합니다

.

엔진번호는 엔진블록의 옆면에 타각되어 있습

니다

.

9-6

색인

I

색인

2점식 안전벨트

............................................................................

3

-

10

3점식 안전벨트

.............................................................................

3

-

9

[ㄱ]

가속페달

......................................................................................

5

-

10

각종 벨트 장력

.............................................................................

7

-

41

개방상태로 주행금지

....................................................................

2

-

10

건전지 교환방법

............................................................................

4

-

6

겨울철 주행

.................................................................................

5

-

30

견인시의 주의사항

.........................................................................

6

-

5

견인트럭으로 견인시

....................................................................

6

-

17

경음기

.........................................................................................

4

-

23

경제적인 운행

.............................................................................

5

-

39

계기판

.........................................................................................

4

-

26

계측기

......................................................................................

4

-

27

트립 컴퓨터

..............................................................................

4

-

30

고속도로의 주행

..........................................................................

5

-

37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

(

비상 삼각대

).............................................

6

-

3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

7

-

23

필터의 교환

..............................................................................

7

-

23

필터의 점검

..............................................................................

7

-

23

과적 주행시

................................................................................

5

-

38

교차로

/

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

6

-

3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때

...................................................

2

-

12

2

규격타이어 장착 및 타이어공기압 수시점검

....................................

2

-

6

그리스 윤활

................................................................................

7

-

42

그리스 주유부분

.........................................................................

7

-

42

글로브 박스

................................................................................

4

-

74

기타 주의사항

...............................................................................

2

-

5

[ㄴ]

내관도

I ........................................................................................

1

-

3

내관도

II .......................................................................................

1

-

4

냉각수

........................................................................................

7

-

15

냉각수 교환방법

......................................................................

7

-

18

라디에이터 누수점검

...............................................................

7

-

17

점검 및 보충방법

.....................................................................

7

-

17

냉각수 교환방법

.........................................................................

7

-

18

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

6

-

2

[ㄷ]

다용도 보관함

..............................................................................

4

-

73

글로브 박스

..............................................................................

4

-

74

도어 포켓

.................................................................................

4

-

75

루프콘솔

...................................................................................

4

-

74

백콘솔

......................................................................................

4

-

75

센터 좌석 콘솔

..........................................................................

4

-

74

센터 콘솔

..................................................................................

4

-

75

다용도 소켓

.................................................................................

4

-

76

더블 캡 차량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3

더블캡 엔진룸 점검

........................................................................

3

-

6

덤프 취급 방법

...............................................................................

8

-

2

2

.

5톤 덤프

..................................................................................

8

-

2

3

.

5톤 덤프

..................................................................................

8

-

3

고장 진단

..................................................................................

8

-

12

유압 작동유 점검 및 교환

.........................................................

8

-

20

윤활

..........................................................................................

8

-

27

장치 사용요령

.............................................................................

8

-

9

정기점검

...................................................................................

8

-

17

취급주의

.....................................................................................

8

-

4

테일게이트 자동 잠금 장치 조정

................................................

8

-

30

도난 경보 장치

...............................................................................

4

-

8

도어

..............................................................................................

4

-

9

유리창 개폐장치

.......................................................................

4

-

11

중앙잠금장치

............................................................................

4

-

10

차 밖에서

....................................................................................

4

-

9

차 안에서의 잠금

/

잠금 해제

.........................................................

4

-

9

도어 스텝 램프

.............................................................................

4

-

56

도어 포켓

. ...................................................................................

4

-

75

도어를 열때

........... ........................................................................

2

-

9

동력조향장치

(

파워 스티어링

)......... ..............................................

4

-

22

동승석

...........................................................................................

3

-

5

듀얼 파워 스위치

.......... ...............................................................

5

-

27

디지털 타코 그래프

................... ..................................................

4

-

83

각부 명칭 및 기능

.. ...................................................................

4

-

83

전체 메뉴 구성

.... .....................................................................

4

-

85

[ㄹ]

라디에이터 누수점검

...................................................................

7

-

17

루프콘솔

.....................................................................................

4

-

74

리모컨 키 사용방법

.......................................................................

4

-

5

리어 게이트

................................................................................

4

-

15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

미등

/

정지등

,

후진등

,

방향지시등

) .............

7

-

50

리어가드

.....................................................................................

3

-

12

리어게이트 사용시 주의사항

.. .....................................................

2

-

11

리어액슬 기어오일

......................................................................

7

-

20

[ㅁ]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스위치

.........................................

5

-

28

매연관리

.....................................................................................

7

-

50

멀티미디어 장치

.........................................................................

4

-

79

블루투스 핸즈프리

...................................................................

4

-

81

안테나

.....................................................................................

4

-

79

오디오

.....................................................................................

4

-

80

3

I

색인

오디오 리모컨

..........................................................................

4

-

79

오디오 외부 입력 단자

.............................................................

4

-

81

메인 퓨즈

......................................................................................

6

-

9

메인필터 교환

.............................................................................

7

-

24

무선 도어 잠금 장치

......................................................................

4

-

5

건전지 교환방법

........................................................................

4

-

6

리모컨 키 사용방법

....................................................................

4

-

5

무시동 히터

................................................................................

4

-

68

동작 중 온도 설정

....................................................................

4

-

69

시간 설정 및 요일설정

.............................................................

4

-

70

오류화면

..................................................................................

4

-

72

초기설정방법

...........................................................................

4

-

68

프로그램

(

예약

)

설정

................................................................

4

-

70

히터난방 작동시간

...................................................................

4

-

72

히터의 동작

.............................................................................

4

-

68

미러

............................................................................................

4

-

23

실내 미러

.................................................................................

4

-

23

실외

.........................................................................................

4

-

24

밀폐된 공간에서의 워밍업

,

매연 필터 장치

(DPF)

수동재생 또는 차량 점검 금지

.....................

2

-

11

[ㅂ]

방향지시 및 차선변경

..................................................................

4

-

52

4

배기 브레이크

.............................................................................

5

-

16

배출가스 규제와 차량관리

...........................................................

7

-

50

배출가스 저감장치

...................................................................

7

-

52

매연관리

..................................................................................

7

-

50

에어 클리너

.............................................................................

7

-

53

배출가스 저감장치

......................................................................

7

-

52

배출가스저감장치

(DPF+

요소수시스템

)

장착차 취급

....................

2

-

18

배출가스 저감장치

(DPF+

요소수시스템

)

? ..............................

2

-

18

취급시 주의 사항

.....................................................................

2

-

19

배터리

........................................................................................

7

-

36

배터리 방전 방지 기능

.................................................................

4

-

49

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

6

-

6

백콘솔

........................................................................................

4

-

75

번호판등 램프 교환

.....................................................................

7

-

49

변속기

..........................................................................................

5

-

9

변속기 오일

................................................................................

7

-

19

브레이크

.....................................................................................

7

-

33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점검 및 보충

............................................

7

-

34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 ...............................................

6

-

4

브레이크 페달

.............................................................................

5

-

11

블루투스 핸즈프리

......................................................................

4

-

81

비상경고등

...........................................................................

4

-

49

/

6

-

2

비상시 응급조치

...........................................................................

6

-

2

견인시의 주의사항

.....................................................................

6

-

5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

(

비상 삼각대

) .........................................

6

-

3

교차로

/

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

6

-

3

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

6

-

2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

6

-

4

주행중 시동이 꺼진 경우

.............................................................

6

-

4

주행중 펑크시

............................................................................

6

-

4

화재 발생 시

..............................................................................

6

-

5

[ㅅ]

사고 및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6

-

20

사이드 게이트

.............................................................................

4

-

12

사이드 마커 램프 교환

.................................................................

7

-

49

서플라이 모듈 메인 필터 교환

......................................................

7

-

28

선바이저

................. ....................................................................

4

-

78

센터 좌석 콘솔

.............................................................................

4

-

74

센터콘솔

.....................................................................................

4

-

75

소화기 비치

................................................................................

6

-

21

순정부품

(

규격품

)

이용

................................................................

2

-

14

스페어 타이어

.............................................................................

6

-

16

시가 라이터

................................................................................

4

-

77

시동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때

........................................................

6

-

5

시동 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

6

-

6

시동 스위치

.................................................................................

5

-

2

시동 스위치 위치

.......................................................................

5

-

2

엔진 시동방법

............................................................................

5

-

4

엔진 정지방법

............................................................................

5

-

7

엔진 크랭킹

...............................................................................

5

-

8

시동 스위치 위치

..........................................................................

5

-

2

신차 취급요령

.............................................................................

2

-

21

실내 미러

....................................................................................

4

-

23

실내 편의 장치

............................................................................

4

-

76

다용도 소켓

.............................................................................

4

-

76

선바이저

..................................................................................

4

-

78

시가 라이터

.............................................................................

4

-

77

옷걸이 후크

.............................................................................

4

-

78

컵홀더

.....................................................................................

4

-

78

실내등

........................................................................................

4

-

55

A

타입

.....................................................................................

4

-

55

B

타입

.....................................................................................

4

-

55

도어 스텝 램프

.........................................................................

4

-

56

작업등 스위치

..........................................................................

4

-

56

실내등 전구의 교체

.....................................................................

7

-

47

[ㅇ]

악천후시

,

험로에서의 주행

...........................................................

5

-

36

5

I

색인

안개등

........................................................................................

4

-

53

안개등

/

주간 주행등

.....................................................................

7

-

48

안전 운행

....................................................................................

5

-

35

고속도로의 주행

......................................................................

5

-

37

악천후시

,

험로에서의 주행

...........................................................

5

-

36

안전벨트

.......................................................................................

3

-

7

2점식 안전벨트

........................................................................

3

-

10

3점식 안전벨트

..........................................................................

3

-

9

안전벨트의 적절한 사용 및 관리

...............................................

3

-

12

안전벨트 착용

...............................................................................

2

-

5

기타 주의사항

............................................................................

2

-

5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

2

-

5

안전운전요령

..............................................................................

5

-

29

겨울철 주행

.............................................................................

5

-

30

야간운행

..................................................................................

5

-

29

여름철 운행

.............................................................................

5

-

30

안테나

........................................................................................

4

-

79

앞유리 와이퍼

/

와셔

.....................................................................

4

-

53

액세서리의 장착

.........................................................................

2

-

12

야간운행

.....................................................................................

5

-

29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

5

-

25

에어 클리너

................................................................................

7

-

21

에어 히터 회로의 퓨즈

.................................................................

6

-

10

에어컨 정비 및 점검

....................................................................

4

-

64

6

엔진 공회전

(IDLE)

스위치

..........................................................

5

-

20

엔진 시동방법

...............................................................................

5

-

4

엔진 오버히트

(

과열시

) ................................................................

6

-

10

엔진 오일

....................................................................................

7

-

11

교환

.........................................................................................

7

-

13

보충

.........................................................................................

7

-

11

점검

.........................................................................................

7

-

11

엔진 정지방법

...............................................................................

5

-

7

엔진 크랭킹

..................................................................................

5

-

8

엔진룸

..........................................................................................

1

-

5

엔진번호

.......................................................................................

9

-

6

엔진부의 명칭

...............................................................................

7

-

3

엔진시동이 안걸릴 경우

................................................................

6

-

5

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

6

-

6

시동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때

......................................................

6

-

5

시동 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

6

-

6

엔진오일 필터

.............................................................................

7

-

13

엘리먼트의 교환 방법

..................................................................

7

-

21

여름철 운행

................................................................................

5

-

30

연료주입구

.................................................................................

4

-

16

연료필터

.....................................................................................

7

-

24

메인필터 교환

..........................................................................

7

-

24

연료필터 공기 빼기

..................................................................

7

-

26

연료필터 물빼기

......................................................................

7

-

26

프리연료필터 교환

...................................................................

7

-

25

오디오

........................................................................................

4

-

80

오디오 리모컨

.............................................................................

4

-

79

오디오 외부 입력 단자

.................................................................

4

-

81

올바른 운전자세

...........................................................................

2

-

4

옷걸이 후크

................................................................................

4

-

78

와셔액 분출

................................................................................

4

-

54

와이어 각도

................................................................................

6

-

19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방법

............................................................

7

-

31

와이퍼 블레이드 및 암 점검

.........................................................

7

-

30

와이퍼 작동

................................................................................

4

-

53

와이퍼

/

와셔

................................................................................

4

-

53

앞유리 와이퍼

/

와셔

..................................................................

4

-

53

와셔액 분출

.............................................................................

4

-

54

와이퍼 작동

.............................................................................

4

-

53

외관도

..........................................................................................

1

-

2

요소수

(

우레아

) ...........................................................................

7

-

28

요소수

(

우레아

)

탱크 주입구

.........................................................

4

-

17

순도

.........................................................................................

4

-

20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

.............................................................

4

-

19

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

.............................................................

4

-

19

요소수

(

우레아

)

보관

................................................................

4

-

19

요소수

(

우레아

)

주의 사항

..........................................................

4

-

19

요소수

(

우레아

)

폐기

................................................................

4

-

19

운전석

...........................................................................................

3

-

2

운전석은 운전에 방해되는 물건이 없도록

.......................................

2

-

5

운전자

VDC

작동 정지

................................................................

5

-

18

운행전 점검

..................................................................................

2

-

2

윈도 와셔액

................................................................................

7

-

29

유리창 개폐장치

.........................................................................

4

-

11

유리창 습기

/

성에 제거 방법

..........................................................

4

-

66

음주

,

과로운전금지

.......................................................................

2

-

7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

4

-

7

림프

-

......................................................................................

4

-

7

마스터 키

(

검정색

) ......................................................................

4

-

7

일반차량으로 견인시

...................................................................

6

-

18

일상점검

.......................................................................................

7

-

3

일상점검 항목

...............................................................................

7

-

4

[ㅈ]

자동 정속 주행 장치

(

오토 크루즈

) ...............................................

5

-

20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 안내

.......................................

2

-

13

작업등 스위치

.............................................................................

4

-

56

잭 사용 방법

...............................................................................

6

-

12

적재함 개폐

................................................................................

4

-

12

리어 게이트

.............................................................................

4

-

15

사이드 게이트

..........................................................................

4

-

12

적재함 사용시 주의사항

..............................................................

2

-

10

7

I

색인

개방상태로 주행금지

...............................................................

2

-

10

리어게이트 사용시 주의사항

....................................................

2

-

11

적재함에 승차금지

...................................................................

2

-

11

화물의 확실한 고정

..................................................................

2

-

10

전구의 교환

................................................................................

7

-

47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

미등

/

정지등

,

후진등

,

방향지시등

) ...........

7

-

50

번호판등 램프 교환

..................................................................

7

-

49

사이드 마커 램프 교환

.............................................................

7

-

49

실내등 전구의 교체

..................................................................

7

-

47

안개등

/

주간 주행등

..................................................................

7

-

48

전조등

/

방향지시등

...................................................................

7

-

48

전구의 용량

................................................................................

7

-

46

전구의 위치

................................................................................

7

-

45

전구의 위치 및 용량

....................................................................

7

-

45

전구의 용량

.............................................................................

7

-

46

전구의 위치

.............................................................................

7

-

45

전기장치 고장

...............................................................................

6

-

7

메인 퓨즈

...................................................................................

6

-

9

에어 히터 회로의 퓨즈

.............................................................

6

-

10

퓨즈 박스 위치

...........................................................................

6

-

8

퓨즈

/

릴레이 라벨

.......................................................................

6

-

8

퓨즈박스

....................................................................................

6

-

7

퓨즈의 교환

...............................................................................

6

-

8

전조등 상향

,

하향 변환

................................................................

4

-

52

8

전조등

/

방향지시등

......................................................................

7

-

48

접이식 주차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3

정기 교환 부품

..............................................................................

2

-

3

정기 점검

................................................................................

2

-

3

/

7

-

5

가혹조건

..................................................................................

7

-

10

운행전 점검

...............................................................................

2

-

2

점검 및 조정

..............................................................................

2

-

2

점검 정비

...................................................................................

7

-

5

정기 교환 부품

...........................................................................

2

-

3

정기 점검

...................................................................................

2

-

3

정기점검 일람표

........................................................................

7

-

7

정기교환 부품

(

고무류 및 스위치

) ..................................................

9

-

5

정기점검 일람표

...........................................................................

7

-

7

정차 또는 주차 중 휴대전화기 사용요령

.........................................

2

-

8

조명

............................................................................................

4

-

49

방향지시 및 차선변경

..............................................................

4

-

52

배터리 방전 방지 기능

.............................................................

4

-

49

안개등

.....................................................................................

4

-

53

전조등 상향

,

하향 변환

............................................................

4

-

52

조명 위치

.................................................................................

4

-

50

주간주행등

(DRL: Daytime Running Light) .............................

4

-

50

조향 핸들

.............................................................................

4

-

22

/

7

-

35

경음기

.....................................................................................

4

-

23

동력조향장치

(

파워 스티어링

) ....................................................

4

-

22

조향 핸들의 상하 조정

.............................................................

4

-

22

좌석

..............................................................................................

3

-

2

운전석

........................................................................................

3

-

2

동승석

........................................................................................

3

-

5

더블캡 엔진룸 점검

.....................................................................

3

-

6

좌석

,

조향 핸들

,

미러 조정은 출발 전에

.........................................

2

-

4

·

정차시 배기관주변 주의사항

......................................................

2

-

9

·

정차중 차내 주의사항

...............................................................

2

-

6

주간주행등

(DRL: Daytime Running Light)..................................

4

-

50

주요부 치수

..................................................................................

9

-

2

주위안전 확인

...............................................................................

2

-

9

도어를 열때

...............................................................................

2

-

9

후진시

.......................................................................................

2

-

9

주유 일람표

(LUBRICATION CHART) . .........................................

9

-

3

주차 브레이크

.....................................................................

5

-

12

/

7

-

35

더블 캡 차량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3

접이식 주차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3

주차브레이크의 유격

...............................................................

5

-

13

표준형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2

주차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

2

-

11

주행 중 경고

.................................................................................

6

-

2

주행중 시동이 꺼진 경우

...............................................................

6

-

4

주행중 엔진정지 금지

....................................................................

2

-

8

주행중 펑크시

...............................................................................

6

-

4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

5

-

15

주행중의 브레이크 사용법

............................................................

5

-

11

중앙잠금장치

..............................................................................

4

-

10

[ㅊ]

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두면 위험

....................................................

2

-

9

차 안에서의 잠금

/

잠금 해제

............................................................

4

-

9

차대번호

(VIN) .............................................................................

9

-

6

차량 견인

....................................................................................

6

-

17

견인트럭으로 견인시

...............................................................

6

-

17

와이어 각도

.............................................................................

6

-

19

일반차량으로 견인시

...............................................................

6

-

18

차량 용접시 주의 사항

..................................................................

2

-

12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6

-

21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LDWS) ......................................................

5

-

22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비작동 조건

................................................

5

-

24

차체 자세 제어 장치

(VDC) ..........................................................

5

-

17

운전자

VDC

작동 정지

.............................................................

5

-

18

표시등

.....................................................................................

5

-

18

VDC OFF(

작동 정지

)

사용 방법

..............................................

5

-

19

VDC

작동

................................................................................

5

-

17

VDC

중지

................................................................................

5

-

18

9

I

색인

창문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것

......................................

2

-

7

최고속도 제한장치

.......................................................................

5

-

40

[ㅋ]

캡의 틸팅

....................................................................................

4

-

20

캡 틸팅시 주의사항

..................................................................

4

-

20

캡을 내릴때

.............................................................................

4

-

21

캡을 올릴 때

............................................................................

4

-

21

컵홀더

........................................................................................

4

-

78

클러치 페달

.......................................................................

5

-

10

,

7

-

33

키의 사용방법

...............................................................................

4

-

4

[ㅌ]

타이어

........................................................................................

7

-

38

타이어 공기 압력

.....................................................................

7

-

41

타이어 외관

.............................................................................

7

-

40

타이어 위치교환

......................................................................

7

-

40

타이어의 교체시기

...................................................................

7

-

39

타이어 교환방법

.........................................................................

6

-

14

스페어 타이어

..........................................................................

6

-

16

타이어의 장착

..........................................................................

6

-

15

타이어의 탈거

..........................................................................

6

-

14

타이어 외관

................................................................................

7

-

40

타이어 위치교환

.........................................................................

7

-

40

10

타이어 펑크시의 조치

..................................................................

6

-

11

O.V.M

공구

..............................................................................

6

-

11

잭 사용 방법

............................................................................

6

-

12

타이어 표준 공기압

.......................................................................

9

-

2

타이어의 교체시기

......................................................................

7

-

39

타이어의 장착

.............................................................................

6

-

15

타이어의 탈거

.............................................................................

6

-

14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

2

-

5

터보차저 장착자의 취급

...............................................................

2

-

15

터보차저 장착자 점검 요령

. ......................................................

2

-

15

트립 컴퓨터

................................................................................

4

-

30

[ㅍ]

파워 스티어링 오일량 점검

..........................................................

7

-

29

오일점검 및 보충

............... .......................................................

7

-

29

파워 스티어링 호스

..................................................................

7

-

29

폭설시 행동요령

.........................................................................

6

-

22

표시등 및 경고등

........................................................................

4

-

35

표준형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5

-

12

퓨즈 박스 위치

..............................................................................

6

-

8

퓨즈

/

릴레이 라벨

........................................................................

7

-

44

퓨즈박스

.......................................................................................

6

-

7

퓨즈의 교체

................................................................................

7

-

43

퓨즈

/

릴레이 라벨

.....................................................................

7

-

44

퓨즈의 교환

..................................................................................

6

-

8

프리 연료필터 교환

.....................................................................

7

-

25

[ㅎ]

화물의 확실한 고정

.....................................................................

2

-

10

화물적재 방법

.............................................................................

5

-

38

화재 발생 시

.................................................................................

6

-

5

히터

............................................................................................

4

-

61

히터 및 에어컨

............................................................................

4

-

57

/

외 공기 선택 스위치

(

5

) ........................................................

4

-

60

바람방향 조절 스위치

(

3

) ..........................................................

4

-

59

송풍 온도 조절 스위치

(

1

) .........................................................

4

-

58

에어컨 정비 및 점검

.................................................................

4

-

64

에어컨

(

4

) .................................................................................

4

-

62

풍량 조절 스위치

(

2

) .................................................................

4

-

59

히터

.........................................................................................

4

-

61

히터 및 에어컨 조절 방법

.........................................................

4

-

58

[A]

ABS

경고등

..............................................................................................

5

-

14

ABS(Anti-Lock Brake System) ...............................................................

5

-

14

ABS

경고등

.............................................................................

5

-

14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

5

-

15

[E]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 요령

.................................................................

2

-

16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요령

...................................................

2

-

17

EGR

시스템 장착차 취급요령

. .................................................

2

-

17

[O]

O.V.M

공구

...............................................................................................

6

-

11

[P]

P.T.O

스위치

.............................................................................................

5

-

26

[S]

SQL(Small Quantity Learning,

미소분사 학습

)

기능

.............................

7

-

27

SQL

기능 사용 방법

………………………………………………………

7

-

27

[V]

VDC OFF(

작동 정지

)

사용 방법

. ............................................................

5

-

19

VDC

작동

.................................................................................................

5

-

17

VDC

중지

.................................................................................................

5

-

18

11

I

advertisement

Related manuals

advertisement